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88928514304
· 쪽수 : 449쪽
· 출판일 : 2020-04-19
목차
머리말
제1부 섬과 바다의 민속을 어떻게 연구할까
제1장 섬의 민속학, 무엇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1. 섬 민속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 이유
2. 어떤 관점에서 다룰 것인가
3. 어떤 방법으로 연구할 것인가
4. 무엇을 주목하는가 : 네 가지 열쇠말
제2장 섬을 보는 여러 관점, 도서성을 어떻게 이해할까
1. 고립된 곳, 고형 문화의 잔존 지역으로 보는 관점
2. 중앙정치와 유배인의 입장에서 보는 관점
3. 대중문화에 담긴 타자화된 이미지와 개발주의자의 관점
4. 교류와 내?외부의 관계를 아우르는 관점
제2부 적응 : 생태환경에 대한 적응과 섬 생활
제1장 전통항해술과 전통지식-강진 옹기배 사공 신연호의 사례
1. 옹기배 사공 신연호 구술자료의 중요성
2. 전통항해술과 전통지식을 주목하는 이유
3. 민속기후학적 지식 : 항해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예측하는 지식
4. 바람과 배질 : 바람에 대한 인지체계와 항해술
5. 전통항해술과 전통지식의 전승의미
제2장 생태환경에 대한 적응과 어로활동-가거도의 멸치잡이 민속지
1. 전통지식과 어로활동을 주목하는 이유
2. 생태환경에 대한 인지와 전통지식
3. 멸치잡이에 나타난 생태적 적응성
4. 전통지식과 어로 적절성의 의미
제3장 자연에 대한 적응과 민속생태학적 환경 인지-완도 생일 사람들의 사례
1. 머리말
2. 마을별 어장 구획에 타나난 생태환경 인지
3. 공동체신앙에 나타난 공간 구성과 환경 인지
4. 맺음말
제4장 섬의 농업에 나타난 생태문화적 적응 양상-청산도 구들장논의 사례
1. 청산도 구들장논을 주목하는 이유
2. 청산도의 자연환경과 구들장논의 분포
3. 구들장논의 구조와 관개 방식
4. 구들장논의 경작 기술과 논갈이
5. 구들장논의 생태문화적 의미
제3부 교류 : 섬과 육지 그리고 해역 간 교류의 양상
제1장 도서지역의 사회문화적 네트워크와 교류-다도해를 중심으로
1. 다도해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살피는 이유
2. 일상의 나룻배 네트워크
3. 어로활동 네트워크
4. 교역활동 네트워크
5. 네트워크에 토대를 둔 교류의 다양성
제2장 남해안 어민들의 원거리 어로활동과 교류
1. 머리말
2. 어로활동의 유형
3. 원거리 어로활동의 양상
4. 맺음말
제3장 울릉도와 거문도-남해안 어민들의 울릉도 진출 기록과 기억
1. 머리말
2. ?울릉도검찰일기?에 나타난 활동상
3. 구전자료를 통해 본 활동상
4. 맺음말
제4장 섬으로 간 남사당의 행방과 도서지역의 상례놀이
1. 도서지역의 상례놀이, 유교적 엄숙주의와 다른 파격
2. 도서지역 상례놀이에서 발견되는 남사당
3. 남사당의 활동상과 도서지역의 남사당소리
4. 남사당이 섬으로 간 이유와 도서지역의 사회적 배경
5. 상례놀이의 전승 기반과 남사당의 토착화
제4부 경제활동 : 어촌의 경제활동과 민속 전승의 배경 241
제1장 포구의 어업경제적 배경과 매개적 기능-서해안 포구를 중심으로
1. 포구에 대한 민속학적 관심
2. 포구의 어업경제적 배경과 특징
3. 포구의 매개적 기능과 문화 교류
4. 포구민속 연구의 가능성
제2장 어촌의 경제적 배경과 마을굿의 변모-당제 문서를 통해본 칠산 해역의 두 사례
1. 칠산 해역의 두 사례를 주목하는 이유
2. 어촌 마을굿의 경제적 기반
3. 경제적 기반의 변화와 마을굿의 변모
제3장 옛 어촌의 생업 변화와 마을굿의 변모-시흥 새우개의 사례
1. 머리말
2. 새우개 사람들의 생업활동과 그 변화
3. 마을 공동체와 도당제의 관련성
4. 맺음말
제4장 어로의 의례적 재현과 어업 형태의 대응
1. 어로와 의례의 상관성을 살피는 이유
2. 어업 의례의 전승현황과 지역별 대비
3. 제주도 채취 어로의 의례적 재현
4. 황해도 어선 어로의 의례적 재현
5. 어업 의례의 형태별?지역별 대응 의미
제5부 연행 : 공동체의 사회적?예술적 표현과 기억
제1장 연행되는 파시, 그 파노라마적 풍경과 파시 주체의 욕망
1. 연행의 관점에서 파시를 주목하는 이유
2. 파시의 성립 조건과 배경
3. 파시의 연행과 그 파노라마적 풍경
4. 욕망의 교집합과 타자화된 욕망
5. 파시 산다이에 나타난 욕망과 유흥의 정서
6. 논의의 확장 가능성
제2장 농악 연행 공간의 확장, 선창굿과 간척지굿의 병행-고흥 월포농악의 사례
1. 월포농악의 연행 공간을 주목하는 이유
2. 당제와 연계된 제의적 연행
3. 생업 공간의 확장과 선창굿-간척지굿의 병행
4. 농악 연행 속에 새로운 생업 공간이 수용된 의미
제3장 미황사 군고패에 대한 공동체의 기억과 그 재현양상
1. 머리말
2. 미황사 군고패에 대한 기억과 구전
3. 도제 속에 수용된 군고패에 대한 기억과 의례 전승
4. 군고패에 대한 재해석과 기획의 의미
5. 맺음말
제4장 발광대놀이의 연행내용과 창조적 재현
1. 발광대놀이의 재현과 기록화 과정
2. 발광대놀이의 연행내용
3. 발광대놀이의 특징과 창조적 재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