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근대철학 일반
· ISBN : 9788930042109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5-09-30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약어
제4장 괴테
1. 주관성과 상상력
괴테의 세계관과 주관성의 새로운 지위 │ 괴테와 루소
2. 청년 괴테의 자연관과 역사관
슈투름 운트 드랑 │ 청년 괴테의 역사의식
3. 자유와 필연
괴테와 스피노자 │ 프로메테우스적 충동
4. 괴테의 고전적 형식 개념
자연 탐구와 고전적 형식 개념 │ 괴테의 양식 개념 │ 괴테의 상징 개념
5. 괴테의 자연관과 ‘형태’ 개념
괴테의 자연관 │ 자연의 직관적 인식 │ ‘경험’과 ‘이념’ │ 보편·특수·전형 │ 근원 현상 │ ‘형태’의 새로운 이해 │ ‘근원식물’
6. ‘형태 변화’와 창조적 상상력
‘형태 변화’ 개념과 정신세계 │ ‘형태 변화’와 시적 상상력 │ 자연과 예술의 통일성 │ 형태 변화와 근원 현상
7. 괴테의 자연관과 진리관
괴테의 방법론 │ 괴테와 칸트 │ 종교에 대하여 │ 현상과 본질의 통일
8. 파우스트
파우스트적 충동 │ 자유와 구원
제5장 실러―고전주의 미학에서 자유와 형식의 문제
1. 청년 실러의 자유 이념
실러의 초기 희곡 │ 도덕적 장치로서의 연극 │ 실러와 괴테
2. 실러 미학의 발전 과정
라이프니츠의 영향 │ 모리츠 │ 칸트의 자율성 사상 │ 실러의 자율성 미학 │ 괴테와 실러
3. 실러와 독일 이상주의
실러와 피히테 │ 실러의 미적 교육론 │ 실러의 정신사적 위치
제6장 자유 이념과 국가 이념
1. 독일 정신과 국가 이념
실러와 피히테의 독일 정신 개념 │ 독일 국가 이념의 철학적 특성
2. 근대 독일의 국가 이념
쿠자누스의 국가론 │ 라이프니츠의 국가론 │ 볼프의 자연법사상과 국가 이념 │ 프리드리히 대왕의 국가 이념
3. 칸트의 국가 이념
레싱과 헤르더 │ 칸트의 국가 이념
4. 훔볼트의 교양 이념과 국가주의 비판
훔볼트의 인문주의 교양 이념 │ 국가주의 비판과 이성 국가
5. 피히테의 국가 이념
피히테의 학문론과 국가관 │ 피히테의 자유 개념 │ 피히테의 자연법사상 │ 국가의 ‘예지적’ 과제 │ 민족적 이상과 세계시민주의
6. 셸링의 국가론
피히테와 셸링 │ 셸링의 유기체적 국가론 │ 아담 뮐러의 국가론
7. 헤겔의 국가론
헤겔 국가론의 발전 과정 │ 헤겔의 법철학과 국가론 │ 이성 국가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옮긴이 소개
책속에서
괴테
괴테는 사색과 탐구에 집중할 때도 가장 엄밀한 의미에서 ‘형상의 창조자’였다. 괴테의 문학에서 감정의 순수함은, 그리고 외부로부터 부과되는 모든 종교적·도덕적 속박에서 자유로운 것은 이러한 형상화의 순수함에서 샘솟는다. 괴테는 감정을 표현할 때 먼저 외부의 소재에서 형상화 대상을 찾지 않고 처음 떠오르는 착상과 실마리를 형상으로 표현한다. 그래서 그렇게 표현된 감정은 실제 세계나 이념 세계에 대해 애초부터 자율성을 얻게 된다.
실러
실러는 언제나 단순히 주어진 것, 외부적 요인에 의해 고정된 것에 맞서 격렬히 저항한다. 그러한 저항은 지극히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되지만 언제나 동일한 내적 투쟁이다. (…) 어느 경우에나 특수한 문학적 모티브는 오로지 실러 자신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전반적인 정신적 해방 과정의 표현 수단으로 활용된다. (…) 실러의 문학은 객관적 존재와 인간 삶의 반영이 아니라 그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당위에 대한 점점 더 깊은 해석이었으며, 그러한 당위는 그의 모든 활동을 지배하는 정언명령이었다.
헤겔
헤겔에게 이성의 실현은 역사의 총체성 안에서 가능하다. (…) 헤겔 철학은 이전까지의 모든 철학의 정수이자 총괄 개념이 되고자 했고, 모든 사고의 운동을 완결하고 모든 사고의 결과를 지양하고자 했다. 그런 맥락에서 헤겔에겐 세계사적 진행 과정의 목표, 즉 자유 개념의 완전한 전개가 그 목표에 도달한 국가의 절대적 형식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