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뇌과학 > 뇌과학 일반
· ISBN : 9788925554716
· 쪽수 : 556쪽
· 출판일 : 2014-12-05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 추천사 / 들어가는 말
1막
1. 개인적인 기억과 기억 저장의 생물학
2. 빈에서 보낸 어린 시절: 빈, 나치, 크리스탈나흐트
3. 미국에서의 새로운 삶
2막
4. 한 번에 세포 하나씩
5. 신경세포는 말한다
6. 신경세포와 신경세포 사이의 대화
7. 단순한 뉴런 시스템과 복잡한 뉴런 시스템
8. 서로 다른 기억들, 서로 다른 뇌 영역들
9. 기억 연구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을 찾아서
10. 학습에 대응하는 신경학적 유사물
3막
11. 시냅스 연결 강화하기: 습관화, 민감화, 고전적 조건화
12. 신경생물학 및 행동 센터
13. 단순한 행동도 학습에 의해 교정될 수 있다
14. 시냅스는 경험에 의해 바뀐다
15. 개체성의 생물학적 토대
16. 분자와 단기기억
17. 장기기억으로의 변환
18. 기억 유전자
19. 유전자와 시냅스 사이의 대화
4막
20. 복잡한 기억으로의 회귀
21. 시냅스들은 우리가 가장 좋아하는 기억들도 보유한다
22. 뇌가 가진 외부 세계의 그림
23. 주의 집중의 비밀
5막
24. 작고 빨간 알약
25. 생쥐, 사람, 정신병
26. 새로운 정신병 치료법
27. 정신분석의 르네상스와 생물학
28. 의식을 이해하는 문제
6막
29. 스톡홀름을 거쳐 빈을 다시 만나다
30. 기억으로부터 배우기: 새로운 정신과학의 미래
옮긴이의 말 / 용어설명
주석과 참고문헌 /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기억은 우리 삶에 연속성을 제공한다. 기억은 과거에 대한 정합적인 상을 제공하고, 그 상은 현재의 경험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다. 그 상은 불합리하거나 부정확할 수도 있지만 존속한다. 기억의 결합력이 없다면, 경험은 살아가는 동안 만나는 무수한 순간들만큼 많은 조각들로 산산이 부서질 것이다. 기억이 제공하는 정신적 시간 여행이 없다면, 우리는 우리의 개인사를 알지 못할 것이며, 우리 삶의 찬란한 이정표로 작용하는 기쁨의 순간들을 회상할 길이 없을 것이다. 우리가 우리인 것은 우리가 배우고 기억하는 것들 때문이다.
과학자로서 성숙한다는 것은 많은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적어도 내게 핵심적인 뜻은 맛을 알게 된다는 것이었다. 미술의 맛을 알고 음악의 맛을 알고 음식과 포도주의 맛을 알듯이 말이다. 어떤 문제가 중요한지 직감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흥미로운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별하는 미각. 나는 내가 바로 그 미각을 발전시키고 있음을 느꼈다. 또 흥미로운 것들 중에서 실행 가능한 것을 골라내는 미각도.
당신이 이 책을 읽고 나서 그 내용을 조금이라도 기억한다면, 그것은 당신의 뇌가 약간 달라졌기 때문이다. 이렇게 경험의 결과로 새 시냅스 연결들을 성장시키는 능력은 진화 과정 내내 보존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