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2521466
· 쪽수 : 652쪽
· 출판일 : 2020-04-27
책 소개
목차
시편 목록
시리즈 서문
저자 서문
감사의 글
‘the LORD’에 대한 설명
1부 그리스도 안에서 어떻게 시편으로 기도할 것인가?
1. 우리는 시편으로 기도해야 한다
2. 우리는 시편으로 기도할 수 없다
3. 그리스도 안에서 어떻게 시편으로 기도할 것인가?
4. 실례: 그리스도 안에서 시편으로 기도하기
5. 그리스도로 이어지는 라인 긋기
2부 우리가 시편에서 마주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6. 시편에 나오는 “의인”은 누구인가?
7. 우리는 어떻게 고난 시편으로 기도할 수 있는가?
8. 우리는 하나님이 악인을 심판하시도록 기도할 수 있는가?
3부 시편을 성경 이야기 속으로
9. 시편에 나오는 창조/창조세계
10. 시편에 나오는 아브라함
11. 시편에 나오는 출애굽
12. 시편에 나오는 시내산
13. 시편에 나오는 시온
14. 시편에 나오는 바벨론 포로생활
15. 시편에 나오는 애통과 찬양
4부 시편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16. 히브리 시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17. 시편 교사의 네 가지 과제
18. 시편을 가르칠 준비를 위한 틀
19. 시편을 시리즈로 가르칠 계획 세우기
20. 막간: 시편이 어떻게 우리의 기도를 다시 빚는가?
5부 본문에서 메시지로
21. 시편 제1권(1-41편)
22. 시편 제2권(42-72편)
23. 시편 제3권(73-89편)
24. 시편 제4권(90-106편)
25. 시편 제5권(107-150편)
26. 시편의 형태
주
참고문헌
책속에서
우리는 어떤 식으로 시편을 (그리고 성경의 다른 기도와 노래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이해해야 하는가? 율법서, 예언서, 복음서, 서신서의 음성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이해하기란 쉽다. 이것들에서 하나님은 자신의 예언자들과 아들과 사도들의 입을 통해 우리에게 (이를테면) ‘내려’ 말씀하시기(speak down) 때문이다. 이것들은 하나님이 우리에게 하시는 말씀이다. 그러나 성경에서 사람들이 하나님에게 ‘올려’ 말하는(speak up) 부분들은 어떤가? 어떤 의미에서 이것들은 하나님이 자신들에게 ‘내려’ 말씀하신 말씀에 신자들이 보이는 반응이다. 그러나 이것들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아타나시우스는 이렇게 썼다. 시편은 “성경에서 독특한 위치를 갖는다. 성경 대부분은 우리에게 말하는 데 반해 시편은 우리를 위해(for, 대신해) 말하기 때문이다.” 시편은 신자들이 대대로 드린 여느 기도와 같지 않다. 시편은 성경의 기도다. 시편은 단순히 반응이 아니다. 시편은 공인된 반응이며, 하나님이 자신에게 ‘올려’ 말하도록 우리에게 주신 하나님의 말씀이다. 시편은 ‘하나님에게 말하도록 하나님으로부터 온 말씀’이다. 바꿔 말하면, 시편은 우리에게 기도를 가르친다.
_1. 우리는 시편으로 기도해야 한다 중에서
우리는 믿음으로 그리스도와 연합한다. 우리는 그분의 이름으로, 그분의 성령으로 기도한다. 우리의 기도와 찬양은 그리스도를 통해 성령에 의해 아버지께 올라간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처음 사용한 아름다운 유비로 표현하면, 예수님이 찬양대의 지휘자라면 우리는 찬양대다. “여러분은 시편을 노래할 때, 예수님을 여러분의 찬양대 지휘자로 모신 채로 예수님의 노래를 부르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으로 구성된 찬양대의 찬양을 듣는 대신, 당신이 직접 찬양대에 참여한다. “그분의 노래가 불려지고, 나머지가 그 노래를 부르며 그분과 함께한다.” “그리스도는 우리 마음을 조율해 하나님의 찬양을 부르게 하는 위대한 지휘자다.”
_3. 그리스도 안에서 어떻게 시편으로 기도할 것인가? 중에서
생각이 깊은 사람은 이렇게 물을 것이다. “왜 그 목자가 예수님이어야 하죠?” 시편 23편은 이 질문에 답하지 않는다. 우리는 해당 시편의 대로를 내달리다가 마지막에 임의로 우회로를 만들고 이렇게 말한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목자는 예수님이에요. 그러니 여기서 하나님을 예수님으로 대체할 수 있어요.” 대신에 우리는 이것이 다윗 왕의 시편이며, 이 시편에는 그 왕에게서 완벽한 의미를 갖는 특징들이 있다는 데 주목한다. 기름을 머리에 붓는 것은 ‘메시아로 세우는 행위’다. 다윗 왕의 직계는 예수 그리스도, 위대한 다윗의 더 위대한 아들, 최종 메시아로 이어진다. 여호와, 여기서 하늘에 계신 아버지 하나님이 목자로서 자기 아들 예수, 그 왕을 인도해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를 지나 그분의 원수들을 이기는 승리의 향연으로 이끄신다. 당신과 나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로서 이 시편을 노래한다. 그분의 영으로 우리는 그분의 어둠과 인정에 사로잡히고, 아버지 하나님이 우리의 목자요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부족함이 없다는 놀라운 진리를 그분과 더불어 기린다.
_5. 그리스도로 이어지는 라인 긋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