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31021301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0-10-0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01. 기본소득
기본소득의 간략한 역사 | 하나 혹은 여러 개의 기본소득 | 자유주의적 계획 — 독립과 책임 | 케인즈주의적 계획 — 사회적이며 진보적인 전환점 | 반자본주의적 계획 — 노동 이데올로기에서 빠져나오기 | *기본소득 제도를 시험적으로 실시한 적이 있는가? | *소득에 대한 음소득세 제도는 어떤 식으로 기능하는가?
02. 공유
호모 이코노미쿠스의 종말 | 공유의 비극에서 어떻게 빠져나올 것인가 | 또 다른 경제를 위한 노벨상 | 공유 정신이 지키고자 하는 것 | 전통적 공유에서 지식의 공유로 | 인클로저란 무엇인가 | 공유는 미래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 | *인류학자들은 공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공유는 투기를 억제하기 위한 해결책인가?
03. 21세기 민주주의
민주주의의 대표성에 관한 질문들 | 참여민주주의를 향한 논란들 | 도시계획으로 실현하는 지역민주주의 | 시민 기술의 비약적 발전 | 시민들에게 권력을 부여하는 추첨 제도 | 혼합 민주주의를 향한 길 위에서 | *아테네인들은 어떤 정치체제에서 살았는가?
04. 동물의 권리
인간의 속성을 구분할 수 있는가 | 반종차별주의의 탄생 | 동물행동학의 기여 |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 | 톰 리건의 권리 이론 | 동물복지주의 대 동물학대철폐주의 | 동물 윤리 이론의 다양한 결론 | 동물 보호를 위한 생태학적 논거 | 윤리적 육류를 둘러싼 논쟁 | *동물주의 테러리즘은 존재하는가?
05. 트랜스휴머니즘
우주 정복에서 시작된 사이보그 신화 | NBIC 융합과 미래 시나리오 | 생명무한확장론 — 개인주의적 트랜스휴머니즘 | 기술혁신주의자 — 사회적 트랜스휴머니즘 | 보디 해킹 — 한계를 뛰어넘는 몸 | 트랜스휴머니즘은 인류 종말의 꿈을 꾸는가 | 두 가지 속도를 가지는 인류를 향해 | 인간으로 태어나 느끼는 피곤 | *트랜스휴머니즘일까 포스트휴머니즘일까? | *트랜스휴머니즘은 우생론일까?
06. 대안 화폐
거래의 사각지대를 메우는 보완 화폐 |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 *역사적으로 참고할 만한 지역화폐에는 무엇이 있는가? | *비트코인은 어떻게 기능하는가?
07. 포퓰리즘
역사 속 포퓰리즘과 그 오해들 | 정치학자들은 포퓰리즘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포퓰리즘은 대중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 정치를 보는 방법으로서의 포퓰리즘 | 좌파 포퓰리즘의 등장 | 포퓰리즘이 바꾼 선거운동 | 포퓰리즘에 대한 비판 | *미국의 알트라이트란 무엇일까?
08. 탈성장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고 불리는 신기루 | 생산제일주의와 소비사회 깨부수기 | 검소한 풍요사회를 위해 | *탈성장 개념은 어디서 등장했을까? | *로테크는 새로운 운동의 탄생일까? | *국민총생산은 어떻게 기능하는가?
09. 페미니즘
젠더 개념의 탄생과 그 이해 | 유물론적 페미니즘과 가부장제 비판 | 퀴어라는 전환점 | 이분법을 뒤흔든 트랜스젠더 운동 | 젠더 이론에 대한 비판 | 반젠더 이론 속 섹슈얼리티 | 블랙 페미니즘과 상호교차성 분석 | 페미니즘의 현재 지형과 실천들 | *페미니즘 윤리를 향한 ‘배려’란 무엇일까? | *남권주의는 반페미니즘일까? | *여성들의 운명은 지구의 운명과 연관되어 있을까?
10. 플랫폼 자본주의
유니콘의 나라에서 자유를 외치다 | 프롤레타리아에서 프롤레타리아로 | 법치국가에 저항하는 플랫폼 | 우버 해킹 — 새로운 가치 생산 모델 | *어떤 플랫폼이 성공을 거두었나? | *법은 가상공간에도 적용되는가?
나가며
-더 읽어보면 좋을 책
-주
리뷰
책속에서
기본소득이 사람들을 게으르게 만든다고 생각해야 할까? 아니면 일자리가 줄어든 데 대한 해결책이라고 생각해야 할까? 동물의 지능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게 되었으니 이제는 우리의 ‘종차별주의적’ 편견을 버려야 할 때가 온 것일까? ‘미투운동’이 일으킨 충격파 덕분에 부활한 페미니즘은, 과연 앞으로 어떤 새로운 길을 가게 될까? 경제와 노동권의 질서를 혼란스럽게 만들어놓은 ‘우버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치적 방법은 무엇일까?
〈들어가며〉
우리는 기본소득의 발안자들이나 반대자들처럼 완전히 반대되는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행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신자유주의자들이 사회민주주의자들 옆에 있고, 보수적 우파들이 반자본주의적 좌파와 같은 목표를 위해 함께 행동한다. 이제 기본소득은 유일한 정치적 선택으로 자리 잡았다.
〈01. 기본소득〉
현대 민주주의의 핵심은 선거다. 우리는 나라를 다스리는 특별한 역할을 맡겠다고 나선 같은 국적의 사람들 가운데서 여러 대표자를 정기적으로 선출한다. 그런데 이 선거 모델의 발명자로 여겨지는 아테네 사람들도 우리와 똑같이 했을까? 아니다. 민주주의가 선거제도에 반대해 만들어졌다고 말해도 될 정도로 초기의 민주주의는 선거를 크게 배제한다.
〈03. 21세기 민주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