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목련구모권선희문 - 하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중국소설
· ISBN : 9788932405391
· 쪽수 : 580쪽
· 출판일 : 2025-01-30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중국소설
· ISBN : 9788932405391
· 쪽수 : 580쪽
· 출판일 : 2025-01-30
책 소개
악업을 쌓고 지옥에 떨어진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아들인 목련이 온갖 역경과 고난을 거친 끝에 비로소 모친을 구하게 된다는 목련구모 설화의 대표작인 이 작품은 단테의 『신곡』을 연상시키는 걸작이다.
목차
제57척 혼담 거절(議婚辭婚)
제58척 나복과 익리의 이별(主僕分別)
제59척 흰 원숭이의 항복(遣將擒猿)
제60척 길을 트는 흰 원숭이(白猿開路)
제61척 불경과 모친(挑經挑母)
제62척 내하교를 건너는 유씨(過耐河橋)
제63척 흑송림의 시험(過黑松林)
제64척 승천문과 귀문관(過升天門)
제65척 선인들의 승천(善人升天)
제66척 한빙지의 고난(過寒冰池)
제67척 화염산의 요괴(過火燄山)
제68척 난사하의 싸움(過爛沙河)
제69척 사화상의 합류와 나복의 탈화(擒沙和尙)
제70척 부처님 참배(見佛團圓)
제71척 개장(開場)
제72척 세존의 가르침(師友講道)
제73척 조씨 댁의 원소절(曹258府元宵)
제74척 유씨와 금노의 재회 (主婢相逢)
제75척 목련의 좌선(目連坐禪)
제76척 첫 번째 보전(一殿尋母)
제77척 두 번째 보전(二殿尋母)
제78척 청명절 성묘(曹氏淸明)
제79척 단 공자의 소원(公子回家)
제80척 새영을 탐하는 단 공자(見女託媒)
제81척 세 번째 보전(三殿尋母)
제82척 계모의 핍박(求婚逼嫁)
제83척 새영의 삭발과 도피(曹氏剪髮)
제84척 네 번째 보전(四殿尋母)
제85척 새영의 암자행(曹氏逃難)
제86척 다섯 번째 보전(五殿尋母)
제87척 부처님을 다시 뵙다(二度見佛)
제88척 암자에 도착한 새영(曹氏到庵)
제89척 새영과 부친의 상봉(曹公見女)
제90척 목련과 모친의 상봉(六殿見母)
제91척 부상의 상소(傅相救妻)
제92척 일곱 번째 보전(七殿見佛)
제93척 예물 거절(曹氏却餽)
제94척 괘등 의례(目連掛燈)
제95척 여덟 번째 보전(八殿尋母)
제96척 열 번째 보전(十殿尋母)
제97척 나귀로 변한 유가(益利見驢)
제98척 관음의 가르침(目連尋犬)
제99척 모친과의 재회(打獵見犬)
제100척 새영과의 상봉(犬入庵門)
제101척 목련의 귀가(目連到家)
제102척 우란대회에 가는 새영(曹氏赴會)
제103척 우란대회에 가는 십우(十友赴會)
제104척 우란대회(盂蘭大會)
해설: 목련의 모친 구조 이야기와 정지진의 『목련구모권선희문』
판본소개
정지진 연보
제58척 나복과 익리의 이별(主僕分別)
제59척 흰 원숭이의 항복(遣將擒猿)
제60척 길을 트는 흰 원숭이(白猿開路)
제61척 불경과 모친(挑經挑母)
제62척 내하교를 건너는 유씨(過耐河橋)
제63척 흑송림의 시험(過黑松林)
제64척 승천문과 귀문관(過升天門)
제65척 선인들의 승천(善人升天)
제66척 한빙지의 고난(過寒冰池)
제67척 화염산의 요괴(過火燄山)
제68척 난사하의 싸움(過爛沙河)
제69척 사화상의 합류와 나복의 탈화(擒沙和尙)
제70척 부처님 참배(見佛團圓)
제71척 개장(開場)
제72척 세존의 가르침(師友講道)
제73척 조씨 댁의 원소절(曹258府元宵)
제74척 유씨와 금노의 재회 (主婢相逢)
제75척 목련의 좌선(目連坐禪)
제76척 첫 번째 보전(一殿尋母)
제77척 두 번째 보전(二殿尋母)
제78척 청명절 성묘(曹氏淸明)
제79척 단 공자의 소원(公子回家)
제80척 새영을 탐하는 단 공자(見女託媒)
제81척 세 번째 보전(三殿尋母)
제82척 계모의 핍박(求婚逼嫁)
제83척 새영의 삭발과 도피(曹氏剪髮)
제84척 네 번째 보전(四殿尋母)
제85척 새영의 암자행(曹氏逃難)
제86척 다섯 번째 보전(五殿尋母)
제87척 부처님을 다시 뵙다(二度見佛)
제88척 암자에 도착한 새영(曹氏到庵)
제89척 새영과 부친의 상봉(曹公見女)
제90척 목련과 모친의 상봉(六殿見母)
제91척 부상의 상소(傅相救妻)
제92척 일곱 번째 보전(七殿見佛)
제93척 예물 거절(曹氏却餽)
제94척 괘등 의례(目連掛燈)
제95척 여덟 번째 보전(八殿尋母)
제96척 열 번째 보전(十殿尋母)
제97척 나귀로 변한 유가(益利見驢)
제98척 관음의 가르침(目連尋犬)
제99척 모친과의 재회(打獵見犬)
제100척 새영과의 상봉(犬入庵門)
제101척 목련의 귀가(目連到家)
제102척 우란대회에 가는 새영(曹氏赴會)
제103척 우란대회에 가는 십우(十友赴會)
제104척 우란대회(盂蘭大會)
해설: 목련의 모친 구조 이야기와 정지진의 『목련구모권선희문』
판본소개
정지진 연보
책속에서
산은 우뚝하고 구름은 높고, 물결은 뒤집어지고 얼음은 눈처럼 희다네. 용이 똬리 틀고 범이 웅크리고 있는 곳에, 해마다 눈이 내려 흑산(黑山)의 꽃이 되고, 학이 원망하고 원숭이가 슬퍼하는 곳에, 밤마다 달이 청동 거울처럼 걸려 있네. 동쪽에 잠겨 있는 함곡관을 부러워할 것 없고, 살아서 들어가고자 한 옥문관을 한탄할 것 없네. 철갑옷을 걸친 장군이라 해도, 마음대로 지나가게 하지 않고, 푸른 소에 올라탄 노자(老子)도, 가벼이 건너가지 못했다네.
백행(百行) 중에 효보다 앞서는 것이 없고, 오륜 가운데 부모보다 무거운 것이 무엇이랴. 모친을 구하고자 한다는데 지옥은 겹겹이 있어 금방 들어가기 어렵도다. 내가 이제 너에게 석장(錫杖) 한 자루와 짚신 한 켤레를 주노라. 이 석장으로 위로 천문을 가리키면 별이 옮겨 가고 북두성이 돌아갈 것이고, 아래로 지옥을 두드리면 자물쇠가 떨어져 문이 열릴 것이니라. 이 짚신을 신으면 발을 들어 구름을 타고 바로 구중 지옥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고, 몸을 날려 안개를 몰아 만 리 천 산을 넘어감에 걱정이 없을 것이리라. 이제 바로 길을 떠나 더는 의심하거나 지체하지 말거라.
사람들에게 권하노니 힘자랑하지 마시게,
힘자랑하고 기운 쓰다가는 절로 미쳐 버리게 된다네.
힘센 사람 위에 더 힘센 사람이 있으니,
힘센 사람을 만나면 어찌 당하겠는가.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