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신앙생활일반
· ISBN : 9788934119159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8-12-31
책 소개
목차
◆ 추천서 1 고 용 수 박사(전 장로회 신학대학교 총장, 전 대구제일교회 담임목사)
◆ 추천서 2 고 무 송 박사(한국교회인물연구소 소장, 전 기독공보 사장)
◆ 추천서 3 임 상 진 목사(포항 오천중앙교회 담임)
◆ 추천서 4 김 성 규 박사(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 저자 서문
제1장 서언 32
1. 정류 이상근 목사 생애 약사(略史) 및 주요 저서 32
1) 생애 약사 32
2) 주요 저서 35
2. 왜 정류인가? 36
3. 정류 연구에 대한 당위성과 문제점 39
1) 연구의 당위성 39
2) 연구의 문제점 47
제2장 교회사적인 배경 54
1. 천주교회의 한국 전파 54
2. 그리스도교회의 한국 전파 56
1) 성서의 전래 56
2) 최초의 선교사 58
3) 한국교회의 조직과 성장 59
4) 한국교회 순교의 역사 59
3. 정류가 접한 초기 대구 경북 지역의 그리스도교회 62
1) 정류 당시 대구 경북 지역의 종교적 상황 62
2) 대구 경북 지역의 그리스도교 전래와 복음 전파 64
3) 초기 선교사들이 대구 경북 지방에 미친 영향 87
제3장 정류의 생애 101
1. 그리스도인 이전 101
2. 그리스도인 104
3. 평양신학교 입학과 목사 안수 111
4. 목회 시절 118
1) 초년 목회 시절 118
2) 성년 목회 시절 122
5. 미국 유학 시절 126
1) 첫 번째 미국 유학 126
2) 두 번째 미국 유학 129
6. 정류의 생애 요약 133
제4장 길에서 만나는 정류 144
1. 유럽 150
1) 독일 150
2) 네덜란드 154
3) 덴마크 158
4) 영국 162
5) 스코틀랜드 170
6) 프랑스 174
7) 스위스 177
2. 성지순례(聖地巡禮) 181
1) 이탈리아 181
2) 그리스 191
3) 이집트 201
4) 이스라엘 210
3. 동구(東歐) 239
1) 러시아 239
2) 동구권(東歐圈)의 나라 245
4. 여행과 정류 253
1) 여행기에 드러난 정류의 학문 세계 253
2) 여행기를 통해 본 정류의 진면목(眞面目) 256
제5장 결어를 대신하여: 영성과 지성의 조화 262
◆ 참고문헌 272
사진 목록
저자소개
책속에서
정류는 고요할 ‘정’(靜)과 흐를 ‘류’(流)로 뜻이 모이는 ‘고요한 흐름’이라는 아호를 스스로 취했다. ‘고요한 흐름’은 요란하지도 웅장하지도 않다. 그렇다고 고여 있는 물도 아니다. 흘러가지만 그 흐름이 요란하지 않고 시끄럽지 않고 분요(紛繞)하지 않고 정(靜)하고 고요하다. 정류는 고여 있는 물이 아니라 흘러가는 물이지만, 그 흐름이 조용하여 ‘고요한 흐름’을 이루어 흘러가는 물줄기이다.
선교사의 선교적인 열정으로 대구제일교회는 나날이 부흥했고, 교회의 부흥에 따라 분가형식으로 교회를 분립 개척했다. 1900년 경산 사월교회를 분립하여 개척하는 것을 시작으로 대구 인근 사방으로 교회가 분립 개척되는 일이 일어나 “1910년 사이에 6개 교회, 1916년 사이에 4개 교회”가 분립 및 개척되었다. 이 중에서 정류와 관계된 몇 교회를 보면 1912년에 서문교회가 분립 개척되었고, 1915년에는 남산교회가 분립 개척되었다. 1924년에는 대구중앙교회가 대구제일교회에서 분립 개척되었다. 특히 남산교회는 설립된 후 크게 부흥하여 “1930년대에 교인 수가 1,000명을 넘었다.”
그때 정류는 처음 40일을 작정하고 야외에서 기도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40일 기도가 끝났는데도 아무런 심적인 변화도, 얻는 바도 없었다”고 말하였다. 그래서 정류는 100일을 채우기로 하고 60일을 연장하여 기도를 계속했다. 이렇게 정류가 100일을 기도했지만, 정류의 마음에는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고 오히려 기도가 거의 끝나갈 무렵에 정류의 발이 아프기 시작하여 나중에는 걷기도 어려운 지경에 처하게 되었다. 그러나 정류는 100일 기도를 다 채우고 병상에 눕게 되었는데, 정류는 이 사건이 자신의 “일생의 방향을 확정시켜 준”계기가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