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고대철학 > 아리스토텔레스
· ISBN : 9788964452851
· 쪽수 : 1932쪽
· 출판일 : 2025-01-20
책 소개
목차
[제1권]
머리말 7
일반적 서론
1. 존재-신-론으로서의 형이상학 27
2. 나토르프와 예거 33
3. 대화편 『철학에 대하여』 43
4.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53
5. 하나와 정신: 그리스 철학과 아르케의 문제 62
6. 원문의 진위 문제에 대하여 71
7. 테오프라토스의 『형이상학』에 비친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78
8. 본문 해석의 첫 번째 준칙에 대하여 92
9. 제12권의 저술 시기와 위상에 대하여 95
10. 이 책의 구성과 서술 방식에 대하여 106
제1부 『형이상학』 제12권의 주석을 위한 예비적 고찰
제1장 아리스토텔레스와 형이상학적 사유의 지평 115
1. 전체를 탐구하는 학문 115
2. 초기 그리스 철학에서 존재 개념의 출현 120
3. 아리스토텔레스와 존재의 다양성 130
4. 실체와 근거 136
5. 아리스토텔레스와 형이상학의 주제들 143
제2장 아리스토텔레스와 근거의 문제 149
1. 아리스토텔레스와 철학의 시작: 『형이상학』 제1권 제1장 149
2. 아리스토텔레스의 아르케: 『형이상학』 제5권 제1장 158
3. 네 개의 원인: 『형이상학』 제5권 제2장 167
4. 요소의 분석과 합성: 『형이상학』 제5권 제3장 174
5. 본성과 근거: 『형이상학』 제5권 제4장 178
6. 필연성: 『형이상학』 제5권 제5장 186
제3장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에서 존재론과 신학의 관계 197
1. 근거에서 신으로 197
2. 예거의 ‘『형이상학』 발전사’와 신학의 문제 201
제2부 『형이상학』 제12권의 번역 223
제3부 『형이상학』 제12권의 주석
제1장 신을 향한 첫걸음 283
1. 개요 284
2. 실체의 개념 285
3. 실체에 대한 이론 297
4. 전체에 대한 탐구 310
5. 세 가지 실체 319
6. 제7권 제2장과의 비교 331
제2장 질료, 변화의 첫째 근거 335
1. 개요 336
2. 변화의 첫 번째 근거인 질료 341
3. 『자연학』 제1권과 질료의 개념 358
4. 가능존재와 현실존재 373
5. 다른 철학자들의 견해 396
6. 장소적 질료 410
7. 가능존재와 생성의 근거 문제 416
8. 다른 질료, 다른 존재 423
9. 정신 429
10. 형상과 결여 그리고 질료 432
제3장 이데아에서 정신으로 441
1. 개요 442
2. 질료도 형상도 생겨나지 않는다 446
3. 근거의 타자성: 제2권 제2장의 분석 455
4. 근거의 내재성과 타자성 사이에서: 제7권을 중심으로 461
5. 사람이 사람을 낳는다 482
6. 생성의 네 가지 종류에 대하여 486
7. 기술과 자연 그리고 정신 500
8. 실체는 여러 가지로 이해된다 506
9. 형상적 근거의 외적 자립성의 문제 523
10. 이데아에서 누스(Nous)로 536
제4장 ‘하나’의 보편적 근거의 문제 545
1. 개요 547
2. 모든 존재자에 공통된 동일한 근거에 대한 물음 549
3. 모든 것에 동일한 요소에 대한 물음 555
4. 하나와 존재 576
5. 생각되는 것과 생각하는 자 596
6. 형성과 결여와 질료 612
7. 외부적 운동원인의 필연성 623
제5장 신을 향한 마지막 발걸음 637
1. 개요 639
2. 실체와 분리 가능한 존재 641
3. 분리 가능한 정신 651
4. 플라톤에게서 영혼과 정신의 개념 661
5. 원인으로서의 가능태와 현실태 674
6. 다른 질료, 다른 현실태 686
7. 원인으로서의 보편자에 대하여 699
8. 으뜸가는 완전성 706
제6장 영원하고 움직이지 않는 현실태 717
1. 개요 720
2. 우주론적 신 존재 증명 725
3. 운동의 영원성과 연속성 739
4. 신학인가 운동론인가 756
5. 부동의 원동자 개념의 기원 764
6. 움직이는 것은 모두 어떤 것에 의해 움직여진다 786
7. 동물의 자기운동의 문제 793
8. 움직이는 것과 움직여지는 것의 구별 802
9. 자연적 원인과 형이상학적 근거 814
10. 질료 없는 순수한 현실태: 존재론적 증명 825
11. 가능태에 대한 현실태의 우위 851
12. 운동의 시원에 대해 857
13. 세 가지 종류의 운동과 그 원인에 대해 863
[제2권]
제7장 정신으로서의 신 13
1. 개요 16
2. 천체의 영원한 운동과 부동의 원동자 21
3. 신학적 탐구의 출발점으로서의 외적 사실과 내적 사실 33
4. 욕구와 운동 39
5. 아름다움 54
6. 단순성 61
7. 두 가지 목적 73
8. “마치 사랑받는 자처럼” 82
9. 필연성과 불변성 98
10. 현실성의 쾌락 107
11. 대상의식에서 자기의식으로: 『영혼론』 제3권 제4장 126
12. 대상의식과 자기의식: 본문 분석 141
13. 신적 존재에서 신으로 172
14. 피타고라스와 스페우시포스 또는 하나와 좋음에 대하여 190
15. 크기, 변화, 수동성 없는 실체 204
제8장 행성운동과 그 원동자들 217
1. 개요 221
2. 행성운동의 원인에 대한 물음 224
3. 수-이데아론 비판 237
4. 플라톤의 우주론 247
5. 탐구 주제의 제시: 행성천구의 원동자들 265
6. 『천체론』과 행성운동의 문제 282
7. 수학과 천문학 288
8. 에우독소스와 칼리포스의 동심천구론 298
9. 아리스토텔레스와 역행천구 324
10. 부동의 실체들 341
11. 하나의 하늘 368
12. 『천체론』과 하나의 하늘 388
13. 신화로의 회귀 400
14. 그리스 신화와 다신론의 문제 407
제9장 자기를 생각하는 신 415
1. 개요 417
2. 정신의 개념과 번역어의 문제 420
3. 현상들 가운데 가장 신적인 것으로부터 434
4. 정신의 현실성에 대하여 444
5. 알렉산드로스와 슈베글러 455
6. 신적 정신의 사유 대상에 대한 물음 474
7. 활동과 노동 497
8. 생각과 대상 508
9. 신의 자기의식과 생각의 생각에 대한 해석들 542
10. 플라톤과 자기인식의 문제 598
11. 『에우데모스 윤리학』과 『대윤리학』 626
12. 존재의 자기거리와 존재의 정신성 645
13. 생각의 생각에 대한 자기비판적 물음 671
14. 본질의 개념 693
15. 아포리아 703
제10장 신과 세계의 관계에 대하여 713
1. 개요 717
2. 신과 세계의 관계에 대한 물음 721
3. 군대와 장군, 자유인과 노예의 비유 732
4. 부동의 원동자와 자기를 생각하는 정신과 장군으로서의 신 760
5. 제10장 후반부의 개관 793
6. 반대자들로부터의 생성 800
7. 존재와 비존재의 공속 826
8. 좋음의 존재론과 그 한계 839
9. 엠페도클레스와 아낙사고라스 849
10. 생성과 운동에 관련된 아포리아들 865
11. 반대자 없는 제1근거 884
12. 수 존재론 비판 892
13. ‘하나’의 원인에 대하여 899
14. “하나의 지배자만 있게 하라” 919
에필로그 929
1.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의 통일성에 대하여: 『범주론』과 『형이상학』 사이에서 929
2. 실체 개념의 내적 모순과 신의 개념: 『형이상학』 제7권의 개관 953
3. 신적 정신과 존재의 진리: 아리스토텔레스 신학의 의미 1007
원전 구절 찾아보기 1027
참고문헌 1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