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근현대한국문화
· ISBN : 9788935658893
· 쪽수 : 466쪽
· 출판일 : 2008-07-07
책 소개
목차
제1권 나의 국토인문지리지
나를 찾아 떠나는 국토 편력
청계천의 고독한 군중
임진강 들녘에서 북한산과 송악산을 바라보다
거대한 뿌리 백두산
어머니의 산 지리산에서
청춘산맥 설악산 가는 길
천상의 화원 소백산
서라벌 두 성인의 사랑이야기
대가야의 달빛 여행
공주 금강 백제의 향기
고려 황도 개경 찬가
남한강의 고구려를 찾아서
하회마을 묵은세배와 새세배
제2권 시인의 마음으로
거제도의 동백꽃 소식
남해 금산 큰바위 얼굴
순천만의 바람과 안개
영산강 들녘의 육자배기
섬진강 꽃전선 북상루트를 따라서
광한루의 못 다한 사랑
한강을 지배하는 자 역사를 갖는다
계립령에서 부르는 하늘재 아리랑
국토회랑 문경새재와 영남대로
상당산성의 전쟁과 사랑
강물은 흘러가도 노래는 그치지 않는다
최제우의 포덕천하 덕유산을 찾아서
춘향골에 춘향이 살고, 흥부마을에 흥부가 살고
제3권 인간의 길 시대의 풍경
금강산 풍류, 화랑들의 길노래
유토피아를 꿈꾸는 이단의 사상가들
낙산사의 불교산수
이사부가 펼치는 독도의 꿈
울진 땅 거벌모라에 무슨 일이 있었나
해신당의 남근목 축제
수로부인 사랑의 여로
대청호에 남몰래 흐르는 눈물
달 비치면 은빛 물결, 새로운 도시의 탄생
천안삼거리의 역사풍경
차령고갯길에서 삼남대로를 잃다
외암마을의 유교산수
바다의 흉년, 풍어제의 깃발
길에서 길을 찾다
책속에서
연길에서 백두산으로 가는 길은 어미 닭의 둥지에 든 병아리들처럼 조선족 마을들을 다문다문 품고 있어 자동차를 세우고 마을로 들어가 사람들에게 말을 붙이고 사진도 찍었다. 한국의 초가는 지역마다 생김새가 다른데 조선족 마을에는 함경도.경상도.다도해식 초가들이 지역구분이나 차별 없이 한 동네 한 골목에 담아져 있다. 조선팔도에서 건너 온 이들이 민족생활양식의 지역적 다양성을 한 마을에 모아놓고 있었던 것이다. 조선족 시인은 그 풍경들이 차츰 무너져가고 있는 것이 보이지 않느냐고 안타까워한다.
백두산은 우리에게 국내 여행의 범주에서 벗어나 있는 곳에 있다. 현실적으로 국토의 외부로 나가야만 한다. (1권 135~136쪽, '거대한 뿌리 백두산'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