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 일반
· ISBN : 9788930606370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5-09-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서론: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개관 21
1. 수사학의 과제와 학적 성격 26
2.『 수사학』의 구조와 내용 32
3. 기술적 설득수단 41
제Ⅰ부 수사학의 학적 기초와 성격
제1장 수사학의 정의 49
1. 수사학의 기술적 성격 52
2. 수사학의 변증법적 성격 60
3. 수사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71
제2장 수사학은 과학인가? 80
1. 수사학은 설득의 과학인가? 81
2. 연설의 대상과 주제가 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84
3. 설득수단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88
4. 연설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95
5. 각종 연설의 대상과 주제에 특징적인 점은 무엇인가? 98
6. 맺음말: 수사학은 어떤 학문인가? 100
제3장 수사학과 인접과학 105
1. 수사학과 정치학 107
2. 수사학과 변증법 114
3. 맺음말: 수사학의 학제적 성격 128
제4장 수사학의 사용을 통해 얻는 유익 130
1. 왜 유용성인가? 131
2. 네 가지 유용성 135
3. 악용 가능성과 가치중립성 148
제Ⅱ부 설득수단의 물음들
제5장 수사추론은 약식 삼단논식인가? 157
1. 엔튀메마는 삼단논식인가? 163
2. 『수사학』은 삼단논법을 전제하는가? 172
3. 엔튀메마는 불완전한 또는 생략된 연역인가? 178
4. 맺음말: 엔튀메마는 약식도 아니고 삼단논식도 아니다 190
제6장 토포스의 개념과 기능 195
1. 『토피카』와 변증법 198
2. 토포스의 개념 207
3. 토포스의 기능 213
4. 맺음말: 아리스토텔레스·테오프라스토스·툴민 224
제7장 특수토포스는 수사추론의 전제인가? 228
1. 『수사학』 1권 2장, 1358a2-35의 분석 234
2. 『수사학』 1권 4-14장의 구조와 내용 241
3. 특수토포스가 하는 일 254
4. 맺음말 262
제8장 연역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수사추론은 합리적이지 않은가? 267
1. 서론: 두 가지 오해 268
2. 개연적 추론과 연역적 모델 272
3. 순전한 엔튀메마와 겉보기만의 엔튀메마 286
4. 맺음말 299
제9장 감정 자극 문제와 감정 개념 301
1. 감정 자극 문제의 일관성 여부 303
2. 감정의 개념 316
제10장 감정과 판단 331
1. 감정의 세 가지 요소 333
2. 감정의 수사학적 기능 340
제11장 성격 표출을 통한 설득 353
1. 설득수단으로서 아주 훌륭한, 연설가의 올곧음 356
2. 설득력 있는 성격의 구성요소: 통찰력·덕·호의 363
3. 정체의 관습을 알고 있어야 하는 이유 369
4. 연설가의 성격과 정치가의 자질 372
5. 맺음말 374
참고 문헌 380
찾아보기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