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6509064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2-01-06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왜 지금 이 땅에 희년이 필요한가? (남기업: 토지+자유 연구소 소장)
01 희년과 하나님 나라 (김회권: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
02 구약성경에 나타난 희년법 (장성길: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구약학 교수)
03 하나님의 나라와 공평과 정의 (김근주: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구약학 교수)
04 신약성경에는 희년법이 없는가? (신현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
05 초대 교부들의 희년 사상 (김유준: 연세대 강사, 한신대 신학대학원 외래 교수)
06 종교개혁자들의 희년 사상 (김유준: 연세대 강사, 한신대 신학대학원 외래 교수)
07 희년과 한국 사회 (남기업: 토지+자유 연구소 소장)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희년은 기쁨의 해로서 나팔(요벨)을 불어서 그것의 도래를 알릴 만한 50년 주기의 자발적·사회 변혁적 축제절기였다. ……하지만 사회학적인 견지에서 보면 그것은 모든 사람에게 나팔을 불어 그것의 도래를 알릴 만한 보편적인 기쁨의 해가 아니었다. 희년 절기는 가난한 자 중심의 축제였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은혜로 마음이 감동되어 있지 못한 부자들과 지주들은 나사렛 회당의 지주들처럼 예수님의 희년 도래 선포에 거세게 저항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처럼 희년의 목표는 어떤 이유로든지 파산되어 생존 경계선 밖으로 추방당한 자들을, 계약 공동체를 지탱시키는 하나님의 구원 은혜에 수혜자로 재활복구시키는 것이었다. 이스라엘의 잃어버린 양이었던 삭개오를 아브라함의 자손으로 재활복구시키는 과정은 이런 희년의 영적인 적용인 셈이었다. 희년은 법제화된 신적 친절과 자비였던 것이다.
신약성경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는 희년법을 모형으로 하여 설명하면 잘 이해된다. 하나님 나라는 예수를 통해 도래한 영적 희년에 해당한다. 사탄이 왕노릇하던 시대가 가고 하나님께서 통치하시는 시대가 왔다. 예수께서는 이 하나님 나라가 가까이 왔다고 선포했고, 그 시대는 약속대로 임했다. …… 신약성경에서 ‘디아코니아’는 희년법의 노예 해방 정신을 구현한다. 희년법은 나에게 종살이하는 노예를 해방하라고 명하는데, 디아코니아는 내가 남의 노예인 양 섬김으로써 남을 주인처럼 만드는 것이다. 예수께서 우리를 죄로부터 해방시키셨기에, 우리는 다시는 죄에 종노릇하지 말아야 한다. 대신 우리는 남을 억압하지 말고, 서로 섬기며 서로에게 종이 되어 주어야 한다.
교부들은 인간의 기본적 평등권과 태어나면서부터 얻는 생득권(生得權)을 환기시키면서, 토지소유권의 독점에 대한 단호한 거부와 코이노니아를 강조했다. 인류가 재산에 대한 우상숭배를 효과적으로 거부할 때 공평과 정의는 시작되며, 자유와 평화의 가치가 존중받기 때문이다. 기독교 시대의 초기 수세기 동안 이러한 코이노니아에 관한 비전은 계속되었다. 코이노니아의 이상은 4세기 기독교의 공인과 함께 점차 희미해졌지만, 수도원 생활을 통해 새로운 장이 열렸다. 금욕과 청빈의 삶을 강조한 수도원 운동은 물신숭배를 거부하는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의 토대가 되었다. 암브로시우스, 크리소스토무스,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4세기의 교부들은 스스로 사유재산을 포기하고 공동생활의 본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