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돈황 장식 도안

돈황 장식 도안

관유회이 (지은이), 판진스 (엮은이), 김진아 (옮긴이)
민속원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27,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700원
24,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돈황 장식 도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돈황 장식 도안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중국문화
· ISBN : 9788928519880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4-05-06

책 소개

돈황의 도안들은 풍부한 문양과 화려한 색채뿐만 아니라 계승관계와 발전맥락 또한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돈황 석굴은 각 시대별 장식예술이 보관된 세계 최대의 수장고이자 도감이라 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부록

총론 우아하고 화려한 지혜의 꽃

제1장 장중하고 소박한 건축문양
: 북조北朝(AD 386~581년)

1. 북조北朝 돈황석굴 도안 개황
2. 평기平棊: 신비한 꽃과 동물들이 어우러진 사각우물
3. 인자파人字坡: 천인과 연화의 공간
4. 조정藻井: 그림으로 그린 목조 조정과 화개
5. 화개花蓋: 지위의 상징
6. 감미龕楣: 동자와 화조의 세계
7. 배광背光: 불꽃과 빛살의 이미지
8. 변식邊飾: 북조 도안의 문을 여는 열쇠

제2장 아름다운 화개 아래서 103
: 수隋(581~618년)

1. 수대의 돈황 석굴 도안 개황
2. 조정藻井: 수대 도안의 집대성
3. 감미龕楣: 불꽃 속에서 태어나는 연화동자
4. 배광背光: 불꽃 속에서 타오르는 생생한 기운
5. 변식邊飾: 형형색색의 아름다운 띠는 어디로 이어지는가?

제3장 찬란하고 아름다운 연화세계
: 초당初唐에서 성당盛唐까지(618~781년)

1. 초당과 성당의 돈황 석굴 도안 개괄
2. 초당의 조정: 연화지蓮花池에서 자라나는 포도와 석류
3. 성당의 조정: 비단처럼 화려한 꽃다발
4. 초당의 변식: 화조와 동물이 새겨진 비단띠
5. 성당의 변식: 변식 문양의 전성기
6. 배광과 화개: 소박한 불문佛門의 화려한 장식

제4장 간결하고 아름다운 사막의 꽃
: 중당中唐, 만당晩唐(781-910년)

1. 중당과 만당의 돈황 석굴 개괄
2. 조정: 중당과 만당 조정에 등장한 새로운 문양
3. 불감, 배병背屛, 평기: 복잡하고 화려한 신문양
4. 변식: 고요에서 양식화의 길로
5. 배광과 화개: 찬란한 곡선의 빛살

제5장 금빛 찬란한 비룡과 봉황
: 오대五代, 송宋(914~1036년)

1. 오대에서 송대 돈황 석굴 도안 개괄
2. 오대 조정: 황권을 상징하는 용과 봉황, 길상을 상징하는 사자
3. 송대의 조정: 금빛찬란한 용과 봉황
4. 불감과 평기: 당대와 오대의 기질적 차이
5. 변식: 활력이 넘치는 색띠
6. 배광과 화개: 당대 문양의 복제품

제6장 다민족이 피워낸 아름다운 꽃
: 서하西夏, 원元(1032-1368년)

1. 서하에서 원대 사이 돈황 석굴 도안 개괄
2. 서하의 조정: 복잡한 변식은 건축채화를 모방한 것인가?
3. 서하의 배광과 화개: 세밀한 행운 권와行雲卷渦
4. 원대의 조정: 신비한 도상 속의 새로운 문양

저자소개

관유회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2~2022년 7월10일) 중국공산당원, 1953년 서북 예술학원 미술학과를 졸업. 같은 해 돈황문물연구소에서 벽화 모사작업을 연구, 1993년 퇴임하였다. 중국의 저명한 미술가이자 돈황학 연구 전문가로 돈황연구원미술연구소장을 역임 한 바가 있다. 2022년 7월 10일 향년 90세로 돈황에서 별세하였다.
펼치기
판진스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족(漢族) 여성으로 저장성 항저우가 본적지이다. 1938년 베이핑(北平, 오늘날 베이징)에서 태어났다. 현재 둔황연구원의 명예원장을 맡고 있다. 1963년 베이징대학을 졸업한 후 당시 둔황연구원(당시에는 둔황연구소였다)에 들어와 40여 년을 일했다. 세간에서 판진스를 ‘둔황의 딸’로 부른다. 석굴의 고고학 연구 및 과학적 보존 방법에 크게 공헌하였다. 제12대 중국정치협상회의(공산당을 비롯한 8개 정당의 대표와 각 단체와 소수민족, 홍콩과 마카오 동포 등을 묶어 구성한 정책자문기구) 위원이며, 2007년 11월 중앙문사연구관(中央文史硏究館)의 일원으로 위촉되었다. 둔황 문물 보호 및 연구 사업에 40여 년간 종사하면서 석굴의 고고학 연구 및 과학적 보존 방법 개발에 크게 공헌하였다. 저서로 《둔황 석굴(敦煌石窟)》, 《둔황 석굴 전집 : 불전고사화(敦煌石窟全集·佛傳故事畫卷)》, 《중국 벽화 전집 : 둔황편 제3권 북주(中國壁畫全集·敦煌·3·北周卷)》, 《안서 유림굴(安西楡林窟)》 등 10여 종의 둔황 석굴 고고미술학 전문 서적이 있다. 편저자로 참여한 저서도 여러 권이 있다. 《중국 미술 분류 전집 : 중국 벽화 전집(中國美術分類全集·中國壁畫全集)》에서 둔황 벽화 부분을 집필했고, 전26권인 《둔황 석굴 전집(敦煌石窟全集)》과 전13권인 《둔황을 해독하다(解讀敦煌)》에도 대표 편저자로 참여했다. 이 전집들은 둔황 석굴 예술 연구 분야에서 필수적인 대규모 총서들이다. 또한 〈막고굴 북조 동굴 분기(莫高窟北朝洞窟分期)〉, 〈막고굴 수나라 동굴 분기(莫高窟隋代洞窟分期)〉, 〈막고굴 당나라 전기 동굴 분기(莫高窟唐代前期洞窟分期)〉, 〈둔황 막고굴 제290굴의 불전고사화(敦煌莫高窟第290窟的佛傳故事畫)〉, 〈막고굴 역사 유적으로 살펴본 막고굴 절벽의 안정성(從莫高窟曆史遺迹探討莫高窟崖體的穩定性)〉, 〈현장의 불경 번역과 둔황 벽화(玄奘譯經和敦煌壁?)〉, 〈P.3317호 둔황 문서와 막고굴 제61굴 불전고사화의 관계 연구(P.3317號敦煌文書及其與莫高窟第61窟佛傳故事?關系之硏究)〉 등 20여 편의 석굴 고고학 및 고미술학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들로 둔황 석굴의 연대를 판별하고 분류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으며, 국제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그 밖에도 ‘막고굴 절벽의 모래바람에 의한 훼손도 연구’, ‘둔황 막고굴 환경 변화와 석굴 보호 연구’, ‘둔황 막고굴 및 주변 지역 환경 변화에 대한 과학적 교육 연구’, ‘문물 정보의 디지털 저장 및 재현 시스템 연구’, ‘전면 디지털 촬영 측량기술을 막고굴 문물 보호에 응용하는 연구’, ‘둔황 문물이 현지 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등 30여 건의 연구 프로젝트를 진두지휘했다. 이런 연구 프로젝트의 성과를 담은 논문으로 〈둔황 막고굴의 보호 연구 작업(敦煌莫高窟及其保護、硏究工作)〉, 〈둔황 막고굴 개방에 관한 대책(敦煌莫高窟開放的對策)〉, 〈둔황 막고굴의 보호와 관리(敦煌莫高窟的保護與管理)〉, 〈둔황 막고굴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총체적인 규정과 그 수확(敦煌莫高窟保護與管理總體規劃的制定與收獲)〉, 〈세계 일류 수준의 유적 박물관으로 발전하기 위한 과제(建設世界一流的遺址博物館)〉, 〈디지털 시대의 둔황 : 둔황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數字化時代的敦煌--探索保存和利用敦煌文化遺産的新途徑)〉, 〈둔황 막고굴 여행 개방 정책의 효과와 문제점, 대책(敦煌莫高窟旅遊開放的效益、挑戰與對策)〉 등 30여 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진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상해 복단대학교 문학박사(현대한어어법전공)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중과 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