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여성 시학, 1980~1990 (‘여성’을 다시 읽고 쓰는 일)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시론
· ISBN : 9788932039039
· 쪽수 : 261쪽
· 출판일 : 2021-09-01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시론
· ISBN : 9788932039039
· 쪽수 : 261쪽
· 출판일 : 2021-09-01
책 소개
1980년대부터 90년대까지를 아우르는 여성시 지형을 파악하고, 대표 여성 시인 5인의 창작 활동을 다각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그들의 시가 그간 비평장에서 읽혀온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여성주의 시각’을 바탕으로 문학사를 재인식해야 한다는 시대 요구에 부응하고자 노력했다.
목차
책머리에 여성의 이야기를 읽는 우리
‘여성 시인’이 시를 쓴다는 것: 1980년대 ‘여성해방문학’의 관점에서 다시 읽는 김혜순의 초기 시
1 여성주의 시각에 의한 문학사의 해체와 재구축
2 ‘여성’ 없는 여성시 혹은 ‘방법’으로서의 여성시
3 김혜순 초기 시에 나타난 ‘젠더 폭력’
4 ‘여성’을 다시 읽고 쓰는 일
1980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 고정희 시를 읽기 위한 시론(試論)
1 ‘대중/민중’운동으로서의 ‘여성’운동
2 1980년대 민중운동에서 젠더의 문제
3 ‘과소여성화’에서 ‘과잉여성화’로
4 고정희의 시를 읽기 위한 몇 가지 제언
여성해방문학’으로서 고정희 시의 전략
1 ‘고정희’라는 텍스트
2 ‘도식적 전형성’의 수행성
3 ‘여성’‘민중’으로서의 ‘어머니’
4 여성해방문학의 ‘여성’은 누구인가
최승자 시에 나타난 독신자 여성 삶의 재현 양상
1 여성의 글쓰기를 이해하는 두 가지 방식
2 ‘방법론’으로서의 여성성 혹은 여성성의 ‘과잉담론화’
3 ‘낙태’와 ‘공복’—절대 자존(自存)의 공간으로서 여성의 몸
4 여성시와 여성의 삶
1990년대 젠더화된 문단에서 페미니즘하기: 김정란과 허수경을 읽으며
1 ‘그들’의 페미니즘—‘김정란 죽이기’와 ‘김정란 구하기’
2 ‘여성적 글쓰기’와 ‘여성의 현실’
3 여성적 서정시에서 여성주의적 서정시로—허수경의 경우
4 선배 여성 시인을 읽는 일
참고 문헌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