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근대철학 일반
· ISBN : 9788930042093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5-09-30
책 소개
목차
옮긴이 머리말
일러두기
약어
서론
1. 르네상스와 인문주의
이탈리아 인문주의: 단테, 페트라르카 │ 프랑스 인문주의와 몽테뉴 │ 독일 인문주의: 에라스뮈스, 울리히 폰 후텐
2. 루터의 종교개혁과 자유 개념
중세의 세계관과 신플라톤주의 │ 중세의 자연관 │ 코페르니쿠스와 케플러 │ 루터의 종교개혁과 개인의 자유 │ 신앙과 ‘업적’ │ 프로테스탄티즘과 세속 직업 │ 루터와 츠빙글리
제1장 라이프니츠
1. 라이프니츠의 진리 개념
라이프니츠의 ‘보편학’ 이념 │ 라이프니츠의 진리 개념 │ 라이프니츠의 종교관
2. 정신과 자연의 통일성
예정 조화설 │ 정신과 자연의 대립과 통일 │ 라이프니츠의 모나드 이론 │ 이성의 자율성과 개체의 자율성
3. 모나드 개념과 자유의 문제
라이프니츠의 형이상학과 괴테의 ‘형태 변화’ │ 라이프니츠의 종교관과 변신론 │ 라이프니츠의 자유 개념
제2장 미적 형식 세계의 형성
1. 라이프니츠 형이상학의 미학적 문제
2. 독일 시학의 출발점: 고트셰트와 스위스학파
고트셰트와 스위스학파의 논쟁 │ 문학적 상상력의 원천 │ 감각주의에서 이상주의로
3. 바움가르텐과 철학적 미학의 정초
이성과 감성의 매개 │ 미적 지각의 독자성 │ 합리주의 미학의 한계
4. 라이프니츠 형이상학에서 감성의 문제
라이프니츠와 감각의 복권 │ 섀프츠베리 │ 멘델스존
5. 레싱
레싱의 시대적 대표성 │ 라이프니츠와 레싱 │ 레싱의 독창성 │ 레싱의 예술관과 ‘행위’ 개념 │ 예술적 천재
6. 하만과 헤르더
하만의 감성적 미학과 전인사상 │ 헤르더의 역사주의 │ 헤르더의 문학론 │ 헤르더의 언어 기원론
7. 빙켈만
빙켈만의 고대 미술사 │ 고전적 미의 이상 │ ‘예지적 아름다움’ │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 │ 빙켈만의 형식 개념
제3장 비판적 이상주의 체계 내에서 자유의 이념
1. 칸트의 자유 이념
독일 정신사에서 칸트의 위치 │ 자율성과 자유 │ 정언명령과 자유의지 │ ‘자유’와 ‘형식’의 통일 │ 자율성의 원리
2. 칸트의 진리 개념과 자유의 문제
선험성과 자율성 │ 진리 개념의 혁명 │ 인식론과 윤리학의 통일
옮긴이 해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옮긴이 소개
책속에서
서론
코페르니쿠스의 발견 이후 이 세계에는 더 이상 확고한 중심이 없다. 세계는 오로지 자신의 힘에 의지하여 무한한 우주공간에서 떠다닌다. 세계는 운동의 방향과 길을 이끌어 주는 예지적 힘의 체계를 통해 질서를 유지하지 않으며, 확고한 기하학적 형태와 경계에 에워싸여 있지도 않다.
루터
루터는 중세 종교관의 전반적 체계, 특정한 객관적 교회 제도를 통해 신앙을 전파하는 체계를 철폐함으로써 개개인이 새로운 막중한 과제를 떠맡게 했다. 이제는 그 어떤 물질적 제도의 도움 없이도 개개인이 무한자와 유대를 맺어야만 한다. 루터의 ‘신앙’ 개념에서 본질적 계기는 이처럼 신앙이 온전히 자립적이고 양도 불가능한 기본권의 행사라는 생각이다.
헤르더
셰익스피어의 드라마는 아주 사소한 세부 사항에 이르기까지, 장면 구성과 인물의 성격, 언어와 리듬에 이르기까지 통일된 법칙의 지배를 받는다. (…) “그대 자신이 공간과 시간의 척도를 창조해야 한다. 그대가 창조하는 것이 다름 아닌 공간과 시간 속에 존재하는 세계라면 시간과 공간에 대한 척도는 바로 우리 내면에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 이집트 문화와 헬레니즘 문화, 셰익스피어와 고대 그리스의 드라마, 호메로스와 오시안, 햄릿과 리어왕, 이들 모두가 헤르더에겐 진정한 ‘모나드’이다. 자기 자신에 근거하여 움직이고 자신의 척도로 측정할 수 있는 통일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