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 글 바로 쓰기 2

우리 글 바로 쓰기 2

이오덕 (지은이)
한길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 글 바로 쓰기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글 바로 쓰기 2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35661480
· 쪽수 : 486쪽
· 출판일 : 2009-11-30

책 소개

우리 말과 글을 살리기 위해 노력해온 저자의 <우리글 바로쓰기 2>. 제1부와 제2부는 여러 잡지에 실었던 글들과 우리 말 살리기 운동에 관한 글, 방송말과 웅변말에 대한 생각을 쓴 글이다. 제3부는 일본말 찌꺼기 문제를 살핀 글, 우리 말을 살려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을 비판한 어느 젊은이 의견의 반박글, 대학신문과 교지의 문장을 살핀 글을 모았다. 제4부는 우리 소설 문장이 우리 말로 되어 있는가를 살폈다.

목차

머리글-글을 쓰는 사람의 책임

제1부 우리 말 살려 쓰기

제1장 우리 말 살리기 1)
1. 우리 말이 없는 독립선언문
2. 우리 글자로 써서 알 수 없는 말은 우리 말이 아니다
3. ‘미소’는 일본말이다
4. ‘통석의 염’에 숨어 있는 일본 군국주의
5. 일본식·중국글자 말투 ‘에 의해’
6. ‘큰비’와 ‘호우’
7. 밥이 하늘이면
8. 북경아시아경기와 우리 말
9. 우리 말을 버리는 교육
10. 중국글자말의 뼈대를 이루는 ‘-적’
11. 서양말법을 따라 써도 좋은가
12. 전쟁이 터졌는가, 반발했는가
13. 말은 누가 만드는가―‘모람과 먹거리’
14. ‘백성’인가, ‘민중’인가, ‘민초’인가
15. 한 시인의 글에 나타난 일본말
16. ‘분신자살기도’란 말에 대하여
17. 뿌리가 있는 말, 뿌리가 없는 말
18. 남의 말을 글로 적을 때
19. ‘입장’(立場)이란 일본말
20. 몰아내어야 할 일본말
21. 일본말 따라 쓰는 ‘불리다’
22. 귀에 거슬리는 ‘먹거리’
23. 다시 ‘-적’에 대하여
24. 우리 말을 쓰면 제목이 길어지는가
25. 입말과 글말

제2장 우리 말 살리기 2)
1. ‘株價’ ‘油價’는 ‘줏값’ ‘기름값’으로
2. 중국글자말을 즐겨 쓰는 슬픈 버릇
3. 민주사회와 우리 말 쓰기
4. 인사말에 대하여
5. 탁구선수들이 통일한 팀의 이름
6. 하늘은 파랗고 산은 푸르고
7. 우리 말 토 ‘의’와 일본말 ‘の’
8. 일본말 닮아버린 우리 글
9. ‘……등’(等)을 쓰지 말자
10. 우리 말과 중국글자말, 느낌이 왜 다른가
11. 체육 소식을 알리는 신문기사
12. 쓰지 않아도 되는 ‘시도하다’
13. ‘수순’은 ‘절차’라고 써야
14. ‘내달’ ‘매달’과 ‘매년’ ‘매일’
15. ‘수백여 명’은 ‘수백 명’으로 써야
16. 쓰레기 공해와 중국글자말 공해
17. ‘먹거리’ ‘입거리’ ‘읽거리’
18. ‘중국인’ ‘일본인’보다 ‘중국사람’ ‘일본사람’으로
19. ‘레미콘’과 ‘옥탑’과 ‘하치장’
20. ‘노견’(路肩)은 ‘길어깨’인가
21. ‘연패’는 내리 졌다는 말인가, 이겼다는 말인가
22. ‘및’은 ‘와’(과)로 쓰는 것이 좋다
23. ‘내지’(乃至)를 쓰지 말자
24. ‘종용’은 우리 말이 될 수 없다
25. 귀에 거슬리는 말 ‘접한다’
26. ‘가시화’(可視化)를 쓰지 말자
27. ‘그때 이래’는 ‘그때부터’라고 써야
28. ‘처한다’는 ‘놓인다’ ‘빠진다’로
29. ‘그러나’를 쓰는 자리
30. 일본말을 직역해놓은 ‘-에 다름 아니다’
31. 신문 제목 견주어 보기
32. 토 ‘의’를 줄여야 우리 말이 산다
33. ‘에서의’가 나오는 글
34. 우리 말일 수 없는 ‘에의’
35. 잘못 쓰인 ‘로의’(으로의)
36. ‘에로’ ‘에로의’와 ‘으로서의’
37. ‘-에 있어서’는 우리 말이 아니다
38. ‘조기등산’은 ‘새벽등산’으로
39. ‘秋’와 ‘가을’
40. ‘촌지수수’라는 말
41. 『우리말 사전』이 왜 이 모양인가
42. 사전에 나오는 일본말법
43. 서양말법 ‘었었다’를 몰아내자
44. ‘……한 일이 있다’와 ‘하였었다’
45. 우리 말의 때매김〔時制〕에 대하여
46. ‘해프닝’이란 말을 써야 하는가
47. ‘조깅’은 (천천히) ‘달린다’로 쓰자
48. 쓰지 말아야 할 서양말

제2부 겨레를 살리는 우리 말

제1장 말이 살아야 겨레가 산다
1. 말과 글의 뿌리
2. 전문가들이 다 망친다
3. ‘옷’과 ‘의상’
4. ‘돌아가셨다’라는 말
5. 남의 글 고치기
6. 우리 말 좀 씁시다
7. 과학전람회와 어린이 말
8. 유식한 말 쓰는 버릇부터 고쳐야
9. 엄마, 아빠와 어머니, 아버지
10. 광고문일수록 쉽게 써야
11. 알 수 없는 광고문
12. ‘미아찾기’는 ‘잃은 아이 찾기’로 해야
13. 쓰레기통에 적힌 중국글자말
14. 일본말 따라가는 우리 말과 글
15. 방 안에 날아든 광고문
16. 외국 이야깃거리 기사 1)
17. 외국 이야깃거리 기사 2)
18. 신문기사의 글 1)
19. 신문기사의 글 2)
20. 우리 말이 병들어간다
21. 아직도 중국글자 망령에 사로잡힌 사람들
22. 우리 말이 쉼쉬는 마지막 자리
23. 신문과 방송의 말
24. 우리 말 살리는 운동을 어떻게 해야 할까

제2장 듣는 말, 들려주는 말
1. 말을 어떻게 살리나
2. 말은 주고받는 것이다
3. 주기만 하는 말에 듣기만 하는 말
4. 방송말, 어떻게 살릴까
5. 함정에 빠진 말의 세계

제3부 지식인의 말과 백성의 말

제1장 지식인의 글과 백성의 말
1. 일본말 찌꺼기 왜 못 버리나
2. 지식인의 말과 백성의 말
3. ‘나’와 ‘필자’에 대하여
4. 잡지를 만드는 사람의 횡포

제2장 대학신문과 교지의 글
1. 대학신문의 글
2. 대학교지의 글

제4부 소설로 본 우리 문장

제1장 옛소설과 신소설, 이광수·김동인의 소설 문장
1. 거꾸로 된 ‘문언일치’
2. 옛소설에 나타난 중국글투
3. 이인직·이해조의 신소설
4. 이광수의 『무정』
5. 김동인의 문장론과 문장

제2장 1920년대 대표 작가들의 소설 문장
1. 전영택의 「화수분」
2. 현진건의 「빈처」 「운수 좋은 날」
3. 염상섭의 「표본실의 청개구리」 「두 파산」
4. 나도향의 「물레방아」 「벙어리 삼룡이」
5. 주요섭의 「인력거꾼」 「사랑손님과 어머니」 그밖

제3장 카프 작가들의 소설 문장
1. 최서해(1901~32)
2. 이기영(1896~1984)
3. 조명희(1894~1942)
4. 한설야(1900~?)
5. 송영(1903~?)
6. 김남천(1911~53년경)
7. 이북명(1910~?)
8. 박승극(1909~?)
9. 백신애(1908~39)
10. 강경애(1907~43)

제4장 1930년대 작가들의 소설 문장
1. 박태원(1909~?)
2. 박화성(1904~88)
3. 김유정(1908~37)
4. 채만식(1904~50)
5. 이효석(1907~42)
6. 이태준(1904~?)
7. 이상(1910~37)
8. 이선희(1911~?)
9. 홍명희(1888~?)
10. 김정한(1908~96)
11. 김동리(1913~95)
12. 이무영(1908~60)
13. 안회남(1909~?)

저자소개

이오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5년 11월 4일에 경북 청송군 현서면 덕계리에서 태어나 2003년 8월 25일 충북 충주시 신니면 무너미 마을에서 세상을 떠났다. 열아홉 살에 경북 부동공립초등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해 예순한 살이던 1986년 2월까지 마흔두 해 동안 아이들을 가르쳤다. 스물아홉 살이던 1954년에 이원수를 처음 만났고, 다음 해에 이원수가 펴내던 <소년세계>에 동시 ‘진달래’를 발표하며 아동문학가로 첫발을 내디뎠다. 그 뒤 이원수의 권유로 어린이문학 평론을 쓰게 된다. 1973년에는 권정생을 만나 평생 동무로 지냈다. 우리 어린이문학이 나아갈 길을 밝히기 위해 1977년에 어린이문학 평론집 《시정신과 유희정신》을 펴냈다. 이 책에서 절대 자유의 창조적 정신을 발휘한 어린이문학 정신을 ‘시정신’, 그에 반하는 동심천사주의 어린이문학 창작 태도를 ‘유희정신’이라 했으며, 현실에서 살아가고 있는 어린이의 눈과 마음으로 보고 느끼고 생각할 수 있는 어린이문학의 ‘서민성’을 강조했다. 또한 모든 어린이문학인이 새로운 문명관과 자연관, 아동관에 서지 않고서는 진정한 어린이문학을 창조할 수 없다고 이야기했다. 어린이문학의 발전을 위해 작가들과 함께 어린이문학협의회를 만들었으며, 어린이도서연구회를 만드는 데도 힘을 보탰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