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35658541
· 쪽수 : 402쪽
· 출판일 : 2007-10-25
책 소개
목차
1. 제자들이 공자사상을 사방에 전하다
70여 제자와 '4과10철'
자로, 치평의 으뜸
자공, 언변이 뛰어난 유세가
노나라를 지켜낸 자공의 활약
공자의 애제자 안회
안회와 장자사상의 연관성
2. 유가학단이 사상계를 지배하다
초기 유가학단의 협사정신
사상 최초의 사립 사관학교
공자 이전, 고대의 학교 개념
공자의 사민 개념
공자사상을 둘러싼 인성 논쟁
오규 소라이의 『논어징』과 다산의 『논어고금주』
혁명적 발상 '유교무류'
3. 다양한 학파가 등장해 적통을 다투다
후기제자들의 활약
미화된 증자와 자사
증자, 수제파의 거두
자하, 치평파의 비조
4. 약육강식의 전국시대가 도래하다
동양의 제왕정 체제와 '멸국치현'
'멸국치현'의 파급효과
임협관계의 대표주자 위문후
'대의멸친'과 '효친자자'
5. 묵가가 처음으로 유가에 도전장을 내밀다
묵가사상의 탄생
묵가와 유가의 천인관
유가사상의 반작용으로서의 묵가사상
'의'를 중시한 묵가
6. 도가가 무위자연을 내세워 유가를 공격하다
도척설화와 문례설화
출세간의 문제를 천착한 장자의 구도사상
노자에 대한 오해
『도덕경』을 둘러싼 논란
7. 법가가 부국강병을 기치로 유가에 도전하다
법가사상의 등장
상앙과 진효공의 만남
상앙의 변법개혁
한비자의 법?술?세 이론
법가와 유가의 공통점
8. 맹자가 적통을 자처하며 천하를 주유하다
맹자의 생애
성선설, 맹자사상의 출발점
서양 전래의 도덕철학과 성선설의 비교
맹자의 왕도설
'귀민경군' 사상
9. 순자가 모든 사상을 하나로 융합하다
맹자의 '내성'과 순자의 '외왕'
'속유' 비판
춘신군과의 일화
순자의 병법 지식
10. 순자의 사상통합으로 유가사상이 부활하다
공자사상의 화석화를 시도한 맹자
도가로 둔갑한 공자
춘추전국시대 사상을 종합한 순자
군자학은 치평학이다
공자의 주요 제자들
이 책에 나오는 주요 학자들
춘추전국시대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봉건제가 급속히 무너지고 있던 춘추시대 말기에 선각자적인 행보를 보인 사람이 공자였던 셈이다. 이는 그가 신분의 고하를 가리지 않고 뛰어난 제자들을 집중 육성한 데서 잘 나타나고 있다. 전국시대에 출연한 제자백가 모두 공자의 사상적인 제자들에 불과했다. 유가를 질타한 묵가와 도가는 물론 법가에 이르기까지 그 사상적 연원은 공자사상에 있었던 셈이다.-p81 중에서
맹자는 공자사상에 나타나는 이상적인 측면을 강화한 사상가이다. 공학의 좌파로 볼 수 있다. 그가 폭군방벌론을 적극 옹호하고 나선 것은 '불기살인자'에 의한 '신왕'의 등장을 염원한 데 따른 것이었다. 그의 이런 염원이 일체의 패도를 폄척하고 오직 왕도만을 강조하게 된 근원 배경이 되었다.-p295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