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32041018
· 쪽수 : 194쪽
· 출판일 : 2022-12-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맑은 하늘을 되찾을 과학기술
1부 미세먼지의 정체를 밝혀라
1 지금은 미세먼지 시대
2 미세먼지란 무엇인가
3 우리 몸이 미세먼지를 만나면
R&D 성과 1
R&D 성과 2
2부 우리 주변의 미세먼지
1 미세먼지가 생겨나는 곳
2 가스도 미세먼지로 바뀐다
3 어디서, 얼마나 들이마시고 있을까
R&D 성과 3
R&D 성과 4
3부 여행을 떠나다
1 미세먼지가 이동하는 법
2 미세먼지를 관찰하다
3 미세먼지와 기후변화의 상호작용
R&D 성과 5
R&D 성과 6
4부 미세먼지 다스리기
1 해외에서 미세먼지에 대응하는 방법
2 우리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3 미래 미세먼지 관리
R&D 성과 7
R&D 성과 8
책속에서
이 연구소는 2013년 세계 각국의 1,000여 개 연구 결과를 근거로, 대기오염과 암 발병의 상관성이 충분하다고 인정해 대기오염을 112번째 1군 발암물질로 지정했다. 또한 실외 대기오염의 주성분인 미세먼지를 별도로 평가해 113번째 발암물질로 지정했다. 〔……〕 2010년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22만 3,000명이 대기오염으로 인한 폐암으로 사망했다. 미세먼지를 구성하는 황산염, 질산염, 광물 같은 화학 성분이 암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는 이후에도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연구진은 뇌신경세포 배양액에 국내 초미세먼지 나쁨 기준에 해당하는 1세제곱미터당 50마이크로그램 농도의 탄소 입자를 넣고, 아밀로이드 베타를 첨가한 뒤 신경전달물질의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저차원(0차원) 탄소 입자에서는 별다른 반응이 없었지만 고차원(3차원) 탄소 입자에서는 비정상적인 세포 반응을 보였다. 같은 탄소 성분의 미세먼지라도 구조에 따라 질병 원인 물질(아밀로이드 베타)과의 상호작용, 즉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처럼 수치예보 모델링 결과에 예보관의 판단을 더해 최종 예보 등급을 결정하는데, 미국, 영국 등 주요 선진국이 수치예보 모델링 결과를 곧바로 공개하는 방식과는 대비되는 특성이다. 과거 우리나라 예보 모델 정확도가 낮아, 예보관의 판단을 더해 정확도를 올리던 방식이 지금도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 정확도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2019년에는 79퍼센트까지 향상됐다. 고농도 예보 정확도가 지속적으로 올라가려면 예보 모델의 성능 개선과 함께 예보관의 전문성도 더욱 강화해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