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논리학 대전

논리학 대전

(제1부 명사(名辭)에 대하여)

윌리엄 오캄 (지은이), 박우석, 이재경 (옮긴이)
나남출판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240원
23,7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논리학 대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논리학 대전 (제1부 명사(名辭)에 대하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중세철학 > 중세철학 일반
· ISBN : 9788930088817
· 쪽수 : 398쪽
· 출판일 : 2017-08-05

책 소개

14세기에 활약한 영국 철학자 윌리엄 오캄에 대한 유례없는 관심은 자연스럽다. ‘오캄의 면도날’로 요약되는 그의 논리학적 사유가 근대 철학과 과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움베르토 에코의 대표작 <장미의 이름>의 주인공이 오캄을 모델로 했다는 사실 또한 상기할 만하다.

목차

•옮긴이 머리말 7
•수사이면서 교사인 잉글랜드의 아담의 머리말 10
•윌리엄 오캄이 쓴 서문의 편지 14

제 1 장 명사(名辭)의 정의와 그것의 일반적 구분 21
제 2 장 명사의 구분과 ‘명사’라는 특수한 이름이
여러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하여 25
제 3 장 비복합명사의 구분 28
제 4 장 음성명사만큼 심적 명사에도 공통적인,
단의어명사와 공의어명사의 구분 33
제 5 장 구체적 이름과 추상적 이름의 구분 36
제 6 장 구체적 이름과 추상적 이름은 때때로 동일한 대상을 의미한다 40
제 7 장 ‘인간’과 ‘인간성’, ‘동물’과 ‘동물성’과 같은 구체적 이름과 추상적 이름이
동의어 이름인지의 여부에 대해 논증을 통해 탐구하다 45
제 8 장 공의어나 부사적 한정사를 동치적으로 포함하는 추상적 이름 54
제 9 장 단지 여럿을 함께 지칭할 뿐인 추상적 이름과
단지 하나에 대해서만 검증될 수 있는 구체적 이름 61
제 10 장 순전히 절대적인 이름과 내포적인 이름의 구분 63
제 11 장 규약을 통해 의미를 드러내는 이름들인 제 1명명의 이름과
제 2명명의 이름의 구분 68
제 12 장 제 1지향과 제 2지향이 무엇인지와
그것들이 서로 어떻게 구별되는지에 대하여 72
제 13 장 다의적(多義的), 일의적(一義的), 파생적(派生的) 이름과 명사의 구분과
다의적 명사가 무엇이며 얼마나 많은 방식으로 언급되는가에 대하여 76
제 14 장 ‘보편자’라는 공통적인 명사와 그것과 상반되는 ‘개별자’에 대하여 80
제 15 장 보편자는 영혼 외부에 존재하는 어떤 사물이 아니다 83
제 16 장 보편적 존재에 관한 견해에 대하여:
그것은 영혼 외부에 어떻게 존재하는가? 스코투스에 대한 반론 89
제 17 장 앞서 말한 것에 반해 제기될 수 있는 의문점들의 해결 94
제 18 장 5가지 보편자와 그것들의 충분성에 대하여 101
제 19 장 모든 보편자 아래 포함되는 개별자에 대하여 106
제 20 장 유(類)에 대하여: 유는 무엇인가 109
제 21 장 종(種)에 대하여 112
제 22 장 종과 유의 비교에 대하여 115
제 23 장 차이성에 대하여 119
제 24 장 고유성(proprium)에 대하여 125
제 25 장 우유(偶有)에 대하여 129
제 26 장 정의(定義)에 대하여: 얼마나 많은 방식으로 말해지는가? 133
제 27 장 ‘기술’(記述)이라는 이름에 대하여 140
제 28 장 기술적 정의에 대하여 142
제 29 장 ‘정의대상’과 ‘기술대상’이라는 명사에 대하여 143
제 30 장 ‘주어’라는 명사에 대하여 145
제 31 장 ‘술어’라는 명사에 대하여 148
제 32 장 술어는 어떤 방식으로 주어 안에 내재한다고 말하는가? 150
제 33 장 ‘의미하다’라는 명사에 대하여 152
제 34 장 ‘구분되다’라는 명사에 대하여 155
제 35 장 ‘전체’라는 명사에 대하여 158
제 36 장 ‘대립하는 것들’이라는 명사에 대하여 160
제 37 장 ‘수용’(passio)이라는 명사에 대하여 167
제 38 장 ‘존재자’라는 명사에 대하여 170
제 39 장 ‘하나’라는 명사에 대하여 174
제 40 장 ‘범주’라는 명사에 대하여 178
제 41 장 범주의 수에 대하여 182
제 42 장 실체라는 범주에 대하여 187
제 43 장 실체의 특성에 대하여 194
제 44 장 양이라는 범주에 대하여 206
제 45 장 앞선 견해에 대한 반론들 216
제 46 장 양이라는 유(類)에 속한 것들에 대하여 224
제 47 장 양의 특성에 대하여 229
제 48 장 양이 실체 및 성질과는 구별되는 절대적인 사물이라는 주장을 할 때
답변하는 방식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를 설명하는 방식 233
제 49 장 ‘어떤 것에 대해’(ad aliquid)라는 범주에 대하여 235
제 50 장 관계는 절대적인 사물과는 구별되는 것이 아니다 242
제 51 장 앞선 견해에 반해 제기될 수 있는 반론들에 대하여 246
제 52 장 그 견해에 따라 관계의 유에 속한 것들에 대하여 259
제 53 장 관계적인 것들의 특성에 대하여 264
제 54 장 관계적인 것들에 대하여: 관계적인 것이 절대적인 것과 구별된다는
상반되는 주장을 하는 이들은 어떻게 말해야 하는가 267
제 55 장 성질의 범주에 대하여 270
제 56 장 성질의 범주와 연관된 다른 견해에 대하여 274
제 57 장 능동(actio)의 범주에 대하여 275
제 58 장 수동(passio)의 범주에 대하여 280
제 59 장 ‘언제’[시간]라는 범주에 대하여 282
제 60 장 ‘어디’[장소]라는 범주에 대하여 286
제 61 장 자세(positio)의 범주에 대하여 288
제 62 장 소유(habitus)의 범주에 대하여 290
제 63 장 명제들 안에 있는 명사들의 지칭에 대하여 291
제 64 장 지칭의 구분에 대하여 294
제 65 장 명제 안의 명사가 언제 위격지칭, 단순지칭, 질료지칭을
지닐 수 있는가 298
제 66 장 앞선 주장들에 반대하여 제기될 수 있는 반론들에 대하여 301
제 67 장 질료지칭에 대하여 309
제 68 장 단순지칭에 대하여 312
제 69 장 위격지칭에 대하여 313
제 70 장 위격지칭의 구분에 대하여 315
제 71 장 언제 공통적 명사가 하나의 지칭을 지니고
언제 또 다른 지칭을 지니는지에 대하여 319
제 72 장 앞서 말한 것에 반해 제기될 수 있을 의문들에 대하여 321
제 73 장 순수 불확정지칭과 그것의 규칙들에 대하여 336
제 74 장 불확정 분배지칭과 그것의 규칙들에 대하여 339
제 75 장 술어들은 ‘시작하다’와 ‘그치다’를 사용하는 명제들에서
어떻게 지칭하는가 342
제 76 장 논리학자가 아닌 문법학자의 방식으로 해석되는
관계명사들의 지칭에 대하여 345
제 77 장 변칙지칭에 대하여 350

•옮긴이 해제 353
•참고문헌 373
•찾아보기 381
•지은이 및 옮긴이 약력 398

저자소개

윌리엄 오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위에 중세인들이 쌓아 올린 업적들을 집대성한《논리학 대전》(Summa Logicae)의 저자요, ‘오캄의 면도날’이라는 별명이 상징하듯 실재론적 입장들을 예리하고도 신랄하게 비판한 유명론의 투사이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에 지각 변동을 일으킴으로써 근대 과학혁명을 예비하는 데 한몫을 한 자연철학자다. 오캄은 계시된 진리를 신앙의 규칙으로 받아들이고 모든 연구의 지도적 원리로 삼은 탁월한 신학자인 동시에 교권과 속권 간의 대결이라는 첨예한 현실 정치문제와 정면 대결하여 속권이 신으로부터 백성에게 주어진 것으로 그 자체의 독자적 영역을 갖는다고 주장했던 시대를 앞서간 정치철학자이기도 하다.
펼치기
박우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학교(버펄로)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난 4반세기 동안 한국과학기술원에서 교수 생활을 했다.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 인문사회과학부 명예교수다. 한국논리학회 회장, 한국분석철학회 회장, 한국바둑학회 회장, 한국중세철학회 부회장을 지냈다. 스프링어(Springer)출판사의 총서 “SAPERE(Studies in Applied Philosophy, Epistemology and Rational Ethics)”의 자문위원이고, 국제학술지 《Al-Mukhatabat: A Trilingual Journal for Logic, Epistemology and Analytical Philosophy》의 편집위원이다. 저서로 《Philosophy’s Loss of Logic to Mathematics》(2018), 《Abduction in Context》(2016), 《중세철학의 유혹》(1997), 《알프레트 타르스키》(2024), 《논리학과 인공지능 바둑》(2024)이 있고, 국내외 유수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최근 번역한 책으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초기 논리학》(2023),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실재론적 수학철학: 양과 구조의 과학으로서의 수학》(2022)이 있다.
펼치기
이재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와 동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캐나다 토론토대학교에서 중세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 ‘고대 철학 및 중세 철학 협동 과정’을 이수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대구가톨릭대학교 학술연구교수로 재직중이다.《토마스 아퀴나스와 13세기 심리철학》을 썼고,〈중세 이슬람철학의 합리주의 흐름〉,〈아리스토텔레스 넘어서기〉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