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섬의 변화와 혼돈, 적응과 지속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28518630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3-05-30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28518630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3-05-30
책 소개
변동 국면 속에서 섬다움의 회복과 지속을 위해 주민들을 비롯한 국가와 지자체, 민간단체, 학계 등 다양한 주체가 어떻게 대응하는가가 중요해진다. 21세기의 섬다움과 지속가능한 섬의 미래는 인문주체들과 긴밀하게 소통하는 과정에서 찾아질 것이다.
목차
발간사
1부 섬의 문화적 특징과 정체성의 변화
‘아일랜드니스(islandness)’의 문화적 특징과 의미현대 한국의 섬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홍석준
농촌과 어촌의 전통적 노동공동체 비교농촌의 두레와 어촌의 갱번조직을 주목하여|송기태
16세기 노수신의 珍島 유배생활과 섬 주민에게 끼친 영향|김경옥
19세기 말-20세기 초 ‘流配案’ 자료를 통해 본 島配 양상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자료의 통계적 분석 사례|임학성
암태도 소작쟁의의 참여 인물과 쟁의의 특징|최성환
2부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섬 생태문화
지구환경 변화에 따른 섬 인문지형 변동과 섬 정체성의 변화생태ㆍ문화적 배경과 방법론을 중심으로|홍선기
물때 이용의 다양성과 지식의 혼돈, 그리고 적응|송기태
자카르타 생물문화다양성을 위한 도시녹지경관 관리에 대한 소고小考|김재은
3부 섬 네트워크의 변화와 주민생활
항로네트워크의 변화에 따른 항구도시의 영향 연구전남 서남권 목포항을 중심으로|박성현
연륙ㆍ연도교 개통에 따른 섬 사회의 변화와 지속가능한 발전|박성현
도서지역 마을공동체 사업의 지속가능성|이경아
섬과 어촌마을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제언|홍선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