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26868676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5-06-19
책 소개
목차
간행사
일러두기
서언
범례
제1편 서설
제1절 다산학의 시대적 배경
1. 다산시대의 정세
2. 다산학의 계보
제2절 수사학적 수기치인의 실학
1. 복고적 의의
2. 수사학의 선구자들
3. 다산학의 수사학적 구조
제3절 다산의 생애와 업적
제4절 유교경전학의 변천
1. 유교의 개념
2. 경전학의 성립
제2편 원리론 ― 일명 수사학론
제1장 수기치인 이전의 문제 ― 형이상학
제1절 삼천사상의 전개
제2절 다산의 천명관
1. 천자와 자성
2. 윤리적 숙명
3. 천리설
제3절 다산의 인성론
1. 성기호설
2. 도심은 천명이 깃들인 곳
3. 다산의 양성론
제4절 제유의 인성론
제5절 성리학 비판
1. 성리학의 분석
2. 주자의 양성론
3. 이기론의 시비
4. 심성정론
제6절 시중론
1. 중용의 의의
2. 성정 중화론
3. 가치론
제7절 정중론
1. 역리와 천명과의 관계
2. 음양변화의 상
3. 14벽괘론
4. 4정괘론
5. 태극과 구육의 상
제8절 성중의 성인지도
1. 성중원리의 성립
2. 신독군자론
3. 성성일여(誠聖一如)론
4. 생성화육의 도
제2장 행인의 실천윤리 ― 수기지학
제1절 공자의 인
1. 인륜적 실존
2. 행인의 길[道]
3. 인륜의 성덕
4. 남에게 주는 사랑
제2절 충서지도
1. 일관지도로서의 도
2. 중심행서로서의 충서
제3절 덕론
1. 행오지직심(行吾之直心)
2. 인과 서와 덕과의 관계
3. 효제자로서의 명덕
4. 제덕의 개관
제4절 맹자의 오륜
1. 사단론
2. 오륜사상의 형성
3. 현인정치론
제3장 인도의 확충 ― 치인지학
제1절 예악론
1. 예악의 본질
2. 일표이서와 예악형정
3. 예악중화론
제2절 왕정론
1. 존현론
2. 과거제도의 비판
3. 이재론
4. 여전론
제3절 목민지도
1. 목민의 윤리
2. 민지부모
3. 중농정책
제4절 이상국가론
1. 요순의 이상화
2. 주례의 존숭
3. 현실비판과 자아각성
4. 날로 새로워야 하는 길
결 론
제1절 다산경학사상의 짜임새
제2절 본래적 유학의 개관
제3절 여론 ― 앞으로의 문제
발문
편집 후기
『현암 이을호 전서』27책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