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사 일반
· ISBN : 9788932917931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16-08-25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일본어판 서문
삽화 목록
서론 ─ 정벌: 동부 유라시아의〈 정당한 전쟁〉론
제1부 임진왜란은 에도 시대 2백여 년간 어떻게 형상화되었는가
제1장 임진왜란 문헌군의 연구
제1절 초기 문헌과 『다이코기』
제2절 첫 번째 충격 ─ 중국 문헌
제3절 두 번째 충격 ─ 한국 문헌
제4절 가토 기요마사 문헌군
제5절 18세기의 임진왜란 문헌군 ─ 후쿠오카 번과 쓰시마 번
제6절 고단, 에혼이 된 임진왜란 문헌군
제7절 요미혼이 된 임진왜란 문헌군
제8절 19세기의 임진왜란 문헌군 ─ 쓰시마 번과 미토 번
제2부 이국 정벌 전기의 전체 상
제2장 유구 정벌 담론과 임진왜란 문헌군
제1절 임진왜란 문헌군 속의 유구
제2절 『진세쓰 유미하리즈키』와 이국 정벌 전쟁
제3절 시마즈 가문의 유구 침략과 임진왜란
제3장 진구코고 전승 및 백제 구원 전쟁 담론과 임진왜란 문헌군
제4장 요시쓰네 에조 도해설과 임진왜란 문헌군
제1절 에조 전쟁 문헌군의 전개와 정벌 논리
제2절 『요시쓰네 훈공기』와 『조선태평기』 ─ 바바 노부노리의 경우
제3절 『통속 요시쓰네 에조 군담』과 『조선 연대기』 ─ 도에이쇼의 경우
제4절 『요시쓰네 에조 훈공기』와 『에혼 조선 정벌기』 ─ 우타가와 사다히데와 쓰루미네 시게노부의 경우
결론 ─ 근세 일본 이국 정벌 전기의 정벌 논리
일본어판 발문
이 책에서 언급되는 주요 문헌
주
연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전근대 한중일 삼국에서 〈이국〉, 〈바깥〉, 〈이적〉이라는 존재는 문명의 중심인 자기 집단[화(華)]에 대하여 문명화되지 않은 야만[이(夷)]로 파악되었다. <화>에게는 세계 질서를 어지럽히는 〈이〉의 행위로부터 세계 질서를 지킬 의무가 부여되어 있다고 믿어졌다. 세계 질서를 지켜야 하는 의무를 지닌 〈화〉가 그 의무를 수행하여 정의를 실현하는 전쟁 행위가 〈정벌〉, 〈정토(征討)〉 등의 단어로 개념화되었다.
〈소중화주의〉는 일본 고유의 것이 아니다. 광개토왕 비문을 분석한 이성시는 중국 왕조들의 존재가 비문에서 의도적으로 감추어져 있음을 지적하고, 중국 왕조들이 없는 상태에서 〈화이사상〉을 주장하는 광개토왕 비문으로부터 고구려의 〈소중화주의〉를 읽어 낸다.
『다이코기』의 임진왜란 기사는 저자의 의도에 따라 치밀하게 개찬되어 있다. 여기까지 검토한 바에 따르면 그 의도란 〈일본이 승리한 임진왜란〉이라는 도식을 만들어 내는 데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