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3577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4-02-26
책 소개
목차
추천사 5
감사의 말 8
역자 서문 9
서론 15
제1장 시작들 29
제2장 예배 신학 45
1. 성경의 유일한 권위 46
2. 믿음에 의한 칭의와 예정 49
3. 특별 섭리와 언약 51
4. 교회론 55
5. 구원의 믿음에 대한 진술 59
6. 청교도 신학의 역설들 69
7. 성례 참여 허용의 타당성 72
8. 예배에 있어서의 신학의 영향 74
9. 청교도의 달력 77
10. 음악 80
제3장 달력 83
1. 안식일 85
2. 금식일 또는 굴종의 날 95
3. 감사의 날들(Thanksgiving Days) 103
4. 시민 신앙의 날(Days of Civil Religion) 109
제4장 설교 115
1. 평이한 표현법 118
2. 구조 123
3. 예화와 비유적 표현 131
4. 성경에 충실한 설교 141
5. 해석의 원리들 144
6. 설교의 길이, 어투, 동작 155
제5장 찬송 165
1. 운문적 시편으로 한정된 예배 168
2. 『베이 시편서』의 발달 과정과 특성 173
3. “한 소절씩 따라 부르기” 183
4. 가정에서의 음악 187
제6장 기도 191
1. 고정된 형태의 기도에 대한 비판 198
2. 기도의 여러 부분들 203
3. 기도의 형태 212
4. 기도의 자세 220
5. 평가 221
제7장 성례 225
1. 세례 226
2. 성찬에 대한 기록들 235
3. 성찬 신학 243
4. 성찬을 위한 준비 248
5. 성례의 문예부흥? 252
제8장 결혼식과 장례식 267
1. 결혼식 268
2. 장례식 281
제9장 임직식 299
1. 교회의 설립 300
2. 교회 임직자들의 임직식 306
3. 목회자가 중심이 된 임직식(안수식) 314
제10장 건축 양식 325
1. 예배당의 기원 327
2. 예배당의 발전 328
3. 위치와 내부 설비 338
4. 건축 양식의 신학적 함축성들 347
제11장 결론-세 가지 분석적 시각 353
1. 정규적인 주일 예배의 변화들 354
2. 성례 집행의 변화들 357
3. 특별 의식들에 있어서의 변화들 364
4. 변화의 몇 가지 원인들 368
5. 옛 잉글랜드와 뉴잉글랜드에서의 청교도 예배의 비교 374
6. 분석적 결론과 요약적 평가 381
사진 387
책속에서
그리스도의 유일한 구원의 중보자 자격, 그리고 세상과 인류에 대한 하나님의 신적 전능과 지시(direction)를 유지(preserve)하는 두 가지 중심적인 교리들이 있다. 이 두 가지 중심적인 교리는 청교도 신학의 전신갑주 중 흉배였다. 예정(predestination)은 은혜로 말미암은 믿음에 의한 칭의의 확대였다. 예정은 구원이 전적으로 하나님의 역사라는 사실, 영혼이 그리스도를 잡는 힘은 약하나 그리스도가 우리의 영혼을 강하게 잡으심으로 구원이 보장된다는 사실을 단언한다. 예정된 선민(選民)들의 소속에 대한 이 보증은 이를 수용하는 사람들에게 큰 위로를 준다. 왜냐하면 이 소속감은 그들에게 아무리 유혹이나 고난이 강력할지라도 하나님이 자신의 선민들을 위해 구원을 결정하셨기에 그들이 구원을 잃을 수 없다는 보장 때문이다. 프랑스의 위그노파들(the Huguenots, 그들의 표어는 선택을 받은 자들은 많은 망치질로 닳아진 모루
우상 타파의 행위로서 잉글랜드국교회 달력에 대한 거부는 공동기도서의 예전(liturgy) 철폐에 버금가는 것이었다. 청교도 달력의 두드러진 특징은 과거시제를 거의 완전히 거부하고 현재와 미래시제로 바꾼것이었다. 잉글랜드국교회가 지켰던 기독교 연력은 주로 대림절(Advent)에서 시작하여 사순절을 지나 삼위일체 주일(Trinity Sunday)로 이어지는 성육신(Incarmation)에 중심을 두는 회고적이었던 반면에, 청교도 달력은 매주 안식일을 붉은 글씨로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이 근거는 창조 후에 주신 하나님의 안식이었으나 강점은 영원한 하나님의 성도들의 영원한 안식에 대한 기대와 하루 동안 예배당과 가정에서 이 영원한 안식을 위해 엄격한 헌신을 훈련함으로 준비하는 데 두었다
청교도들은 그들의 종교개혁자 선배들과 마찬가지로 토마스 아퀴나스가 성경의 문자적(literal) 또는 역사적(historical), 비유적(tropological), 풍유적(allegorical) 그리고 신비적(anagogical) 의미들로 분류한 중세기의 네 가지 표준적 해석을 거부했다. 그들은 문자적, 역사적 의미는 존속시키고, 예표론적 또는 도덕적 의미, 교회의 발전과 관련된 것으로 넓게 해석된 우의적 의미 그리고 종말론과 관련된 신비적 의미를 거부했다. 그래서 평범하지만 편리한 예증을 들어본다면 중세기 해석자들에게는 성경의 예루살렘이 문자적으로 팔레스타인에 위치한 도시를 나타냈으며 우의적으로는 교회를, 예표론적으로는 신령한 평화를 구하는 사람을, 신비적으로는 영광의 성도들이 안식하는 하늘의 처소를 나타냈다. 이 세 가지 의미에 대한 거부는 그 의미들이 첫째되는 의미를 약화시키고 해석에서 분명한 주관주의의 원인이 된다는 청교도의 확신에 기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