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28516599
· 쪽수 : 519쪽
· 출판일 : 2021-08-31
목차
발간사
축사
머리말
화보
강강술래 연행장면(2017 공개발표회)
그 때 그 시절 강강술래
세계로 퍼져가는강강술래
1부 | 강강술래의 전승 현황
I. 강강술래의 현황
1. 세시풍속 놀이에서 공연예술로 변화
2. 1950-60년대 진도 강강술래의 공연 사례
3. 1960-70년대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출연
4. 1966년 국가무형문화재 제8호 지정
II. 역대 보유자와 강강술래보존회의 활동
1. 강강술래 역대 보유자
2. 강강술래보존회의 활동
III. 강강술래 자료 개관
1. 옛기록 속의 강강술래
2. 1950~1970년대 중반의 강강술래 자료
3. 1970년대 후반~2010년대의 강강술래 자료
IV. 그림과 함께 보는 강강술래의 연행 방식
1. 강강술래
2. 남한산성 도척이야
2부 | 강강술래 기록화의 의미와 활용 방향
I. 기록화의 필요성
II. 기록화의 의미
III. 활용 방향
1. 강강술래의 다양성 회복
2. 여흥놀이의 재조명과 재창조
3. 이야기가 담긴 강강술래, 전통의 재창조
3부 | 강강술래의 다양성, 그 기억과 기록
I. 진도읍
1. 문화재팀
1) 2017년 국가무형문화재 공개발표회
2) 2006년 『진도 강강술래』(국립남도국악원)
3) 2005년 『진도의 혼』(국립남도국악원)
2. 동외리
1) 김종심
2) 박종숙
II. 군내면
1. 둔전리
1) 최소심
(1) 『구비문학대계』 | (2) 『한국민요대전』
2) 박용순
2. 분토리 박영자
III. 고군면
1. 지막리 양홍도
1) 『전라도 민요』 4-1
2) 『전라도 민요』 6-5
3) 『임석재채록 한국구연민요』
2. 오상리 박정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