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35659739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06-11-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인문성의 예술적 실현
1 200년 묵은 예술의 꿈
주체-예술-자율성-행복
-삶의 예술: 내재화된 형식
-근대적 주체와 자기규정력
-심미적 매개와 시민문화
왜 아직도 예술인가
-현대사회: 삶의 태환화
-예술의 거짓과 진실
2 변증법과 심미적 일반성
변증법, 이성의 기관
예술, 반성의 변증법
3 예술적 미메시스와 심미적 이성
계몽의 계몽과 마음의 움직임
이성의 심미적 정초
-생활 속의 보편 또는 일상의 아름다움 김우창
-미메시스와 합리성의 변증법 아도르노
접점 1: 예술의 비판적 잠재력
초월성의 배반과 가능성
-철학의 미학화 아도르노
-내면적 실존의 절실성 김우창
-접점 2: 예술은 부서진 행복의 약속
4 심미적인 것의 (부정적) 유토피아
예술은 이의제기의 심급
타자의 상상적 복원
-비지배-비동일성-가상-부재-무한성
-유물론과 신학의 매개
-내포의 보편지평과 침묵의 구제
5 접점 3: 심미적 화해의 비판적 복권
6 앞으로의 예술철학
보충 1: 폭력의 세계화에 대항하여
-시장 전체주의와 주권성 상실
-재앙의 편재화
-사고의 근본주의와 정치력의 회복
보충 2: 예술적으로 산다는 것
예술, 손상되지 않은 것의 비유
지배에서 화해로
7 이성적 사회의 심미적 재구성
거장 읽기의 어려움
언어와 사고의 자기지시성
심미적 진리의 현실적 파급-몇 가지 테제
놀라움과 두려움 그리고 아름다운 정신
자기형성의 노동-사적 몰두와 공적 책임 사이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금까지의 글로써 나는 아도르노와 김우창에 대하여 핵심개념인 예술적 미메시스와 심미적 이성을 중심으로 이들이 어디에서 교차하고 또 어디에서 갈라지는지, 이때의 접점은 어디인지를 크게 세 가지 사항에서 알아보았고, 이런 접점이 지향하는 화해의 이념이 이 땅에서 추구되어야 할 예술철학에 있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그리하여 예술은 자본의 광기와 폭력의 현실에 대항하여 왜 지배에서 화해로 나아가야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 모든 것은 그러나 여전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서의 심미적 사고와 현실'의 전체에 견주어 볼 때, 그리고 무엇보다 생활 속에서 구현된 '삶의 예술 또는 예술의 삶'이라는 관점에서 비추어 볼 때, 여전히 불충분과 미숙성을 숨길 수가 없다. 그 점에서 이 글은 그 자체로 미완성의 시도가 아닐 수 없다. 그렇지만 나는 이 글이 그 길로 나아가는 어떤 의미 있는 반성-실천구성적 성찰이 되길 간절히 염원한다. - 본문 456~45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