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32323381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3-12-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청년 세대의 목소리로 써 내려간 인구 위기 보고서
제1부 소멸은 시작되었다
쪼그라드는 대한민국
0.78, 합계출산율 세계 꼴찌의 나라 | 서울을 떠나면 살 수 있을까 | 군부대가 사라지고 있다 | 건국 이래 처음 등장한 절반 세대 | 조금 다른 삶을 살아도 행복한 사회
제2부 그들 앞에 펼쳐진 세계
1. 누구라도 사는 게 낫지 않나요?
두 대학 이야기 | 소멸하는 대학의 유학생 지푸라기 | 누군가에게는 기회의 나라 | 절반 쇼크의 대안
2. 2038 대한민국
월급의 3분의 1이 원천징수 되는 월급명세서 | 2017년생 청년 신세계의 취업일지
3. 의료 · 정치 · 부동산 디스토피아
혈액은 부족하고 수혈 고령자는 늘어가고 | 2040년,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 부동산 시장의 절반 쇼크
4. 절반 세대의 연애 · 결혼 · 출산 리포트
아이 낳지 않을 결심 | ‘굳이’ 결혼이 아니라도 | 그 책임, 왜 우리가 져야 하죠? | 젠더관이라는 거름망 | 우리가 연애를 하지 않는 이유
5. 저출생 원년 2002년
70년대생부터 이미 변화는 시작되었다 | IMF와 ‘결혼은 미친 짓이다’ | 저출생 2세대의 등장 | 점점 늦게 어른이 되는 사람들
제3부 앞으로의 세계를 재구성하다
1. 내 가족은 내가 선택하는 것 : 가족
아이를 낳아도 인생이 망가지지 않을 것 | 정상 가족의 신화를 해체하라 | 발목 잡는 가족 내 성별 불평등 | 개인의 삶이 행복한 것이 우선
2. 가족친화적, 여성친화적 일터 : 직장
모두를 위한 돌봄 지원 | 세계 최장 육아휴직, 사용률은 최저 | 누구도 불이익을 받지 않을 것
3. 이민자의 목소리를 듣는 사회 : 이주
모든 산업에는 외국인이 있다 | 의성 마늘밭의 베트남 청년들 | 이민이 대안이 될 수 있을까
4. 인구 절반 시대의 병역 자원 : 병역
절반으로 줄어들 병역 자원 | 여성 징병제와 모병제가 대안일까 | 복무 기간, 다시 늘리게 될까
5. 교육의 소멸이 곧 지역의 소멸 : 교육
텅 빈 교실과 콩나물 교실 | 학교들의 ‘화학적 결합’ | 일본과 독일의 대책
6. 연금 고갈, 피할 수 있을까 : 연금
2060년, 연금의 현실은? | 애초에 기울어진 운동장
제4부 대담 : 지속가능을 위한 논의
다양한 개인과 가족을 상상하고 받아들이는 사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망해도 한국이 망하는 거지, 제가 망하는 건 아니지 않나요?”
인구 절벽 위기에 맞서 청년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 것은 아닌지 묻는 나의 ‘젊은 꼰대’스러운 질문에, 스물한 살 대학생은 해맑게 웃으며 응수했다. 대한민국에 그 어떠한 희망도 품지 않겠다는 절망과 냉소를 꾹꾹 눌러 담아서 말이다.
취재 과정에서 만났던 이 땅의 청년들은 그동안 많이 절규했고 이제는 체념하고 있었다.
- <들어가며> 중에서
한국의 저출생 정책은 2006년 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시작으로 280조 원을 쏟았다고 한다. 어떤 나라보다 저출생 정책이 풍부하다는 평가지만 그 결과는 세계 꼴찌 합계출산율 0.78명이다. 국회 예산정책처 의뢰로 부산경제 연구소가 2023년 4월에 내놓은 ‘초저출산 탈피 해외사례 검토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보고서의 내용을 그대로 가져오자면 이러하다. “한국의 저출생 정책은 거의 모든 선진국 정책을 망라해 시행. 하지만 비효율적이고 산만한 정책 집행으로 행정력을 낭비하고 정책 실효성은 매우 낮음.” 보고서 분석에 따르면 저출생 정책이 효율적으로 쓰이지 않고, 포장지만 그럴싸한 대책도 많다는 뜻으로 읽힌다.
- <0.78, 합계출산율 세계 꼴찌의 나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