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구스타프 헴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베를린 근처 오라니엔부르크(Oranienburg)에서 태어났다. 괴팅겐 대학, 하이델베르크대학, 베를린대학, 빈대학에서 수학, 물리학, 철학을 공부했고 베를린대학에서 1934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나치를 피해 벨기에의 브뤼셀(1934~1937)을 거쳐 1937년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초기에는 시카고대학(1937~1938), 뉴욕시의 퀸즈칼리지(1939~1948) 등에서 가르쳤고, 이후 예일대학(1948~1955), 프린스턴대학(1955~1975), 피츠버그대학(1977~1985) 교수를 지냈다. 1975년부터 오랜 동안 학술저널〈인식〉(Erkenntnis)지의 편집장을 맡기도 했다. 헴펠은 피츠버그대학에서 은퇴 후 프린스턴대학으로 돌아와 연구를 계속했고, 1997년 세상을 떠났다.
주요 저서로는 Beitraege zur logischen Analyse des Wahrscheinlichkeitsbegriffs(1934, 박사학위 논문), Der Typusbegriff im Lichte der Neuen Logik: Wissenschaftstheoretische Untersuchungen zur Konstitutionsforschung und Psychologie(1936, P. Oppenheim과 공저), Fundamentals of Concept Formation in Empirical Science(1952), Aspects of Scientific Explanation and Other Essay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1965), Philosophy of Natural Science(1966), Selected Philosophical Essays(2000, ed. R. Jeffrey), The Philosophy of Carl G. Hempel(2001, ed. J.H. Fetzer) 등이 있다.
펼치기
전영삼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에서 과학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서울대 등 강사 역임. 저서로 『다시 과학에게 묻는다: 과학을 보는 눈』, 『귀납: 우리는 언제 비약할 수 있는가』, 『인과』(공저), 『설명』(공저) 등을 냈고, 『논리학』, 『과학의 구조』 등을 번역했으며, “최선의 설명에로의 추론과 귀납적 체계화”, “설명적 연결과 엄격한 시험” 등 귀납 논리, 입증, 카르납의 철학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으며 한국과학철학회 논문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최원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영국 리즈대학교 철학과에서 논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학교 정책학과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논리적 사고의 기초』, 『추론이란 무엇인가』 등이 있고, 『산수의 기초』(공역), 『논리학의 역사』(공역) 등을 번역했으며, “프레게와 불가결성 논증”, “조건부 확률과 조건문의 확률” 등 프레게와 조건문에 관한 논문을 썼다.
펼치기
이영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뉴욕주립대학교(Binghamton) 철학과에서 과학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원대학교에서 정년퇴임하고 현재 동국대학교 철학과 특임교수이며, 한국과학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체화인지학회 회장으로 있다. 저서로 『베이즈주의』, 『신경과학철학』, 『입증』(공저), 『인과』(공저) 등을 냈고, “어떻게 의식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가?”, “정신질환에 대한 행화주의적 접근” 등 베이즈주의, 체화인지, 철학상담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여영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미주리대학교 철학과에서 과학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과학철학회 회장이며 동덕여대 교양대학 교수로 있다. 저서로 『상식의 긴 팔: 과학하는 인간의 베이즈주의』, 『입증』(공저), 『설명』(공저) 등을 냈고, 『과학적 설명의 여러 측면』(공역) 등을 번역했으며, “쿤과 베이즈의 세 번째 만남”, “법학적성시험은 논리적 사고력의 측정도구인가: LEET, LSAT, PSAT의 비교연구” 등 베이즈주의와 귀납 논리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