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 일반
· ISBN : 9788932907499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07-03-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서론
제1장 악의 문제와 그와 관련된 용어들
1. 악의 문제 정의하기
2. 신정론이란 말은 받아들일 만한가?
3. 악의 종류들
제2장 사유의 양극 - 일원론과 이원론
1. 일원론과 이원론
2. 스피노자의 순수 일원론
3. 악은 환상이라는 현대적 입장 - 크리스천 사이언스
4. 플라톤의 이원론
5. 존 스튜어트 밀의 외연적 이원론
6. 에드거 셰필드 브라이트맨의 내적 이원론
제2부 아우구스티누스적 신정론
제3장 문제의 본원: 성 아우구스티누스 - 잘못 사용된 자유 의지로부터 선의 결핍으로서의 악
1절 선의 결핍으로서의 악
1. 아우구스티누스와 마니교
2. 플로티노스의 신정론
3. 창조된 질서의 선함
4. <무로부터 창조되었기에 유동적인 인간
5. 기생적이고 또한 결성(缺性)적인 악
6. 존재와 선함의 일치
7. 아우구스티누스 교리의 논리적 특징
2절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유 의지 변증
8. 근본 악으로서의 죄
9. 무로부터의 악의 자기 창조
10. 죄와 예정설
제4장 문제의 본원: 성 아우구스티누스 - 풍부함의 원리와 미학적 주제
3절 풍부함의 원리
1. 문제
2.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플라톤주의적 대답
3. 플로티노스의 풍부함의 원리
4. 유출과 창조
5. 선재하는 원형
4절 미학적 주제
6. 아우구스티누스에게 나타난 미학적 주제
7. 완전한 세계에서 벌어지는 동물의 고통
8. 지옥과 도덕적 균형의 법칙
제5장 아우구스티누스 이후 오늘날까지의 가톨릭 사상
1. 확장된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정론: 성 빅토르 휴
2. 토마스 아퀴나스
3. 현대 토미스트들의 이론: 아베 샤를 주르네
4. 죄와 지옥
제6장 개혁주의 사상에서의 악의 문제
1. 아우구스티누스와 종교 개혁자들
1절 칼뱅
2. 칼뱅의 타락과 예정론
3. 예정론 대 신정론
2절 칼 바르트
4. 바르트의 방법론
5. 창조의 그늘
6. 무
7. 무의 기원
8. 비판: a. 무의 기원
9. 비판: b. 무의 상태
제7장 18세기의 낙관주의
1. 아우구스티누스 전통의 산물
2. 킹의 <악의 근원>
3. 라이프니츠의 신정론
4. 가능한 최고의 세계
5. 무엇을 위한 <최선의 가능함>인가?
제8장 어둠으로부터 빛을 나누는 것
1. 신정론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적 유형의 주된 특징들
1절 신학적 주제들
2. 창조된 우주의 선함
3. 죄에 대한 벌로서의 인간의 고통
4. <축복받은 범죄여……> 대 영원한 형벌
2절 철학적 주제들
5. 비존재로서의 악
6. 근원적 악으로서의 형이상학적 악
7. 우주의 미학적 완전성
8. 근본적 비판
책속에서
신이 신비하게 타락한 자의 악한 행위를 주재한다는 것 그리고 악으로부터 선을 이끌어 내신다는 것 그리고 유한하고 일시적인 악으로부터 영원하고 무한한 선을 이끌어 내신다는 것은 기독교 신정론에서는 위대한 언약이다.
그러나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이 언약은 악으로부터 선을 이끌어 내시는 신적인 행위가 오직 대단히 적은 경우에만 해당하고 많은 경우 영원히 죄를 저지르고 영원히 고통받는다는 사실에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한다. 영원한 죄와 고통은 그 정의상 선함으로 귀결되는 것이 아닌 신의 창조에 오점으로 남는 악이기 때문이다.-p102 중에서
인간 영혼의 궁극적 구원에 대한 믿음이라는 차원에서 만인 구제설로 우리가 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가? 영원한 고통을 주는 신의 판결에 대한 거부는 그것 스스로는 만인 구제설과 동일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신에 의한 존재의 소멸이나 최후의 잃어버린 자들의 존재의 감소와 같은 제3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p352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