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일본문화
· ISBN : 9788933704783
· 쪽수 : 358쪽
· 출판일 : 2005-09-01
목차
머리말
제1장 전후개혁과 민주화
1. 점령과 전후개혁│2. 냉전과 역코스│3. 전후개혁 시대의 사회상│4. 마무리―55년 체제와 구조개혁
제2장 경제대국
1. 경제대국의 현황│2. 고도 경제성장의 회고│3. 신자유주의 개혁과 규제완화│4. 마무리―새로운 정책 과제의 등장
제3장 정치구조
1. 정부구조│2. 선거제도│3. 정당│4. 지방자치│5. 대외관계│6. 마무리―보통국가와 보수회귀
제4장 사회계층
1. 취업구조와 사회이동 기회의 변화│2. 지위의 비일관성과 사회적 통합│3. 풍요한 사회와 격차의 확대│4. 중류 의식│5. 사회이동 기회의 개방│6. 마무리―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제5장 일본모델론
1. 일본모델론의 등장│2. 일본적 특수성과 가족주의│3. 공동체와 경영가족주의│ 4. 일본적 특수성론의 한계│ 5. 마무리―일본모델론의 한계
제6장 가족
1. 가족제도의 개혁│2. 가족구조의 변화│3. 가족 기능의 변화│4. 최근의 가족 동향│5. 마무리―가족형태의 다양화
제7장 교육
1. 교육기회의 구조적 특징│2. 교육과정의 지향점│3. 교육현장의 문제점│4. 대학교육 대중화의 실상│5. 교육개혁의 동향│6. 마무리―시장원리와 국가주의
제8장 젠더
1. 젠더의 정의와 불평등│2. 여성의 다양한 생애진로│3. 주부와 가사노동│4. 여성 취업의 특성│5. 여성의 시민활동과 사회참획│6. 마무리―여성의 주체화와 양성평등사회
제9장 소수집단
1. 소수집단과 차별의 구조│2. 일본인의 민족적 구성│3. 대표적인 소수집단│4. 다문화·다민족·다국적 공생사회의 지향│5. 마무리―국제화와 다양성의 수용
제10장 생활구조와 지역사회
1. 생활이라는 키워드│2. 생활구조의 이론│3. 생활의 장으로서의 지역│4. 지역사회의 변동―주민운동과 마치즈쿠리│5. 마무리―지역사회와 마치즈쿠리
제11장 종교
1. 일본인은 종교적인가│2. 종교이탈과 새로운 종교체험│3. 불교와 신도의 이중귀속│4. 전통종교와 습합체제│5. 신도는 종교가 아니다?│6. 신종교│7. 신신종교│8. 국가와 종교│9. 마무리―종교적 다원화와 신흥종교
제12장 사회의식과 소비생활
1. 사회의식과 소비생활│2. 결핍의 시대에서 대량소비의 시대로│3. 일이냐 여가냐│4. 서비스 소비의 증가│5. 변화하는 남녀관계│6. 생활운동과 생활정치│7. 일본인의 생활목표와 준거집단│8. 일본인에게 국가와 천황이란 무엇인가│9. 마무리―풍요와 시민의식
제13장 사회운동
1. 전후 사회운동의 개관│2. 실리추구형 노동운동의 정착│3. 노동운동 조직 통일과 정책참가│4. 60년 안보투쟁과 사회운동의 다원화│5. 새로운 사회운동과 대학분쟁│6. 베헤렌과 시민운동│7. 교과서 문제와 시민사회의 저력│8. 시민운동의 지속성│9. 반핵평화운동│10. 비핵 삼원칙│11. 자원봉사│12. NPO와 시민운동의 제도화│13. 마무리―거품경제와 사회의식의 보수화
제14장 환경
1. 공업화와 공해문제│2. 반공해 주민운동│3. 정부와 혁신자치체의 대응│4. 새로운 환경문제│5. 공해·환경문제에 대한 일본의 사회이론│6. 마무리―공해방지와 환경정책의 제도화
제15장 21세기의 사회환경과 전망
1. 경제대국과 구조개혁│2. 헌법개정과 보통국가│3. 국제화와 다민족 공생사회│4. 고령화와 복지의 책임│5. 지방분권과 지역사회│6. 정보화와 사회변동│7. 환경과 생활세계│8. 사회의식과 가치관│9. 노사관계의 유연화│10. 마무리―국제화와 시민적 주체 형성
용어 해설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