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근대철학 일반
· ISBN : 9788935662630
· 쪽수 : 636쪽
· 출판일 : 2014-04-30
책 소개
목차
19세기까지 과학교육 발전의 역사ㆍ정병훈 --- 5
한국어 번역판에 대한 서문 --- 17
제1장 서론: 근대 교육긴과의 형성 과정에서 교육정책과 교육이론에 대한 논쟁의 초점이 된 과학교육 --- 31
제2장 바로크 시대의 공리주의 교육학에서 과학교과 독립을 위한 최초의 시도들 --- 55
1. '수학의 시대'에 사실주의 교육이념이 자연학습에 미친 영향
2. 프랑케의 경건주의 교육학에서의 과학교과: 여가선용에 불과했던 실물학습
제3장 계몽주의 시대의 인간교육과 시민교육에서 자연과학의 위치 --- 97
1. 직업교육과 경제적 경향을 지녔던 실업학교의 과학교육
2. 교양교육으로서 과학교육과 박애주의 교육학에서 과학교육 방법론의 발전
제4장 상급학교의 과학을 둘러싼 인문주의와 사실주의 사이의 논쟁 --- 171
1. 과학교육과 신인문주의 교육학의 관계
2. '고전학과 자연과학'사이의 모순 속에 놓인 김나지움
제5장 19세기 초등교육론에서의 과학교육 --- 295
1. 과학교육이 경시되었던 페스탈로치의 초등교육론
2. 인간의 보편적 기본교육으로서 자연지식: 슈테파니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3. 초등자연학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의 성립:
딘터(1806), 하르니시(1812), 체어렌너(1813), 덴젤(1817)의 초등학교 수업지도론
제6장 19세기 전반 과학교과 도입을 위한 학교법 제정과 국민학교 수업의 실천적 문제 --- 343
1. 과학수업의 교육학적 최초 모델로서 1806년 바이에른 왕립 초등학교 교육과정
2. 1819년의 쥐페른 학교법안과 프로이센 국민학교에서 과학교육의 부흥에 관한 전형적 사례들
제7장 19세기 중반 과학교육 방법론의 기본 특성과 본질 --- 407
1. 교과서와 교수학습 자료의 발전 상황과 경향
2. 디스테르베크가 과학교수론과 방법론의 근본적 혁신에 미친 영향
제8장 1850년 이후 일반학교에서 과학교과를 교육과정에 정착시키기 위한 교육정책적 투쟁 --- 455
1. 1854년의 슈틸 규정에 의한 과학교육의 퇴보
2. 1872년의 '일반규정'에 의한 과학교육의 새로운 출발
제9장 전망과 결론: 교육법 제정 이후 과학교육의 지속적 발전 --- 491
1.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과학교육 개혁을 위한 노력
2. 결론: 오늘날 과학교육의 문제와 과제
용어해설 --- 524
참고문헌 --- 556
찾아보기 --- 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