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26814628
· 쪽수 : 438쪽
· 출판일 : 2010-08-30
책 소개
목차
제1장 평화연구의 의미와 방법
제1절 평화연구의 의미
제2절 평화연구의 방법
1. 기존 평화연구의 검토
2. 대안적 평화연구
3. 평화연구의 대상과 범위
제2장 평화에 관한 이론적 논의
제1절 전통적 관점의 평화이론
1. 현실주의적 관점의 소극적 평화이론
2. 자유주의적 관점의 적극적 평화이론
제2절 새로운 관점의 평화이론: 평화복합체론
1. 평화연구의 복합체적 관점과 접근법
2. 평화와 평화복합체론의 개념
3. 평화복합체론에 의한 평화분석과 의의
제3절 지속 가능한 평화의 개념과 성격
1. 지속 가능한 평화의 개념
2. 지속 가능한 평화체제와 한반도 평화체제
제3장 동북아의 평화환경과 조건
제1절 동북아의 평화복합체적 개념
1. 동북아의 다양한 개념
2. 평화복합체적 개념에 의한 동북아
제2절 동북아의 평화체제 구축 목적과 필요성
1. 단기적 목적과 필요성
2. 장기적 목적과 필요성
제3절 동북아의 평화체제 구축 현황
1. 다자안보적 평화체제의 구축 현황
2. 복합체적 평화체제의 구축 현황
제4절 동북아의 평화조건과 가치
1. 동북아의 평화조건과 평화축소 요인
2. 동북아의 평화가치와 평화촉진 요인
제4장 동북아의 평화체제 구축 모델
제1절 동북아의 평화체제 구축 가능성
1. 평화구조 형성의 특징과 변화 방향
2. 평화체제의 구축 가능성
제2절 평화조건의 연계성과 평화체제의 구축 모델
1. 평화조건에 따른 평화체제의 구축 모델
2. 평화조건 간의 파급효과에 따른 연계와 구축 순서
제3절 평화체제의 지속화 요인
1. 평화조건들의 상호 연계와 결합
2. 평화와 평화체제의 제도화
3. 평화전이와 평화행위자의 전략
제5장 동북아의 평화체제 구축 방안
제1절 동북아의 평화체제 구축 기본 전략
1. 참가국 문제: 단계적 확대
2. 의제 문제: 포괄적 설정
3. 제도화 문제: 점진적 접근
4. 평화전이와 지속화 문제: 연계적 결합
제2절 동북아의 평화체제 4단계 구축 방안
1. 제1단계-동북아의 경제평화 구축과 경제공동체 건설
2. 제2단계-동북아의 문화평화 구축과 문화공동체 건설
3. 제3단계-동북아의 정군평화 구축과 정군공동체 건설
4. 제4단계-평화복합체적 평화체제(평화공동체)의 구축
제6장 영구평화의 길
제1절 요약
제2절 영구평화를 위한 실천과제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