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34119821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9-05-2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장 동 민 박사, 백석대학교 역사신학 교수 1
민 경 배 박사, 백석대학교 역사신학 석좌교수 2
배 덕 만 박사,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교회사 교수 3
저자 서문 10
제1장 서론 12
제2장 구한말의 여권의식 변화 19
1. 구한말 여성의 현실 20
2. 여권의식의 변화 요인 28
3. 여권과 성경 해석 56
4. 소결 71
제3장 1920-1930년대의 여권의식 변화 74
1. 여권의식의 발전 75
2. 여권의식의 보수화 93
3. 여권과 성경 해석 96
4. 김춘배의 여권 문제 제기와 보수적 여권의식의 명문화 149
5. 소결 171
제4장 결론 174
미주 180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구한말에 나타나는 여권에 대한 논의의 특징은 당시 여권 문제가 교회뿐만 아니라 사회에도 연결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당시 한반도의 대표적인 계몽지인 「독립신문」에서 여권 문제를 흔히 다루었다는 점이 그와 같은 사실을 말한다. 이는 당시 여권에 대한 교회의 진보적 인식이 사회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권에 대한 논의를 다룬 문헌들의 분량에서 볼 때 구한말은 1920년-1930년대에 비해 빈약하다. 그 이유는 당시 여권에 대한 진보적인 견해가 선교사들은 물론이요, 계몽적 지식인들 그리고 초기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주류 담론이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당시 여권에 대한 논쟁이 1920년-1930년대와 비교해 볼 때 상대적으로 치열하지 않았음을 추론할 수 있다.
더욱이 당시 성경을 근거로 전통적인 여권의식을 주장하는 이들의 세계관은 사실 유교적 세계관이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1897년 12월 31일 정동교회에서 윤치호가 여성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를 언급했을 때, 성경보다는 오히려 유교 경전을 근거로 삼았다는 것은 그와 같은 사실을 반증한다. 구한말의 여권의식 변화는 한반도에서 일어난 가장 급진적인 변화 가운데 하나였다.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이요 믿고 행할 확실한 법례”라고 고백한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그와 같은 급진적인 사회 변혁의 주역이었다. 그것은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확신하고 순종하려고 하였던 결과였다.
1920년-1930년대는 구한말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여권의식이 발전된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여권에 대한 성경 해석을 구한말보다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필자가 1920년-1930년대 여권의식에 대한 한국교회의 성경 해석을 유교적 보수화로서의 성경 해석이라고 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