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17087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7-10-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 김남준 목사(열린교회 담임) 5
추천사 2 | 이승구 박사(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9
추천사 3 | 서창원 박사(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 13
추천사 4 | 우병훈 박사(고신대학교 신학과 교의학 교수) 16
추천사 5 | 박태현 박사(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설교학 교수) 17
추천사 6 | 김홍만 박사(Southwestern Reformed Seminary 총장) 21
편역자 서문 24
해제: 마스트리히트의 『개혁주의 표준 설교법』에 대한 고찰: 조나단 에드워즈의 설교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1. 개요 32
2. 『표준 설교법』 개관 35
3. 『표준 설교법』과 키케로의 『수사학』과의 유사점 54
4. 『표준 설교법』과 『신학의 정수』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예배모범』 60
5. 에드워즈의 설교 양식과 『표준 설교법』의 영향 70
6. 결론 83
7. 참고문헌 89
제1부 서론 및 착상과 배치
제1장 서론 93
제2장 이중적 착상 99
제3장 설교의 배치와 배치의 원리 102
제2부 정교화
제4장 도입에 대한 연구 105
제5장 본문의 집약 110
제6장 본문의 분석과 주해 그리고 그 원리 112
제7장 교리 논증의 5가지 측면 118
제8장 진리 수립을 위한 기술의 원리 129
제9장 반증 기술의 구성 요소와 원리 132
제10장 위안적 적용 136
제11장 훈계적 적용 143
제12장 성찰적 적용 149
제13장 권면적 적용 157
제3부 기타사항 및 설교의 전달
제14장 몇 가지 주의 사항 166
제15장 긴 본문을 다루는 방법 168
제16장 설교의 전달 170
제17장 왜 이것이 최상의 설교법인가? 173
부록
1. 『개혁주의 표준 설교법』 일람표 176
2. 『개혁주의 표준 설교법』에 따른 설교 작성 예시 177
3. 『개혁주의 표준 설교법』 응용 설교문 2편 189
책속에서
종합해 볼 때, 마스트리히트와 당대의 개혁파 정통주의 설교자들은 본문에 대한 명확한 해설과 본문이 말하고자 하는 목적에 일차적인 관심을 가졌고, 교리나 명제들은 본문의 목적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연역하였으며, 이러한 교리는 다른 성경 구절과 성경의 추론으로부터 논증하고 설명하고 설득했으며, 확증된 교리는 회중의 각 상황에 맞게 그리고 유효하고 심령에 와 부딪히는 방식으로 철저하게 적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준 설교법』을 『예배모범』과 에임스의 『신학의 정수』에 언급된 내용과 대조해 본 결과, 여기저기서 유사한 언급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마스트리히트의 『표준 설교법』이 당대 개혁주의 설교법으로서 독특한 것이 아니라 표준적 지침이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마스트리히트는 설교의 각 부분마다 설교자나 회중에게 일어나야 할 감정을 제시함으로써, 당대 개혁파 정통주의 설교자들이 무미건조한 지식 전달자가 아니라, 감화력 있는 말씀의 전달자임을 엿보게 한다.
한편 『표준 설교법』의 기본 골격은 키케로의 『수사학』이 제시하는 연설의 구조와 지침 중의 일부와 일맥상통한다는 점은 개혁파 스콜라주의 설교자들이 고전 수사학에 식견을 가지고 있었음을 증명한다. 에드워즈는 『표준 설교법』을 통해서 이런 유산을 전수받은 설교자였으며, 『표준 설교법』에서 소개한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충실하게 응용했다고 볼 수 있다.
17세기의 마스트리히트가 ‘최상의 설교법’이라고 추켜세웠던 이 설교법은 18세기의 조나단 에드워즈가 충실하게 이어받아 실천하면서 1차 대각성 운동의 도구가 되었고, 동시대의 휫필드와 19세기의 스펄전이 비슷한 방식을 추구하면서 부흥에 쓰임 받았으며, 그리고 20세기의 마틴 로이드 존스(Martyn Lloyd-Jones, 1899-1981)를 통해서 어느 정도 명맥이 이어져 왔다. 그러므로 이러한 선배들을 통해 우리 눈에 확고하게 드러난 진실이 있다. 교회의 쇠락은 설교의 쇠락이 원인이며, 교회의 참된 부흥은 언제나 설교의 부흥과 맞닿아 있다는 점이다.
이제 치러야 할 값은 무엇인가?
『표준 설교법』의 사용은 부단한 연구(본문 주해와 교리의 논증을 위해서)와 기도(회중의 상황에 들어맞는 구체적 적용을 위해서)를 통해서 가능하다. 우리는 이 2가지(연구와 기도)를 충실하게 실천함으로써 언제든지 『표준 설교법』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 시대에 환영받지 못할 이런 유형의 설교법이 실제적으로는 탁월한 옛 설교자들에 의해 최상의 것으로 추켜세워졌던 것임을 알게 되었다면 말이다.
적용적 설교는 종종 큰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 설교라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잘 알고 있듯이, 세례 요한이 일반적으로 설교할 때 헤롯 왕은 그 설교 듣기를 즐거워했다. 그러나 세례 요한이 그의 설교를 특별하게 적용했을 때, 세례 요한은 생명을 잃어야만 했다.
그래서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최상의 설교법’을 사용함으로써, 설교 후에 “이 얼마나 경이로운 설교인가!”라는 회중의 반응에 결코 기뻐하지 않고, “예수 그리스도는 얼마나 위대한 구세주인가!”라는 반응을 얻을 때까지 쉬지 않는 설교자들이 이 시대에 무수히 일어난다면, 조국 교회의 진정한 부흥을 또 다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