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샤머니즘/무속
· ISBN : 9788928514434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0-05-30
목차
머리말
총론 한국무속지
제1부 굿의 전승 기반
1장 동해안 세습무의 학습체계
1. 서론
2. 학습 체계
3. 변화 양상
4. 변화 요인
5. 결론
2장 무당의 이주와 무권역
1. 서론
2. 동해안의 사씨 무계보
3. 사씨 무계의 이주와 무권역의 재편
4. 결론
3장 별신굿의 경제적 기반과 전승주체
1. 서론
2. 물적 토대와 조직의 변화
3. 별신굿에서 풍어제로의 전환
4. 결론
제2부 굿의 구성 요소
1장 동해안 무집단 지화의 문화적 의미
1. 서론
2. 무의례와 관련된 지화의 상징적 의미
3. 무집단의 교류와 지화의 전승
4. 일생의례에서의 지화 차용
5. 의례에 따른 지화의 사용과 경제적 기능
6. 결론
2장 동해안 굿의 불교의식 수용과 제의성 발현
1. 서론
2. 지역사적 토대
3. 필사본 무가로 본 불경과 불교가사의 수용
4. 도량과 굿당의 장식 비교
5. 불교의식과 신앙의 수용
6. 제의성 발현
3장 굿의 형식 전환과 무악의 변화
1. 서론
2. 북으로 올라간 바리데기풀이
3. 심청굿의 전파와 수용
4. 남으로 내려간 당금애기풀이
5. 서사무가의 전파와 장단의 재구성
제3부 굿의 실상
1장 동해안 굿에서의 오구굿이 지니는 의의
1. 서론
2. 무의례의 층위별 역할과 활동범위
3. 오구굿의 의미와 성격
4. 결론
2장 심청굿의 전승과 확산
1. 서론
2. 맹인거리와 추남굿
3. 심청굿
4. 심청굿의 확산과 의미 전환
5. 결론
3장 동해안 무속에서 광인굿의 위상
1. 서론
2. 동해안 굿의 순차적 구조
3. 광인굿에 대한 기억과 실체
4. 광인굿의 내용과 재현
5.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