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미학/예술철학
· ISBN : 9788935663385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7
1 문화와 야만 사이
선한 영혼의 불우한 전통 다비드:「소크라테스의 죽음」 ·17
이보다 더 참혹할 순 없다: 고야의 그림 여섯 점 ·27
생각하며 산다는 것의 의무: 고야의 「개」와 이성 ·39
더 높은 질서: 루치지코바의 바흐 연주 ·51
바이마르와 부헨발트: 문화와 야만 사이 ·59
2 평범한 것들의 고귀함
도시의 우울: 호퍼의 그림 두 점 ·75
나, 나 말인가요?: 카라바조 「성 마태오의 부름」 ·89
평화롭고 신성한 나날: 페르메이르와 빛 ·99
평범한 것들의 고귀함: 샤르댕의 정물화 ·107
삶을 사랑하는 방식: 제인 오스틴의 자연 취향 ·135
3 시와 미와 철학
눈먼 호메로스를 쓰다듬다: 시와 철학의 관계 ·147
예술의 기쁨: 형상이란 무엇인가(1) ·165
자연의 근원형식: 형상이란 무엇인가(2) ·177
다채로운 역동성: 바로크의 의미 ·189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미의 근거에 대하여 ·203
‘부정적’ 즐거움: 칸트의 숭고 개념 ·211
4 사라진 낙원을 그리다
어지러운 현실의 아득한 출구 ·223
낙원의 꿈: 푸생과 구에르치노의 그림 ·235
풍경의 시: 코로의 그림 세계 ·253
자기 자신과 만나는 용기: 컨스터블의 풍경화 두 점 ·309
세계의 책, 책의 세계 ·321
찾아보기 ·335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예술은 나날의 생활 속에 자리하고 있고, 또 나날의 마음속에 자리해야 한다. 그것은 더 높은 현실에 대한 갈망이고, 이 갈망의 바탕은 아마도 사랑일 것이다. 사랑… 그것은 무엇에 대한 사랑인가. ‘더 나은 무엇’을 지향한다면, 사랑은 선 善 에 대한 갈망이 아닐까. 선을 사랑하지 않는다면, 왜 이 삶을 더 나은 무엇으로 만들려고 애쓰겠는가. 이 점에서 그것은 윤리적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예술을 향한 마음은 곧 사랑의 마음이다.
“우리는 삶을 삶답게 살고 있는가. 이런저런 시행착오와 좌충우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이 시간을 그런대로 보람되게 만들어갈 수 있는가. 아니, 그렇게 지금 만들어가고 있는가. 이러한 물음은 너무 오래된 것이라 케케묵어 보이지만, 이 일도 간단하게 보이지 않는다. 어느 쪽이든 삶을 그런대로 의미 있게 살기 위해서 우리는 잠시 돌아볼 수 있어야 하고, 지금 자기 삶이 처한 곳과 앞으로 나아가게 될 방향을 가끔은 점검해보아야 한다.”
“결국 소크라테스가 죽는 것은 “뻔뻔스러움과 몰염치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스스로 믿는 것에 당당했고, 그 믿음에 투철하고자 했다. 그래서 자기 신념을 거스르거나 원칙에 어긋나는 데는 동의하지 않으려 했다. 그런 소크라테스는 세상 사람들이 좋아한다고 해서 그들의 비위를 맞추거나 아첨할 수 없었다. 그는 자기 마음에 내키지 않는 일은 하지 않았던 것이다. ‘통곡’이나 ‘탄식’은 그답지 않은 행동이었다. 소크라테스에게는 “죽음을 피하는 일보다 비천함을 피하는 게 훨씬 더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가 두려워한 것은 죽음이 아니라 비천함이었다. 그러나 비천함 없이 우리는 살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