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과학교육의 사상과 역사

과학교육의 사상과 역사

(17~19세기 독일 과학교육의 성장과 발전)

발터 쇨러 (지은이), 정병훈 (옮긴이)
한길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과학교육의 사상과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과학교육의 사상과 역사 (17~19세기 독일 과학교육의 성장과 발전)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근대철학 일반
· ISBN : 9788935662630
· 쪽수 : 636쪽
· 출판일 : 2014-04-30

책 소개

쇨러는 북독일의 메클렌부르크에 있는 슈반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친처럼 교직의 길을 걸었는데 당시 동독 지역이었던 소도시 파르힘의 프리츠 로이터 슐레에서 교장까지 지냈다. 이후 교사생활을 그만두고 로스토크대학교의 박사과정에 들어가 교육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목차

19세기까지 과학교육 발전의 역사ㆍ정병훈 --- 5
한국어 번역판에 대한 서문 --- 17

제1장 서론: 근대 교육긴과의 형성 과정에서 교육정책과 교육이론에 대한 논쟁의 초점이 된 과학교육 --- 31

제2장 바로크 시대의 공리주의 교육학에서 과학교과 독립을 위한 최초의 시도들 --- 55
1. '수학의 시대'에 사실주의 교육이념이 자연학습에 미친 영향
2. 프랑케의 경건주의 교육학에서의 과학교과: 여가선용에 불과했던 실물학습

제3장 계몽주의 시대의 인간교육과 시민교육에서 자연과학의 위치 --- 97
1. 직업교육과 경제적 경향을 지녔던 실업학교의 과학교육
2. 교양교육으로서 과학교육과 박애주의 교육학에서 과학교육 방법론의 발전

제4장 상급학교의 과학을 둘러싼 인문주의와 사실주의 사이의 논쟁 --- 171
1. 과학교육과 신인문주의 교육학의 관계
2. '고전학과 자연과학'사이의 모순 속에 놓인 김나지움

제5장 19세기 초등교육론에서의 과학교육 --- 295
1. 과학교육이 경시되었던 페스탈로치의 초등교육론
2. 인간의 보편적 기본교육으로서 자연지식: 슈테파니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3. 초등자연학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의 성립:
딘터(1806), 하르니시(1812), 체어렌너(1813), 덴젤(1817)의 초등학교 수업지도론

제6장 19세기 전반 과학교과 도입을 위한 학교법 제정과 국민학교 수업의 실천적 문제 --- 343
1. 과학수업의 교육학적 최초 모델로서 1806년 바이에른 왕립 초등학교 교육과정
2. 1819년의 쥐페른 학교법안과 프로이센 국민학교에서 과학교육의 부흥에 관한 전형적 사례들

제7장 19세기 중반 과학교육 방법론의 기본 특성과 본질 --- 407
1. 교과서와 교수학습 자료의 발전 상황과 경향
2. 디스테르베크가 과학교수론과 방법론의 근본적 혁신에 미친 영향

제8장 1850년 이후 일반학교에서 과학교과를 교육과정에 정착시키기 위한 교육정책적 투쟁 --- 455
1. 1854년의 슈틸 규정에 의한 과학교육의 퇴보
2. 1872년의 '일반규정'에 의한 과학교육의 새로운 출발

제9장 전망과 결론: 교육법 제정 이후 과학교육의 지속적 발전 --- 491
1.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과학교육 개혁을 위한 노력
2. 결론: 오늘날 과학교육의 문제와 과제

용어해설 --- 524
참고문헌 --- 556
찾아보기 --- 615

저자소개

발터 쇨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북부 독일 메클렌부르크의 슈반에서 태어나 오스트리아 빈에서 일생을 마쳤다. 1946년부터 동독의 파르힘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했고, 1950년 파르힘의 프리츠 로이터 학교의 교장이 되었다. 1952년 로스토크 대학교에서 교육학 공부를 시작해, 1955년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에서 「1785~1800년 안할트―데사우 제후국의 하급교육기관에 박애주의가 미친 영향」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55~60년 로스토크 대학교에서 교육학 연구원으로 재직하다가, 서독으로 망명하여 아헨 대학교에서 교수자격 청구논문을 집필했다. 1968년 오스트리아 빈의 국제무역 대학교에서 교수로 초빙되어 재직했으며, 1970년 오스트리아 정부의 요청으로 클라겐푸르트 대학교의 설립을 주도하고 1974년까지 초대 총장으로 재직했다. 교육사·교육이론·교수론 분야를 연구했으며, 주요 저서로서 『프로그램화된 수업의 방법론』(1965), 『교육사』(1976), 『수업의 구조와 모형』(1977) 등이 있다. 이외에도 100여 편의 논문과 저술이 있다. 『과학교육의 사상과 역사』는 쇨러의 교수자격 청구논문으로서 독일의 교육사를 사실주의·박애주의 관점에서 서술한 것이다. 과학교육이 학교에 정착하기까지 200여 년의 역사를 치밀한 원전 대조와 사료 발굴을 통해 재구성함으로써, 사회정치적 배경, 교육이론적 논쟁, 인간과 세계에 대한 철학적 인식의 차이 등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면서 학교 과학교육의 도입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밝혀냈다.
펼치기
정병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에서 학사, 같은 대학교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고체물리이론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독일학술교류처의 지원으로 독일 뒤스부르크-에센 대학교 물리학과에서 물리교육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6년부터 현재까지 청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로 있다. 번역서로 볼프강 뷔르거의 『달걀 삶은 기구의 패러독스』(도서출판 성우), 도널드 맥크로리의 『하늘과 땅의 모든 것. 훔볼트 평전』(도서출판 알마), 한국연구재단의 학술명저번역 발터 쇨러의 『과학교육의 사상과 역사. 17-19세기 독일 과학교육의 성장과 발전』(한길사)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