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26880975
· 쪽수 : 311쪽
· 출판일 : 2017-08-0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part 01_숫자 3의 의미
⋅인류 최초의 수 개념
⋅인류 최초의 셈법
⋅기본수의 발명
⋅숫자의 발명
⋅숫자 3의 비밀
⋅숫자 3의 신비로움
⋅3의 세상
part 02_철학 속의 3
⋅3가지의 철학적 요구(회의, 모순, 절망)
⋅3가지의 철학 개념
⋅3가지의 개념 종류
⋅상식, 과학, 철학의 구분
⋅철학의 3대 분야(실재, 인식, 가치)
⋅실재(實在)에 관한 3가지 의론
⋅인식론(認識論)에 관한 3가지 의론
⋅실체(實體) 구성의 3단계(질료, 형상, 순수형상)
⋅가치론(價値論)의 3분야
⋅현대철학의 3가지 방향
⋅동양의 3대 전통철학(유학, 노장철학, 불교철학)
part 03_세계사 속의 3
⋅세계는 3대 육지로 출발
⋅농업혁명을 통한 3대 계급 탄생
⋅세계 3대 문명
⋅로마시대의 세계 3국(로마, 중국, 제 3세계국)
⋅세계 3대 종교 발생
⋅칭기즈칸 시대의 세계 3국(몽골, 중국, 제 3세계국)
⋅18세기 아메리카 대륙의 세력 3국(영국, 프랑스, 미국)
⋅18세기 운송수단을 위한 3대 발명(증기기관, 철도, 전신)
⋅제 1차 세계대전의 세계국 3구분(동맹국, 연합국, 중립국)
⋅제 2차 세계대전의 세계국 3구분(동맹국, 연합국, 중립국)
part 04_한국사 속의 3
⋅고조선 시대의 3국(고조선, 한, 흉노)
⋅고조선 이후의 국가 3분류(부여, 고구려, 기타국)
⋅4세기의 우리나라 3국(고구려, 백제, 신라)
⋅5∼6세기의 우리나라 3국(고구려, 백제, 신라)
⋅7∼8세기의 한반도 주변 3국(발해, 당, 신라)
⋅후삼국 시대 3명의 세력가(견훤, 궁예, 왕건)
⋅11세기 고려시대의 주요 3국(고려, 요, 송)
⋅13세기 고려시대의 주요 3국(고려, 원, 일본)
⋅조선시대 중기의 3세력(왕, 훈구파, 사림파)
⋅16세기 조선시대의 3국(조선, 왜, 명)
⋅19세기 조선시대의 3국(조선, 청, 일본)
⋅19세기 말의 3국(대한제국, 러시아, 일본)
part 05_한국 문화 속의 3
⋅우리나라의 3가지 전통 그릇(청자, 백자, 분청자)
⋅한옥 재료의 세 가지(돌, 흙, 종이)
⋅불탑(佛塔)의 세 부분(기단부, 탑신부, 상륜부)
⋅우리나라 궁궐 왕실의 세 공간(내전, 외전, 동궁)
⋅판소리의 세 역할(소리꾼, 고수, 구경꾼)
⋅한국음악의 장단은 3박자
⋅집안의 3대 신(성주신, 삼신할머니, 조왕신)
⋅장독대의 3대 장독(간장독, 된장독, 고추장독)
⋅초가삼간(草家三間)
⋅갓난아기 일 년 동안 세 번의 통과의례(삼칠일, 백일, 첫돌)
part 06_인간 속의 3
⋅신체의 3부분(머리, 몸통, 팔다리)
⋅인체의 구조적 3단계(세포, 기관, 기관계)
⋅대뇌의 기능 영역 3분류(감각영역, 운동영역, 연합 영역)
⋅뇌의 3부위(좌뇌, 우뇌, 뇌량)
⋅인간 정신활동의 3단계(입력활동, 처리활동, 출력활동)
⋅인간의 3가지 기분 상태(좋음, 나쁨, 중간)
⋅인간의 인격체계 3요소(본능, 정신 주관, 이상)
⋅인간 욕구의 3분야(생리적 욕구, 유기체적 심리적 욕구, 획득된 사회적 욕구)
⋅자기결정의 양에 따른 동기의 3구분(무동기, 외재적 동기, 내재적 동기)
part 07_성공의 3
7.1. 성찰
⋅3의 성찰
⋅성공의 3요소(성찰, 창의, 실천)
⋅자신의 경험에 관한 3가지의 설명양식(비관성, 낙관성, 통제성)
⋅행복하기 위한 3가지 요소(직업적 성취, 외적 관계, 내적 추구)
⋅성공 메커니즘의 3요소(자동 시스템, 창조 시스템, 생각 틀)
7.2. 창의
⋅창의의 3단계(창의 대상, 창의 해결, 창의 산물)
⋅창의 모드 전환을 위한 3요소(동기, 통제, 환경)
⋅창의시스템의 3요소(창의적 인식, 창의적 처리, 창의적 실행)
⋅창의력 증강을 위해 고려해야 할 3요소(시간, 공간, 개체)
⋅창의 해결의 3구분(방안 습득, 심리적 창의, 역사적 창의)
7.3. 행동
⋅성공을 위한 습관의 3요소(What, How, Why)
⋅성공을 위한 행동의 3단계(목표설정, 활동수행, 목표달성) / 294
⋅성공을 위한 내적 자산 투자 3가지(신체적 자산 투자, 지적 자산 투자, 감정적 자산 투자)
⋅인간관계의 3가지 요소(언어, 감정, 행동)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