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중세 건축화

중국 중세 건축화

쑨이화, 쑨루셴 (지은이), 판진스 (엮은이), 배은한 (옮긴이)
민속원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1,600원
30,400원 >
28,8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880원
25,9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중세 건축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중세 건축화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중국문화
· ISBN : 9788928519866
· 쪽수 : 322쪽
· 출판일 : 2024-05-06

책 소개

돈황은 고대 실크로드의 교통 요충지이자 상업과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세계 4대 문화ㆍ6대 종교ㆍ10여 종의 민족문화가 융합되는 지역이었기 때문에, 이 모든 조건이 구비된 돈황 지역에서 찬란한 돈황막고굴이 형성되고 불교예술이 눈부시게 발전한 것은, 시대적 요구와 지리적 요건이 결합된 당연한 결과이다.

목차

머리말
부록

총론 응축된 세월의 단면

제1장 허구와 진실의 앙상블
1. 왜 불교의 석굴 사원에는 건축화가 대량으로 그려져 있는가?
2. 막고굴의 건축화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3. 돈황석굴의 건축화는 무엇을 근거로 제작되었는가?
4. 어느 석굴의 벽화에 건축 양식이 가장 많이 묘사되어 있는가?
5. 어느 벽화에 건축물 수량이 가장 많이 묘사되어 있는가?
6. 벽화에 묘사된 건축물 중에서 현재 소실된 건축물은 어떤 것이 있는가?
7. 돈황벽화는 투시법을 어떻게 활용하여 건축물을 묘사하였는가?
8. 왜 건축화는 건축사의 시기 구분에 근거가 되는가?

제2장 다문화 융합의 발자취
1. 초기 벽화에는 어떤 외래 건축 양식이 포함되어 있는가?
2. 왜 벽화에는 탑塔이 대량으로 나타났는가?
3. 초기 불탑佛塔의 탑찰塔刹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
4. 초기 벽화에서 가장 큰 불탑佛塔은 어떤 모습인가?
5. 왜 탑찰塔刹에 원고遠古 시기의 화표華表가 장식되어 있는가?
6. 수대隋代 벽화의 불사佛寺와 탑塔은 어떻게 긴밀히 결합되었는가?
7. 왜 중당中唐 이후의 벽화에 다양한 만곡蠻曲 기둥이 나타났는가?
8. 왜 성당盛唐 시기의 벽화에는 서역풍의 건축물이 나타났는가?
9. 왜 말기 벽화에는 인도식 탑塔이 또다시 나타났는가?
10. 왜 유림굴楡林窟 3호 석굴의 건축화는 스타일이 다른가?

제3장 불국 세계의 휘황찬란한 사원 건축물
1. 사원寺院 건축화는 현실의 사원寺院에서 유래한것인가?
2. 벽화의 사원寺院 건축물 군락에는 어떠한 개별 건축물이 있는가?
3. 수대隋代 전후의 사원寺院 건축물은 벽화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가?
4. 벽화에서 초당初唐 시기의 사원寺院 건축물은 어떻게 표현하였는가?
5. 초당初唐 시기의 건축화에서 사원寺院의 노대露臺는 어떻게 배치되었는가?
6. 벽화에서 성당盛唐 시기의 사찰 건축물은 어떻게 표현하였는가?
7. 성당盛唐 시기의 벽화에서 개별 건축물은 어떠한 특징이 새롭게 나타났는가?
8. 벽화에서 중당中唐과 만당晩唐시기의 사찰 건축물은 어떻게 표현하였는가?
9. 중당中唐과 만당晩唐 시기의 벽화에서 개별 건축물은 어떠한 특징이 새롭게 나타났는가?
10. 정토淨土 사원寺院의 대전大殿 앞에는 왜 대형 연못이 그려져 있는가?
11. 벽화에서 당대唐代 이후의 사찰 건축물은 어떻게 표현하였는가?
12. 왜 서하西夏 시기의 벽화에는 도교道敎의 신선동부神仙洞府가 나타났는가?

제4장 다채롭고 다양한 속세의 건축물 2
1. 돈황벽화敦煌壁畵에 표현된 최초의 건축물은 어떠한 모습인가?
2. 북량北涼부터 북주北周 시기까지의 벽화에서 주택은 어떠한 모습인가?
3. 수대隋代의 벽화에서 민가는 어떠한 모습인가?
4. 궁정 건축화는 어디에서 나타났는가?
5. 최초, 최대, 최고의 궁정 건축화는 어떠한 그림인가?
6. 역대 벽화에서 성城은 어떠한 내용을 표현하였는가?
7. 당대唐代와 당대唐代 이후의 벽화에 표현된 성루城樓와 성문城門은 몇 가지 양식이 있는가?
8. 돈황벽화敦煌壁畵에 당대唐代 도시의 축소판이 있는가?
9. 당대唐代와 당대唐代 이후의 벽화에 묘사된 민가 건축물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
10. 벽화에서 속세의 소형 건축물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제5장 시대의 특징과 변화
1. 중세기에는 건축물을 어떻게 시공하였는가?
2. 초기 방옥房屋(건물)의 대기臺基와 옥신屋身은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
3. 수대隋代의 두공科栱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4. 초기의 인자공人字栱은 왜 변화가 발생하였는가?
5. 당대唐代의 두공科栱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6. 토번吐蕃 시기의 건축화는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
7. 당대唐代 이후의 두공科栱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8. 벽화에서 누樓와 각閣은 동일한 부류의 건축물인가?
9. 건축화에는 몇 가지 형식의 지붕이 있는가?
10. 건축화에 치미鴟尾와 치문鴟吻이 표현되어 있는가?

저자소개

쑨이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돈황연구원의 연구원으로, 주로 고건축물의 보수, 보호 및 측량 작업에 종사하고 있다. 참여하거나 주도한 고건축물 보수 보호 프로젝트로는 병령사석굴炳靈寺石窟 측량, 유림굴榆林窟 초기 보강 및 굴 앞 유적지 측량, 막고굴莫高窟 상사上寺, 중사中寺, 16굴 등의 측량, 수선 방안 설계 및 보수 보강 공사, 감숙성 경천 왕모궁석굴甘肅涇川王母宮石窟 굴 처마 보수 방안 설계 및 수축 공사, 감숙성 경양 북석굴사甘肅慶陽北石窟寺 굴 처마 보수 방안 설계, 돈황 청대淸代 남관南關 양창糧倉 보강 보수 방안 설계 등이 있다. 단독 저서 또는 공저로 『돈황석굴전집敦煌石窟全集 · 석굴건축권石窟建築卷』, 『돈황석굴전집敦煌石窟全集 · 건축화권建築畵卷』이 있으며, 여러 편의 학술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쑨루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판진스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족(漢族) 여성으로 저장성 항저우가 본적지이다. 1938년 베이핑(北平, 오늘날 베이징)에서 태어났다. 현재 둔황연구원의 명예원장을 맡고 있다. 1963년 베이징대학을 졸업한 후 당시 둔황연구원(당시에는 둔황연구소였다)에 들어와 40여 년을 일했다. 세간에서 판진스를 ‘둔황의 딸’로 부른다. 석굴의 고고학 연구 및 과학적 보존 방법에 크게 공헌하였다. 제12대 중국정치협상회의(공산당을 비롯한 8개 정당의 대표와 각 단체와 소수민족, 홍콩과 마카오 동포 등을 묶어 구성한 정책자문기구) 위원이며, 2007년 11월 중앙문사연구관(中央文史硏究館)의 일원으로 위촉되었다. 둔황 문물 보호 및 연구 사업에 40여 년간 종사하면서 석굴의 고고학 연구 및 과학적 보존 방법 개발에 크게 공헌하였다. 저서로 《둔황 석굴(敦煌石窟)》, 《둔황 석굴 전집 : 불전고사화(敦煌石窟全集·佛傳故事畫卷)》, 《중국 벽화 전집 : 둔황편 제3권 북주(中國壁畫全集·敦煌·3·北周卷)》, 《안서 유림굴(安西楡林窟)》 등 10여 종의 둔황 석굴 고고미술학 전문 서적이 있다. 편저자로 참여한 저서도 여러 권이 있다. 《중국 미술 분류 전집 : 중국 벽화 전집(中國美術分類全集·中國壁畫全集)》에서 둔황 벽화 부분을 집필했고, 전26권인 《둔황 석굴 전집(敦煌石窟全集)》과 전13권인 《둔황을 해독하다(解讀敦煌)》에도 대표 편저자로 참여했다. 이 전집들은 둔황 석굴 예술 연구 분야에서 필수적인 대규모 총서들이다. 또한 〈막고굴 북조 동굴 분기(莫高窟北朝洞窟分期)〉, 〈막고굴 수나라 동굴 분기(莫高窟隋代洞窟分期)〉, 〈막고굴 당나라 전기 동굴 분기(莫高窟唐代前期洞窟分期)〉, 〈둔황 막고굴 제290굴의 불전고사화(敦煌莫高窟第290窟的佛傳故事畫)〉, 〈막고굴 역사 유적으로 살펴본 막고굴 절벽의 안정성(從莫高窟曆史遺迹探討莫高窟崖體的穩定性)〉, 〈현장의 불경 번역과 둔황 벽화(玄奘譯經和敦煌壁?)〉, 〈P.3317호 둔황 문서와 막고굴 제61굴 불전고사화의 관계 연구(P.3317號敦煌文書及其與莫高窟第61窟佛傳故事?關系之硏究)〉 등 20여 편의 석굴 고고학 및 고미술학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들로 둔황 석굴의 연대를 판별하고 분류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으며, 국제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그 밖에도 ‘막고굴 절벽의 모래바람에 의한 훼손도 연구’, ‘둔황 막고굴 환경 변화와 석굴 보호 연구’, ‘둔황 막고굴 및 주변 지역 환경 변화에 대한 과학적 교육 연구’, ‘문물 정보의 디지털 저장 및 재현 시스템 연구’, ‘전면 디지털 촬영 측량기술을 막고굴 문물 보호에 응용하는 연구’, ‘둔황 문물이 현지 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등 30여 건의 연구 프로젝트를 진두지휘했다. 이런 연구 프로젝트의 성과를 담은 논문으로 〈둔황 막고굴의 보호 연구 작업(敦煌莫高窟及其保護、硏究工作)〉, 〈둔황 막고굴 개방에 관한 대책(敦煌莫高窟開放的對策)〉, 〈둔황 막고굴의 보호와 관리(敦煌莫高窟的保護與管理)〉, 〈둔황 막고굴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총체적인 규정과 그 수확(敦煌莫高窟保護與管理總體規劃的制定與收獲)〉, 〈세계 일류 수준의 유적 박물관으로 발전하기 위한 과제(建設世界一流的遺址博物館)〉, 〈디지털 시대의 둔황 : 둔황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數字化時代的敦煌--探索保存和利用敦煌文化遺産的新途徑)〉, 〈둔황 막고굴 여행 개방 정책의 효과와 문제점, 대책(敦煌莫高窟旅遊開放的效益、挑戰與對策)〉 등 30여 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