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33704592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04-09-25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서론
1. 기존 연구의 성과와 문제점
2. 연구의 방법과 특징
3. 관련 용어 검토 : 유통.교환.교역의 개념
제1장 시(市)의 원형과 성격 변화
1. 시의 원형과 기능
2. 시의 성격 변화
제2장 관상(官商)의 기원과 관시(官市)체제
1. 관상의 기원
2. 관시의 구조와 기능
3. 수공업 생산과 관시
제3장 창고제의 성립과 운영
1. 창고제의 성립 과정
2. 창고제의 정비와 운영
3. 조세 수취와 운송체계
제4장 현물화폐의 유통과 재정
1. 중국 고대 화폐의 유입과 유통
2. 현물화폐의 유통과 재정 운영
3. 고대의 금속화폐 사용 문제
제5장 민간 상업의 발달과 유통체계의 변화
1. 민간 상업의 발달
2. 신라 하대 유통체계의 변화
결론
1. 국가 주도 유통체계의 성립과 변천
2. 삼국과 통일신라 상업의 특성
3. 연구의 한계와 과제
저자소개
책속에서
왕건은 신라 말 상인층 활동의 정점을 보여준다. 왕건의 조상은 지방 부호 출신으로, 그 주요한 경제기반은 대내외 교역 활동을 통해 축적한 것이다. 920년(경명 4) 고려는 송악에 유시油市를 설치했는데, 새로운 정치적 거점에 품목별 시장이 출현한 것으로 주목된다. 종래에는 보이지 않던 전문 시장의 등장은 왕건 세력의 다양한 상업 활동 경험이 배경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처럼 지방세력은 독자적인 정치.군사기반과 유통조직을 이용하여, 활동 지역에 유통망을 형성함으로써 붕괴되어가던 신라의 국가 주도 유통체계를 대체해갔다.
왕건은 이를 기반으로 신라의 일부 귀족, 지방의 반란세력과 연계하여 국가권력까지 장악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즉위 후 '취민유도取民有度'를 표방하며 조세액을 경감한 것은 태봉泰封 시기부터 그 지배 영역 내에서 독자적으로 조세 수취를 행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상업 활동을 통한 물자 유통뿐 아니라, 종래 신라 국가의 고유 영역이었던 조세 수취와 지급을 통한 유통 부문까지 지방세력이 장악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 본문 232~233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