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5717
· 쪽수 : 457쪽
· 출판일 : 2016-08-10
책 소개
목차
목차
추천사 1
◆ 민경배 교수(백석대학교 석좌교수,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추천사 2
◆ 이양호 교수(연세대학교 명예교수)
추천사 3
◆ 박명수 교수(서울신학대학교 교회사 교수)
추천사 4
◆ 김회권 교수(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
추천사 5
◆ 장경철 교수(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
추천사 6
◆ 김근주 교수(기독연구원 느헤미야 전임연구위원)
추천사 7
◆ 박노훈 목사(신촌성결교회 담임목사)
감사의 글
약어표
제1부 서론
제1장 삼위일체론은 사변이 아닌 최상의 실천적 교리
제2장 에드워즈의 삼위일체론에 관한 최근 연구
제3장 삼위일체적 전망을 통한 연구
제2부 조나단 에드워즈의 생애와 신학사상
제1장 18세기 뉴잉글랜드의 상황과 에드워즈의 생애
제2장 신학사상
제3장 신학사상의 특징
제3부 삼위일체론의 형성과 조나단 에드워즈의 계승
제1장 삼위일체론의 성경적 토대와 형성
제2장 조나단 에드워즈의 전통적 삼위일체론 계승
제3장 조나단 에드워즈의 삼위일체론 계승에 관한 논쟁
제4부 조나단 에드워즈의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정의와 속성
제1장 최초의 신성, 하나님의 관념, 사랑의 행위자
제2장 삼위일체 하나님의 속성과 동등성
제3장 경향성과 조화를 통한 삼위일체 하나님 이해
제5부 조나단 에드워즈의 삼위일체론 특징
제1장 심리학적 삼위일체론과 사회적 삼위일체론의 연속성
제2장 내재적 삼위일체론과 경륜적 삼위일체론의 조화
제3장 관계적 삼위일체론과 실천적 삼위일체론의 균형
제6부 결론
제1장 요약
제2장 평가
제3장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 그림 차례 ◈
그림 1: 삼위일체 하나님의 세 위격의 상호포괄 관계
그림 2: 이해와 사랑을 통한 삼위일체 세 위격의 관계
그림 3: 삼위일체 세 위격 안에 공유된 명철과 의지
그림 4: 인간 중심적 수직구조
그림 5: 하나님 중심적 수평구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러한 해석상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신앙은 그리스도인의 궁극적 관심사이며, 삼위일체 하나님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삶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삼위일체론에 대한 바른 이해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神性)을 고백함으로써 그 사건을 하나님 자신의 구원(救援) 사건으로 고백하게 한다.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와 관계없는 하나님의 무시간적인 영원한 존재(存在)에 대한 사색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역사적 사건에 대한, 그의 계시(啓示)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형성된 것이다.
삼위일체론에 관한 저술에 있어서 조나단 에드워즈는 단순히 정통만을 고수하기 위해서 삼위일체론에 관심을 기울인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삶에 있어서 삼위일체론의 확신이 미치는 심오한 실천적 가치를 중요시했기 때문이다. 결국 조나단 에드워즈는 초대교회와 아우구스티누스를 정점으로 한 초대 교부들의 삼위일체론, 종교개혁자들의 전통, 그리고 계몽주의자들의 사상을 창조적으로 수렴하여 자신만의 독창적인 삼위일체론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것은 결코 삼위일체론의 전통을 고수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삶의 실천적 지침으로서 제시하고자 했다.
조나단 에드워즈는 이처럼 삼위일체의 신비에 대한 설명을 통해 신앙과 삶의 전반에 걸친 신비로 이끌며 설명한다. 즉 신앙적 신비로움이 삼위일체 하나님뿐만 아니라, 기독교 신앙의 많은 교리들 속에서도 발견되며, 인간을 비롯한 모든 피조물들 속에서도 발견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조나단 에드워즈는 그러한 신비들에 대한 발견과 깨달음이 여전히 많은 한계와 불가해함을 염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