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25703923
· 쪽수 : 140쪽
· 출판일 : 2007-11-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제1장 2002년 이후에 무엇이 바뀌었나
1. '월드컵 주체'의 탄생
2. 그들은 왜 황우석을 지지하는가
3. '88만원 세대'의 출현
제2장 민족주의는 어떻게 재현되는가
1. 민족,그 부재
2. 민족주의는 어떻게 재현되는가
3. 민족주의라는 쾌락
제3장 낸시랭은 무엇인가
1. 자본주의,그 위험한 구조
2. 자본주의는 어떻게 낸시랭을 예술가로 만드는가
3. 쾌락은 위험을 추인한다
제4장 미국주의의 정신분석 : 친미, 반미, 민족주의라는 매듭
1. 미국주의는 정신분석의 대상이다
2. 미국이라는 자비의 표지
3. 반미주의는 없다
4. 미국주의라는 이데올로기
5. 미국과 민족,그 모순의 지점
제5장 '디 워' 현상과 비평의 곤혹
1. '디 워'라는 포르노그래피
2. 컴퓨턴는 어떻게 영화를 바꿔 놓았나
3. '디 워'는 새로운 영화가 아니다
제6장 민족주의와 함께, 민족주의를 넘어서
1. 된장녀와 앙드레김
2. 한국 민족주의의 슬픈 리얼리티
에필로그
더 읽어 볼만한 책들
저자소개
책속에서
'민족'이라는 숭고 대상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한국 문화,특히 대중문화의 이데올로기와 결합해서 작동하는지를 분석한다. 민족주의에 대한 오래된 믿음 중 하나가 민족주의와 이를 둘러싼 현상을 이데올로기로 본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의 민족주의는 이데올로기라기보다. 오히려 그 이데올로기와 섭동하는 판타지에 가까운 것이다. 한국에서 민족주의는 아직까지 '공식' 이데올로기로 정립된 적이 없었다. 이런 사실이, 몸은 철저하게 미국식 자본주의를 따르면서 생각은 누구보다도 민족적인 한국인의 모순을 적절하게 설명해 주는 것 같다. 한국의 민족주의는 오랫동안 금지된 쾌락에 속했다. 한국인에게 이 금지된 쾌락은 '단일민족'이라는 대상으로 현신한다. 불가능한 대상, '단일민족'에 대한 열망은 쾌락은 쾌락이되 고통스러운 향락을 반복하게 만든다. 이 대상이 채우고 있는 빈자리, 그 결여의 지점에 완전무결한 민족은 숭고 대상으로 존재한다. - 본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