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범죄문제
· ISBN : 9788926816899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0-11-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시작하며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목적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내용과 절차
제4절 용어의 정의
1. 민간경비
2. 교육훈련
3. 경비업체
4. 민간경비 교육기관
5. 경호ㆍ경비 관련 학과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민간경비의 의의
1. 민간경비의 개념
2. 민간경비의 가치
3. 민간경비의 특성
4. 민간경비의 필요성
제2절 교육훈련의 의의
1. 교육훈련의 개념
2. 교육훈련의 목적과 중요성
3. 교육훈련의 방법과 기법
제3절 교육훈련의 시스템적 접근
제4절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구성
1. 교육훈련 참가자
2. 교육훈련 제공요소 및 특성
3. 교육과정 개발
4. 교과선정의 기준
제5절 경비원 교육훈련의 의의
1. 경비원 교육훈련의 목적
2. 경비원 교육훈련의 필요성
3. 교육훈련을 통한 효과
제6절 선행연구의 검토
제3장 치안환경과 민간경비 교육훈련제도의 실태
제1절 범죄추세와 치안환경의 변화
1. 범죄추세
2. 치안환경의 변화
제2절 공경비와 민간경비의 업무 주체
1. 공경비의 업무 주체
2. 민간경비의 업무 주체
3. 청원경찰
제3절 민간경비제도
1. 경비업법상 민간경비의 주요 제도
2. 민간경비 관련 주요 기관
제4절 민간경비 교육훈련제도
1. 경비원 교육훈련제도
2. 경비지도사 교육훈련제도
3. 청원경찰 교육훈련제도
4. 민간경비 교육기관
5. 대학교육
제5절 외국의 민간경비 교육훈련제도
1. 미국
2. 일본
3. 독일
4. 호주
제4장 한국 민간경비 교육훈련제도의 운영실태와 정립방안
제1절 치안정책의 변화와 민간경비 역할 증대
1. 패러다임 변화와 민간경비 치안활동 강화
2. 전문성 확보 및 의식의 전환
제2절 민간경비 교육훈련 관련 법제의 정비
1. 경비원 자격 관련 법령의 강화
2. 경비업무별 교육훈련 프로그램 정비
3. 경비업무별 자격제도 도입과 교육 프로그램 재구성
4. 경비업법과 청원경찰법의 통합 추진
5. 교육시간과 신임ㆍ직무교육제도 개선
6. 경호ㆍ경비 관련 학과 졸업자 활용
제3절 민간경비 교육기관의 역량 강화
1. 민간경비 교육기관 강사의 전문성 확보
2. 교육기관의 질적 향상
3. 교육기법의 개선 및 교육교재의 개발
4. 교육기관의 효율적 운영
제4절 대학교육기관 정체성 확보
제5절 경비지도사제도의 개정과 강화
제6절 유관기관 및 학계의 역할 증대
제5장 맺으며
제1절 결론
제2절 제언
부록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