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35658664
· 쪽수 : 347쪽
· 출판일 : 2007-12-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대화로 더 넓은 지식의 세계를 배우다
1 과학과 철학의 만남
과학 공부의 여정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통합적 사유를 찾아서
열린 교육의 가능성
2 지식의 누적과 전환: 고전에서 현대로
이해의 폭은 성장한다
체계의 전환과 누적: 돈오와 점오
상대성과 절대성, 그리고 상대성이론
실재란 무엇인가
이성에 대한 왜곡
3 생명에 대하여
생명사상의 출발
과학으로서의 온생명
온생명의 언어와 존재
닐스 보어의 생명이해
4 동양과 서양
격물치지: 대생지식의 가능성
동서의 차이와 다양성
서로를 이해하기
동서간, 학제간 통합의 가능성
5 의식과 물질
의식의 원형과 도약
의식의 진화
의식의 주체화
양자역학에서 의식의 주체
삶의 경험주체로서의 의식
가치의 주체성: 삶의 윤리
6 대립과 화해, 물러섬과 나아감
종합을 향한 통찰
실존적 대립을 넘어서
도덕과 자연: 삶과 세계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내가 오래 전에 이렇게 배웠다든가 책에 그렇게 적혀 있다든가 해서 그대로 가르쳐서는 안 됩니다. 일단 백지에서 출발하여 학생이 알고 있는 정도를 가늠하고 거기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식을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를 생각해야지요. 그렇게 하다 보면 나 자신도 모르고 있었거나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것을 새로이 발견하게 됩니다.-p40 중에서
물리학의 철학은 인간이 개입할 수 없는 차가움과 건조함, 그리고 색깔 없는 세계를 다루고 있습니다. 세계를 이해하는데 인간의 존재는 큰 변수가 아니지요. 그래서 사회,역사,문화등 인간적인 시간이 개입될 개입될 여지가 없습니다. 반면 생물학의 철학은 사회와 문화를 다루는 영역이 커지게 됩니다.-p152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