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북새기략 북관기사 북여요선

북새기략 북관기사 북여요선

(조선 후기의 북방 지리서)

홍양호, 홍의영, 이범윤, 김노규 (지은이), 손성필, 오세옥, 이정욱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북새기략 북관기사 북여요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새기략 북관기사 북여요선 (조선 후기의 북방 지리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28405732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9-01-04

책 소개

북방 지역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북새기략》, 북관 지역에 관한 여러 정보와 의견을 기록한 《북관기사》, 북간도 지역이 조선의 영토임을 입증하고자 편찬한 《북여요선》이 저술되었다.

목차

해제
《북새기략》·《북관기사》·《북여요선》 조선 후기 사람들에게 ‘북방’은 어떤 의미였는가? | 손성필∙9

북새기략
일러두기∙32
공주풍토기∙33
북관고적기∙45
교시잡록∙57
강외기문∙63
백두산고∙70
해로고∙93
영로고∙96

校勘標點 北塞記略
凡例∙104
孔州風土記∙107
北關古蹟記∙112
交市雜錄∙117
江外記聞∙120
白頭山考∙123
海路考∙133
嶺路考∙135

북관기사
일러두기∙140
왕업이 흥기한 사적∙141
산천과 도리∙148
풍토와 민속∙180
관방 사의∙187
무산 사의∙219
개시 사의∙224
행영 사의∙233
북평사 사의∙236
전부 사의∙241
군정 사의∙247
조적 사의∙252
해호 및 진상에 대한 사의∙256

校勘標點 北關紀事
凡例∙262
興王事蹟∙265
山川道里∙268
風土民俗∙282
關防事宜∙286
茂山事宜∙302
開市事宜∙304
行營事宜∙308
北評事事宜∙310
田賦事宜∙312
軍丁事宜∙315
糶糴事宜∙317
海戶進上事宜∙319

북여요선
일러두기∙322
서문|이건하∙323
서문|김가진∙327
서문|유완무∙331
서문|오재영∙334
총설∙336

북여요선 상
백두산 옛 사적에 대한 고찰∙339
백두산 아래 발상 고적을 첨부함∙345
백두산 옛 강역에 대한 고찰∙359
〈백두산도〉에 대한 고찰∙370
백두산정계비 내용에 대한 고찰∙376

북여요선 하
강역의 경계를 탐사한 공문에 대한 고찰∙382
강역의 경계를 감정한 공문에 대한 고찰∙389
강역의 경계를 살핀 공문에 대한 고찰∙395
강역의 경계를 조사한 공문에 대한 고찰∙400
발문|이병순∙408

凡例∙412
序|李乾夏∙415
序|金嘉鎭∙417
序|柳完茂∙419
序|吳在英∙420
總說∙421

北輿要選 上
白頭古蹟攷∙423
附白頭山下發祥古蹟∙425
白頭舊疆攷∙430
白頭圖本攷∙435
白頭碑記攷∙437

北輿要選 下
探界公文攷∙440
勘界公文攷∙443
察界公文攷∙446
査界公文攷∙449
跋|李秉純∙453

저자소개

홍양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24(경종4)~1802(순조2). 본관은 풍산(豐山), 초명은 양한(良漢), 자는 한사(漢師), 호는 이계(耳溪),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홍진보(洪鎭輔)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외숙인 저촌(樗村) 심육(沈錥)에게 수학(受學{)하였다. 24세(1747, 영조23)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29세(1752, 영조28)에 문과 정시(文科庭試)에 급제하였다. 내외의 관직을 두루 거쳐 70세(1793, 정조17)에 대제학에 올랐으며 이후 여러 차례 대제학을 맡아 문형(文衡)을 주관하였다. 59세(1782, 정조6)에 동지겸사은부사(冬至兼謝恩副使), 71세에 동지정사(冬至正使)로 중국에 다녀왔다. 문장은 육경(六經)에 근본하고 제자(諸子)를 참작하여 순정하고 웅혼하며 법도가 구비되어 있다는 평을 얻었는데 이는 시속(時俗)에 구애받거나 수식을 일삼는 것 없이 자연스러운 인심의 발현을 주장한 천기론(天機論)으로 발현된다. 또한 청(淸)나라 기윤(紀昀)으로부터 화평하고 온유하여 기교와 수식이 없고 국계와 민생을 항상 잊지 않아 음풍농월(吟風弄月) 하는 기습이 없다는 평을 받기도 하였는데, 이는 국토와 백성의 현실을 진솔하게 드러내고 민요나 설화 등 민족 문학의 성취를 수용한 성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영․정조 중흥기에 실용적이고 현실주의적 입장을 견지하며 정치와 문학 양방면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이뤄낸 관인이자 학자이자 문인이라 할 수 있다.
펼치기
홍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범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노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오세옥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 한국고전번역원 수석연구위원. 《한국문집총간》 수록 문집 해제를 집필하였고, 《승정원일기》, 《명재유고》, 《사직서의궤》, 《경모궁의궤》, 《천의소감》 등의 번역에 참여하였다.
펼치기
손성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교육원 연수과정을 졸업하였고, 대학원에서 역사학으로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한국문집총간 편찬, 《북새기략・북관기사・북여요선》 번역 등에 참여하였고, 〈《진심직설(眞心直說)》 판본 계통과 보조지눌(普照知訥) 찬술설의 출현 배경〉, 〈《북새기략》의 편찬 경위와 편찬자 문제〉 등의 논문 다수를 집필하였다.
펼치기
이정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을 수료하였으며,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와 일반연구부를 졸업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에 재직 중이다. 번역서로 『교감학개론』(공역, 2013), 『주석학개론』(공역, 2014), 『사고전서 이해의 첫걸음:사고제요서강소(四庫提要敍講疏)』(공역, 2016), 『북여요선』(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