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88926840542
· 쪽수 : 715쪽
· 출판일 : 2013-03-29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장 동아시아 중세문명의 중심과 범위
Ⅰ. 동아시아 고대문명의 위기와 중세문명의 중심 이동
1. 고대문명의 아르케와 중심의 이동
2. 고대 동아시아 문명의 위기와 중세의 시작
3. 동아시아 중세문명의 중심으로 떠오른 고려
Ⅱ. 사회사상사에서 본 중세의 범위
1. 사회사상사의 시대구분과 방향
2. 불교의 수용과 고대의 기점
3. 불교의 종파형성과 중세의 기점
4. 성리학의 종교화와 근세의 기점
5. 다국교의 전개와 최근세의 기점
제2장 중세사회의 사상적 기반
Ⅰ. 중세사회의 세 가지 사상
1. 관인의 교양과 유학
2. 모든 계층을 포괄한 불교
3. 기층의 신화종교와 지리설
Ⅱ. 사상체계와 예제
1. 시간관의 특성
2. 세계관과 법계관
3. 내세관과 조상숭배
Ⅲ. 왕실의 조상숭배
1. 왕실의 상례와 제례
2. 조상숭배를 위한 시설
3. 진전사원과 불교종파
4. 조상숭배의 시대별 변화
제3장 종파에 대한 통설의 비판
Ⅰ. 종파의 기원에 대한 시론
1. 여러 주장의 문제점
2. 고대와 중세의 견해
3. 종파형성의 분기점
Ⅱ. 선종 9산설의 비판
1. 9산문설의 기원과 문제점
2. 선문조사예참문의 9산문
3. 천태종에 흡수된 5산문
4. 선종사의 체계를 위한 방법론
Ⅲ. 교종 5종파설의 비판
1. 교종 5종파설의 문제점
2. 의천의 교학과 종파관
3. 3대 종파에서 4대 종파로
제4장 3대 종파의 계승과 소속사원
Ⅰ. 화엄종의 계승과 소속사원
1. 화엄종의 기원과 시대구분
2. 고승의 배출과 계승
3. 화엄종의 소속사원
Ⅱ. 유가종의 계승과 소속사원
1. 유가종의 기원과 시대구분
2. 고승의 배출과 계승
3. 유가종의 소속사원
Ⅲ. 조계종의 계승과 소속사원
1. 조계종의 기원과 시대구분
2. 고려 전기 고승의 배출
3. 고려 후기 고승의 계승
4. 조계종의 소속사원
제5장 고려 중기 사회와 사상의 변화
Ⅰ. 천태종의 형성과정과 소속사원
1. 천태종의 기원과 시대구분
2. 선종 5산문의 천태학
3. 천태종의 형성과정
4. 고승의 배출과 소속사원
Ⅱ. 불교계의 새로운 경향
1. 사회와 불교사상의 변화
2. 결사불교의 등장과 교리상의 융합
3. 신비사상과 군소종파의 성행
Ⅲ. 조계종의 부흥과 간화선의 전개
1. 선사상의 위기
2. 조계종의 자각
3. 송 임제종과의 교류
4. 간화선의 유행
제6장 불교제도의 확립과 전개
Ⅰ. 불교계의 조직과 행정제도
1. 출가에서 승계의 획득까지
2. 사원의 기능과 운영조직
3. 승록사와 승정의 통제
Ⅱ. 승과제도와 그 기능
1. 제도화 과정
2. 시행방법과 내용
3. 응시자격과 급제자의 대우
4. 후기 승과의 침체
Ⅲ. 국사와 왕사의 제도와 그 기능
1. 제도의 성립과정
2. 자격과 책봉절차
3. 시대별 기능의 변화
4. 종파와의 관계
Ⅳ. 개경사원의 기능과 소속종파
1. 시대별 창건과 분포
2. 다양한 기능
3. 종파와 종세의 반영
4. 사원과 종세의 변천
제7장 고려에서 이룩한 중세문명
Ⅰ. 대장도감판 대장경의 조성과 특성
1. 조성한 동기와 장소
2. 정판과 보판의 범위
3. 정판의 보수성과 보판의 현실성
4. 정판과 보판의 보존상 차이
Ⅱ. 보의 보험기능과 회계
1. 자본과 보험의 기능
2. 보의 기원과 관련 문서
3. 불국사서탑지와 보의 운용실태
4. 회계운용의 실제와 계승
Ⅲ. 부도와 탑비의 예술과 문학
1. 고승의 위상과 부도
2. 부도와 탑비의 제작
3. 부도의 예술과 탑비의 문학
제8장 고려화불의 채색과 보존
Ⅰ. 기원과 전성기
1. 개념과 기원
2. 어진과의 상관성
3. 전성기와 변화
Ⅱ. 채색의 수요와 공급
1. 특성과 사용
2. 수요와 생산
3. 무역과 고구려의 계승
Ⅲ. 유통과 보존의 국가별 특성
1. 조성과 유통
2. 국가별 현존상황
3. 보존의 국가별 특성
제9장 불교계의 갈등과 성리학의 등장
Ⅰ. 승정의 변화와 종파 간의 갈등
1. 정치와 사회의 배경
2. 불교계의 사상적 요인
3. 승려의 세속화와 갈등
4. 사원의 분쟁과 소속종파의 변화
Ⅱ. 성리학의 등장과 중세사회의 변화
1. 급제자와 새로운 계층의 등장
2. 성리학 수용의 여러 단계
3. 예제와 사회구조의 변화
Ⅲ. 조선 초 사원의 창건과 종파의 정리
1. 종파의 단순화 과정
2. 사원의 창건과 종파의 정리
3. 지역별 분포와 소속종파
제10장 중세 불교의 계승과 위상
Ⅰ. 시대별 중심사원의 변화
1. 고려의 10대사와 5대사
2. 조선의 회암사와 보현사
3. 법통과 대둔사의 위상
Ⅱ. 조계종의 계승과 법통
1. 기원과 확립시기
2. 법통에 관한 여러 견해
3. 태고와 나옹의 계승자
4. 법통과 지공의 계승자
Ⅲ. 동아시아 중세의 불교사부
1. 고승 출신 사부의 기원
2. 고려와 대하와 원의 사부
3. 동아시아 중세불교의 특성
제11장 동아시아의 남전불교 요소
Ⅰ. 동아시아 고대의 남전불교
1. 기원지의 공동화 현상
2. 남조의 남전불교
3. 달마와 진나의 활동
Ⅱ. 동아시아 중세의 남전불교
1. 당 현종의 몽진과 선종의 성행
2. 양자강 동남의 남전불교
3. 나한과 남전불교와의 관계
Ⅲ.한국 중세의 남전불교
1. 고려 조계종과 천태종의 남전불교 요소
2. 고려 최충의 사상과 남전불교의 영향
3. 마지막 남전불교의 포교사 지공선현
부록: 역대 국사와 왕사의 책봉
중문요약.영문목차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