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2813530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4-07-21
책 소개
목차
주제별 개요
서론
제1장 좋은 소식: 복음의 핵심
제2장 성서: 성경의 권위
제3장 유일하신 참 하나님: 성부, 성자, 성령
제4장 하나님의 다스림 아래 있는 인간의 삶: 죄로 타락한 창조 세계
제5장 예수 그리스도: 위격과 사역?요약
제6장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화해 사역: 우리 죄를 위한 대속
제7장 높임받으신 주: 부활, 승천, 보좌에 앉으심
제8장 은혜로 말미암은, 믿음을 통한 칭의: 사면
제9장 구원의 의미: 하나님이 죄인을 구원하신다
제10장 성령을 보내심: 그리스도와 신자의 연합
제11장 거룩한 삶: 거룩하게 하는 은혜
제12장 복음의 진리 가운데 하나됨: 모든 신자의 하나됨
제13장 교회: 하나님의 백성
제14장 종교 다원주의와 그리스도의 유일성: 오직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원
제15장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책임: 말과 행위의 통합
제16장 종말: 마지막 날에 될 일
결론
부록 A_ 로잔 언약, 1974년
부록 B_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복음주의 축전, 1999년
부록 C_ 암스테르담 선언, 2000: 21세기 복음 전도를 위한 헌장
참고 도서 및 인용 허가
찾아보기
책속에서
‘복음주의적’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복음주의 그리스도인은 성경을 각 개인에게 지금 여기서 인격적으로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읽으며 세상의 유일한 주님과 구세주로서 예수 그리스도를 인격적으로 신뢰하고 사랑하는 삶을 사는 사람들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복음주의 그리스도인은 자신을 은혜로 말미암아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구원받은 죄인으로 여기는 사람이다. 또한 하나님께 충성스러운 순종을 실천하는 자이며, 기도를 통해 감사와 소망 속에서 삼위일체 하나님과 적극적으로 교제하고, 대위임령에 따라 제자를 만드는 일에 활기차게 헌신함으로써 이웃을 적극적으로 사랑하는 자다.
(서론 p. 25-26)
20세기 중반 이래로, 개신교 교파의 내부와 외부 모두에서 중요한 복음주의적 부활이 일어나고 있다.…이러한 운동의 진척을 뒷받침하고 있는 교리적 합의라는 실상이야 말로 우리가 이 책에서 보여 주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지금이 이러한 작업을 시도하기에 적절한 때다. 복음주의자들이 초교파적인 환경 속에서 상호 협력 가운데 사역의 일치를 실천하면서 전 세계에서 행진했던 반세기가 지난 지금, 이러한 연대 활동이 결코 단순한 기회주의적 실용주의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신앙과 교리의 일치로 뒷받침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서론 p. 30-31)
우리는 복음주의를 본질적으로 회복과 갱신을 위해 성령이 이끄는 운동으로 이해한다. 이 회복은 공교회적인 성경적 진리, 전통적인 기독교적 지혜,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과 구세주로 선포하는 것, 회개를 촉구하는 죄에 대한 지식, 성령 안에서 예배와 증거와 섬김을 위한 능력의 회복을 말한다.…복음주의라 불리는 현상은 본질상 교회를 그 과제의 근원으로 회복시키고 적절한 사역을 행하도록 깨우기 위한 성령의 운동이다. 그러므로 복음주의는 먼저 복음의 진리를 위한 하나님이 주신 청지기적 책무이며, 개인적 신앙과 영성, 목회적 양육과 권징, 신학적 증거와 교육, 잃어버린 세상을 향해 나아가는 복음 전도 사역에서 왜곡된 것들을 소생시키고 부흥시키며 개혁하기 위해 하나님이 보내 주신 권능이다. 복음주의는 교리적 순수성, 그리스도를 닮은 성품과 행위, 튼튼한 개인적 영적 건강, 갈망과 기쁨에 찬 열정이 있는 예배를 회복하고자 한다. 또한 성경에 따른 교회 성장, 즉 먼저 질적인 성장을 이루고 그 틀 안에서의 양적인 성장(많은 복음주의자들이 질보다 숫자를 우선시하는 것을 교회 성장 운동이라고 보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을 이루고자 하는 가치들의 회복을 추구한다.
(결론 p.256-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