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북한사
· ISBN : 9788933707784
· 쪽수 : 628쪽
· 출판일 : 2020-10-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문제제기 및 연구방향 I 연구의 방법과 범위 I 연구자료
제1장_ 1940년대: 빗발치는 민중의 요구
해방 그리고 자유
분출하는 민중의 분노 I 민중의 자치: 자발적 정치조직들 I 생활고 그리고 흉흉한 민심
민중의 저항
소련군의 만행과 주민들의 자구 I ‘공산당 몰아내자’ 대규모 시위
민중의 요구
농민의 소작료 투쟁과 토지개혁 요구 I 토지개혁과 농촌위원회 I 빈발한 토지 부정분배 I 노동자, 여성의 개혁요구와 민주개혁
역전된 계급
노동자와 빈농이 우선 I 농민과 노동자가 지방정권기관의 주축
개혁과 전통
사상개조의 대상 I 민간신앙의 생명력
교육과 민중
‘아는 것이 힘, 무식은 멸망’ I 교육기회 점차 확대 I 높은 교육열
동원 그리고 감시
대규모 동원 시작: 보통강 개수공사 I 지방까지 감시망
인민생활과 당과 군
의료복지는 요원 I 노동자 월급은 850원 정도 I 당원배가에 매진 I 계속되는 군대증원 I 군지원 사업도 본격화
제2장_ 1950년대: 전쟁도 전후 상처도 민중 몫
전쟁 전 민중의 삶
여전히 빈농이 대다수 I 교육 현장 아직 열악 I 민영업소는 점차 사라져
전쟁하는 군졸들
목숨 내놓은 병영생활 I 폭격에 떨고 군기는 빠지고 I 탈영, 병역기피도 많아
전쟁 속 인민
일반인들도 힘겨운 삶의 연속 I 전방 지원에 죽을 맛 I 3개월 교육 후 판사 I 남북 사이에서 이용되고 처벌받고 I 가족 잃고 집도 잃고 I ‘두문’의 형벌 I 공동경작의 어려움 I 자연재해에 관료부패까지
전쟁의 상흔 온통 민중 몫
상처뿐인 인민들 I 근로자들의 생활 I 품질 낮은 생활용품들 I 전후 농민들의 생활 I 관료주의와 부패 I 쉽지 않은 어촌생활 I 군의 변화와 예비군
제3장_ 1960년대: 천리마 시대
대대적 캠페인 그리고 변화
천리마운동과 절약운동 I 근로자생활 I 천업 없는 사회 I 농촌생활 I 어려움은 불합리한 운영 때문 I 분조관리제와 농촌의 변화 I 어민 생활
군인, 예비군 그리고 운동선수
농사짓는 군인들 I ‘조선의 번개’ 신금단과 운동선수들의 생활
변화하는 평양
무궤도전차 도입 I 구공탄 때기 시작하는 평양
그래도 아직은
석탄 연기 가득한 터널들 I 상품의 질은 아직 미흡 I 교과서 부족한 학교
제4장_ 1970년대: 생활은 개선, 집단주의는 강화
식량 사정 좀 호전
식량문제 완전 해결? I 세금제도 폐지
생활총화로 통제 강화
체제에 순응하는 존재로
개선 그러나 여전히 부족
근로자 월급 70원 I 여성들은 여전히 이중 부담 I 농촌 현대화 박차 I 농촌의 관료주의 I 연 270일 출어
물자부족으로 부정도 발생
과자는 한 달에 두 번 I 공책 부족한 학생들 I 귀하신 몸 감기약과 소화제
군 과잉 사회
군인 ‘담력 키우기’ I 중학생도 입영훈련
평양 시민의 생활
평양 우선주의
제5장_ 1980년대: 모자라는 생필품, 재활용의 경제
부업장려와 자투리 활용 운동
‘스스로 생활 개선’ 장려 I 8·3운동
농촌보다는 도시 선호
근로자들 기능 수준에 따라 다른 월급 I 일과 후엔 한잔 I 유원지도 가고 영화도 보고 I 여전히 가부장적인 가정 I 청년들은 탈농 희망 I 더딘 어민생활 개선
한 단계 도약 위한 도움닫기
상품포장에도 관심 I 농촌학교는 비교적 여유 I 보여 주기식 증산운동
부식도 전기도 군 스스로 해결
공군부대의 ‘이론식사’ I 북한군에도 잦은 ‘위치 이동’
평양 시민의 생활
문화시설 증가 I 최신 설비의 산부인과 병원 개원 I 일요일엔 예배를 보는 사람들도
제6장_ 1990년대: 모두 고난의 행군
굶주림과의 싸움
살아남는 것이 문제 I 전력난, 외화난도 겹쳐
역경의 편재
일터 찾기 어려운 근로자들 I 여성들이 생계 책임 I 농사지으랴 식량 구하랴 I 수정된 분조관리제… 기대했지만 실망 I 군인들은 ‘민가 사냥’ I 교과서 없는 학생들
평양도 대동소이
결핍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평양 시민 I 평양 시민들도 벗어날 수 없었던 ‘고난의 행군’ I 쉽게 끝나지 않는 어려움
제7장_ 2000년대: 생존을 위해서는 저항도
나아지는 생활, 높아지는 의식
먹는 문제는 한고비 넘겨 I 휴대폰이 일상 속으로 I 생존을 위한 저항
개선 그러나 아직은 미진
월급 많아진 근로자들 I 밖에서도 안에서도 일하는 여성들 I 지역별로 차이 나는 농촌
전통은 여전
관혼상제 여전히 중시 I 담백하고 깔끔한 음식 즐겨 I 컴퓨터 구비하려는 학교들
평양에 선술집도
퇴근 후 선술집에서 한잔 I 부족함 속에서도 의연한 모습 I 시장에서 생필품 조달 I 나름대로 일하고 즐기고
제8장_ 2010년대: 생활의 향상을 향해
고비를 넘어
식량과 연료 사정 개선 I 주민 40% 시장에서 활동
근로자와 농민 생활 차츰 안정화
슈퍼마켓으로 근로자들 숨통 트여 I 인센티브 많아진 농민 I 대북제재로 어려운 어민
전통과 지혜가 어우러져
교사, 의사, 법관은 ‘선생’ I 모자라는 것은 생활의 지혜로 I 외로운 노인들
디지털화되어 가는 평양 시민들
흡연, 음치와 함께 컴맹은 3대 바보 I ‘사회주의 문명국’을 향해 I 화려한 거리와 서민적인 풍경 공존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토지개혁을 통해 빈농들은 실제로 토지를 가지게 되었고, 그 바람에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와 김일성에 대한 북한 지역 민중의 지지는 높아졌다. 실제로 토지개혁을 실시한 뒤 정권에 대한 농민과 대중의 지지는 매우 높아졌다. 김일성 자신도 토지개혁에 대한 평가에서 “당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당이 농촌에서 공고한 진지를 차지한 중요한 관건이 되었다”라고 역설했다.
전쟁은 후방의 일반인들에게도 견디기 힘든 시간의 연속이었다. 시도 때도 없이 계속되는 미군의 공습을 피해야 하는 것은 군인들과 다를 바 없었다. 공습을 피하면서 목숨을 부지하려면 먹을 것을 확보해야 했다. 이 또한 쉬운 문제가 아니었다. 장독대의 장독들도 성한 것이 없어 찬을 마련하기도 어려운 형편이었다.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다시 군중노선이 제시되었다. 1960년대 노력 동원의 핵심을 이룬 천리마운동이 시작된 것이다. 하루 천 리를 달리는 말처럼 열심히 일하자는 것이었다. 시작은 1959년 3월이었다. 당시 강선제강소 근로자들이 천리마작업반운동을 전개할 것을 제안하면서부터 캠페인이 시작되어 1960년대 전체를 장식했다. 공장뿐만 아니라 농업, 건설, 운수, 상업, 교육 등 사회 전반으로 확대되었다. 잘하는 조직에는 ‘천리마작업반’이라는 칭호를 부여해 대대적으로 선전하는 식으로 운동을 전개해 사람들의 근로의욕을 북돋우려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