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복과 수갑

제복과 수갑

(긴급조치 시대의 한국 소설)

김형중 (지은이)
문학과지성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620원
14,5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제복과 수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복과 수갑 (긴급조치 시대의 한국 소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소설론
· ISBN : 9788932041964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3-08-10

책 소개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부 교수이자 문학평론가 김형중의 비평집. 저자는 한국 현대사가 식민지 시기부터 지금의 분단국이 형성되기까지 단 한 번도 ‘예외상태’에서 벗어난 적이 없다는 사실에 집중하여, 이를 푸코의 ‘생명권력’에 입각해 다채로운 시각으로 분석한다.

목차

1부 프롤로그
한국의 1960~70년대와 생명정치 9

2부 생명권력과 문학사
파우스트의 시대 31
—김광식·김동립·남정현·박태순·김정한 소설 재론

풍자와 정신병리 1 59
—남정현 소설에 나타난 정신병리

풍자와 정신병리 2 86
—남정현 소설에 나타난 정신병리와 권력의 테크놀로지

강요당한 선택 106
—김승옥의 1960년대 중·단편 소설 재론

민도식의 해방 129
—윤흥길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연작에 나타난 권력의 양상

난민들의 문학사 154
—‘광주 대단지 사건’과 생명정치 시대의 한국문학

긴급조치 시대의 호모 사케르 180
—최인호의 중·단편 소설 재론

3부 팬데믹 이후
다시 포스트모더니즘을 찾아서 199
—포스트모더니즘과 신자유주의 통치성

마스크 쓴 사회 220
—‘코로나 19’ 시대에 대한 메모들

PESD와 ICD 242

4부 에필로그
심기증(Hypochondria) 시대 269

마치며 284

저자소개

김형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8년 광주에서 태어나 전남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국문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 문학동네 신인상 평론 부문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비평집 『켄타우로스의 비평』 『변장한 유토피아』 『단 한 권의 책』 『살아 있는 시체들의 밤』 『후르비네크의 혀』 『제복과 수갑』, 산문집 『평론가 K는 광주에서만 살았다』 『무서운 극장』, 연구서 『소설과 정신분석』과 엮은 책으로 『한국문학의 가능성』 『무한텍스트로서의 5·18』 등이 있다. 소천비평문학상, 팔봉비평문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근래 한국 지식계에 중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며 소개된 ‘생명권력’ 혹은 ‘생명정치’의 관점(카를 슈미트, 발터 벤야민, 한나 아렌트, 미셸 푸코, 조르조 아감벤 등이 이 새로운 권력이론에서 자주 거론되는 이름들이다)에서 볼 때, ‘산업화’와 ‘개발독재’란 말은 재정의되어야 할 소지가 다분해 보인다. 이 시대가 아감벤이 말하는 소위 ‘항상적 예외상태’의 시대였음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1960~70년대 한국의 정치 상황을 ‘생명정치’의 관점에서 재고해보고자 한다.
한국의 1960~70년대와 생명정치


19세기의 위대한 모더니스트들에게서 보이는 생산과 파괴의 변증법, 즉 ‘둘 다/모두’의 태도는 20세기에 이르면 ‘둘 중 하나/또는’의 태도에 의해 대체된다. 근대는 지독한 부정의 대상이 되거나, 아니면 분별없는 찬양의 대상이 된다. 그리고 바로 그 전자의 태도야말로 김광식, 김동립, 남정현의 소설이 공히 취하고 있는 태도이기도 하다. 그들은 이제 시작되고 있는 사이비 파우스트의 시대 초입에서 그것을 두려워하고, 불안해하고, 병리적일 정도로 격렬하게 부정할 뿐 그것이 가져다줄 비극적 풍요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근대에 대한 파우스트의 양가적 태도, 그 비극적 풍모가 그들에게는 부재한다.
파우스트의 시대— 김광식·김동립·남정현·박태순·김정한 소설 재론


남정현 소설에서 에이런 유형의 인물들은 대개가 무위도식자이거나, 현실부적응자, 가난하고 억압당하는 자로 등장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잃을 것을 가지고 있지 않은 관계로 이들 유형의 인물들에게서는 안전이나 위생에 대한 불안과 강박증이 없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 그들에게는 이 땅이 총체적으로 부정적이기만 한 관계로 대한민국이 아니면 어디가 되었건 떠나기를 바라마지않는다. 흥미로운 점은 이들의 증상이 가급적 현재의 공간을 유지하고, 지키고, 보존하고자 하는 알라존들의 안전강박증과 선명한 대비를 이룬다는 점이다. 기득권층에 속하는 알라존 유형의 인물들이 과장되게, 신경증적으로 현상태를 유지하고자 함으로써 풍자의 대상이 되는 반면 이들 가진 것 없는 에이런 유형 인물들은 하나같이 현상태로부터의 탈출을 꿈꾼다.
풍자와 정신병리— 남정현 소설에 나타난 정신병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