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28514793
· 쪽수 : 446쪽
· 출판일 : 2020-08-31
목차
머리말
1부|연행문화에 내재하는 민속지식의 전승
솟대놀음의 변화와 놀음의 미학 |한양명|
1. 솟대쟁이놀음에 대한 관심
2. 솟대의 변화와 솟대놀음의 추이
3. 놀음판의 운영과 연행의 원리
울산 매귀악煤鬼樂의 성격과 민속사적 의의 |한양명|
1. 울산 매귀악의 출현
2. 지방나례와 매귀의 전통
3. 울산 매귀악의 절차와 내용
4. 울산 매귀악의 민속사적 위상과 의의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부채춤, 그 춤사위와 미적 지향 |전성희|
1. 민족춤, ‘창작-전통’의 경계를 넘나들며
2. 부채춤의 창작배경과 공적 소비
3. 부채춤의 춤사위와 미적 지향
4. 전통적 이미지와 삶의 미래상 담기
<영산할아뱜할먐> 굿놀이의 양식성과 문화적 의미 |강석민|
1. 연구 대상과 목적
2. 무당굿놀이의 연구 경향과 해석의 전제
3. <영산할아뱜할먐놀이>의 연행양상과 특징
4. <영산할아뱜할먐놀이>의 양식적 층위와 그 기능
5. 요약과 전망
2부|신앙과 의례 관련 민속지식의 전승
경북도청 이전지역 일원의 풍수 인식 |배영동|
1. 풍수 인식과 전승지식
2. 도청 이전지역의 자연지리
3. 지리지로 본 도청 이전지역의 인문지리
4. 도청 이전지역에 대한 최근의 풍수 논의
5. 주민들의 인식으로 본 도청 이전지역 풍수
6. 풍수적 조건보다 적절한 관리가 중요
마지막 잽이꾼을 통해 본 전라 윗녘 무풍속의 전승 실제와 지식 체계 |이영배|
1. 구술 주체와 그 기억의 특이성
2. 혼종적 경험 주체로서 잽이꾼의 내력과 특성
3. 민삼현육각의 전승 기반과 명인에 대한 기억
4. 전라 윗녘 무풍속의 계열과 그 본래의 기억
5. 기억의 재현 과정에 비친 구술자의 자의식과 담화적 진실
6. 최병호의 전라 윗녘 무풍속론의 대강大綱과 그 의미
7. 전승의 불가능성과 복원된 기억의 음미 가능성
동해안 오구굿의 의례 과정과 죽음 인식 |이용범|
1. 동해안 오구굿에 대한 접근 관점
2. 동해안 오구굿의 의례 과정 및 구조
3. 동해안 오구굿의 특징과 죽음 인식
4. 함께하는 삶, 함께하는 죽음
20세기 중후반 농·어촌의 회갑잔치 존재양상과 수행지식 |박선미|
1. 회갑잔치의 개념과 연구의 필요성
2. 농촌과 어촌의 회갑잔치 수행조건 비교
3. 농촌과 어촌의 회갑잔치 진행과정 비교
4. 농촌과 어촌의 생업과 경제사정에 따른 잔치음식 비교
5. 농촌과 어촌의 회갑잔치 수행여부와 성차별 비교
6. 회갑잔치의 수행지식과 선택적 의례의 의미
3부|생활전통과 상품 속의 민속지식 전승
상품화된 ‘전통’ 소비의 문화적 의미 |이진교|
1. 한국민속촌의 유혹
2. 한국민속촌을 통한 현대 한국사회 독해의 가능성
3. 관광동선과 전통 소비의 다중성
4. 향수로서 전통 소비의 두 유형
5. 현대인들의 욕망을 구현한 시공간으로서 한국민속촌
옹기 제작에 나타나는 전승지식의 양상 |이한승|
1. 옹기 제작에 내재된 전승지식 고찰
2. 옹기흙에 대한 전승지식
3. 옹기성형에 대한 전승지식
4. 시유와 건조에 대한 전승지식
5. 가마재임에 대한 전승지식
6. 가마 불때기에 대한 전승지식
7. 옹기 제작의 단계와 지식의 연속성
중국 조선족과 한국인의 텃밭 활용형태 비교 |최유정|
1. 비교연구의 대상으로서 텃밭 활용
2. 조선족의 텃밭 활용양상
3. 한국인의 텃밭 활용양상
4. 텃밭 활용양상의 공통점과 차이점
5. 텃밭 활용의 차이와 문화접변
농촌 여성들의 ‘파마’ 경험을 통해 본 혼례 전통의 변화 |공다해|
1. 압축적 근대화와 의례 수행의 상관성
2. ‘파마’의 기억, 세대 취향의 구분선
3. 의례 기능의 전이와 ‘파마’의 수행성
4. 혼례 전통의 변형과 젠더 규범의 조정
참고문헌
찾아보기
글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