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칸트
· ISBN : 9788935652877
· 쪽수 : 438쪽
· 출판일 : 2001-05-15
책 소개
목차
1장. 형이상학의 정초작업의 단초
1절. 형이상학의 전승된 개념
2절. 전승된 형이상학을 정초하는 작업의 단초
3절. 순수이성비판은 형이상학을 정초하는 작품
2장. 형이상학의 정초작업의 수행
A. 형이상학의 정초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귀환의 차원을 특정지음
Ⅰ. 근원적인 장의 본질적 성격들
4절. 인식 일반의 본질
5절. 인식의 유한성 본질
6절. 형이상학을 정초하는 작업의 원천적 근거
Ⅱ. 근원을 개현하는 방식
7절. 존재론을 정초하는 단계들의 예시
8절. 근원을 개현하는 방법
B. 존재론의 내적 가능성을 기투하는 수행의 단계들
- 정초작업의 첫번째 단계 : 순수인식의 본질적 요소들
a) 유한한 인식활동에서의 순수직관
9절. 공가과 시간을 순수직관들로서 해명함
10절. 보편적인 순수직관으로서의 시간
b) 유한한 인식활동에서의 순수사유
11절. 순수지성 개념
12절. 존재론적 술어들인 순수지성 개념들
- 정초작업 두번째 단계 : 순수인식의 본질적 통일성
13절. 순수인식의 본질적 통일성에 관한 불음
14절. 존재론적 종합 ...131
15절. 범주들의 문제와 초월론적 논리학의 역할
- 정초작업 세번째 단계 : 순수인식의 본질적 통일성의 내적 가능성
16절. 초월론적 연역의 근본의도인 유한한 이성의 초월에 대한 해명
17절. 초월론적 연역의 두가지 길
18절. 초월론적 연역의 외형
- 정초작업 네번째 단계 : 존재론적 인식의 내적 가능성의 근거
19절. 초월과 감성화
20절. 형상과 도식
21절. 도식과 도식 - 형상
22절. 초월적 도식화작용
23절. 도식화작용과 포섭
- 정초작업 다섯번째 단계 : 존재론적 인식의 완전한 본질규정
24절. 초월의 완전한 본질규정인 최상의 종합적 원칙
25절. 초월과 일반형이상학의 정초작업
3장. 형이상학의 정초작업의 근원성
A. 정초작업에서 "놓여진 근거"에 대한 명확한 성격묘사
26절. 존재론적 인식을 형성하는 중간자인 초월적 상상력
27절. 제3의 근본능력인 초월적 상상력
B. 두 줄기들의 뿌리인 초월적 상상력
28절. 초월적 상상력과 순수직관
29절. 초월적 상상력과 이론이성
30절. 초월적 상상력과 실천이성
31절. 놓여진 근거의 근원성 그리고 초월적 상상력 앞에서의 칸트의 후퇴
C. 초월적 상상력과 인간의 순수이성의 문제
32절. 초월적 상상력 그리고 그것과 시간의 관련
33절. 초월적 상상력의 내적인 시간성격
34절. 순수한 자기촉발로서의 시간 그리고 자기의 시간성격
35절. 놓여진 근거의 근원성과 형이상학의 문제
4장. 형이상학의 정초작업의 회복
A. 인간학에서의 형이상학의 정초작업
36절. 칸트의 형이상학의 정초작업에 놓여진 근거와 그 작업의 성과
37절. 철학적 인간학의 이념
38절. 인간의 본질에 관한 물음 그리고 칸트의 정초작업의 본래적 성과
B. 인간에서의 유한성의 문제 그리고 현존재의 형이상학
39절. 인간에서의 유한성의 가능적 규정의 문제
40절. 존재물음을 인간에서의 유한성의 문제에 이르는 길로서 근원적으로 완성함
41절. 존재이해와 인간 속의 현존재
C. 기초존재론인 현존재의 형이상학
42절. 기초존재론의 이념
43절. 기초존재론의 시발점과 행로
44절. 기초존재론의 목표
45절. 기초존재론의 이념과 순수이성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