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명/문명사
· ISBN : 9788935663040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1-06-07
책 소개
목차
해제|15세기 조선 여성의 고전 읽기와 지식의 재구성ㆍ5
서문ㆍ37
1언행장言行章
입을 조심하라ㆍ43
식사예절ㆍ45
남녀유별ㆍ47
남의 집을 출입할 때ㆍ49
시선 처리ㆍ50
공경하지 않음이 없게 하라ㆍ51
군자를 모시고 식사하는 예절ㆍ53
몸을 삼가고 또 삼가라ㆍ54
빈 그릇도 가득 찬 듯이ㆍ55
임금을 섬기는 예절ㆍ56
임금을 모시고 식사할 때ㆍ57
임금이 과일을 주실 때ㆍ58
임금이 남은 음식을 주시면ㆍ59
임금이 수레와 말을 하사할 때ㆍ60
귀와 눈과 마음을 바르게ㆍ60
말이 많음은 재앙의 시작ㆍ62
여자의 사덕(四德)ㆍ63
언행일치ㆍ66
창졸간에 당황하거나 화내지 않기ㆍ68
말은 믿을 수 있게, 행동은 돈독하게ㆍ69
말은 때와 장소를 가려서ㆍ71
사람다움은 예와 의에 있나니ㆍ72
사람의 도리 오륜ㆍ73
자신의 허물 듣기를 기뻐하라ㆍ74
적선지가는 필유여경ㆍ75
스스로를 성찰하는 열네 가지 항목ㆍ78
마음을 다스리고 본성을 길러라ㆍ81
후부인의 몸가짐ㆍ82
재물에 따른 마음가짐ㆍ83
내 몸과 집안을 망치는 허물 다섯 가지ㆍ84
아무리 사소해도 악은 행하지 말라ㆍ87
타인을 책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책하라ㆍ88
의는 무조건 행하고 이익은 겁쟁이처럼 피하라ㆍ90
용백고를 본받고 두계량을 본받지 말라ㆍ91
2효친장孝親章
문왕이 부친 왕계를 모신 태도ㆍ95
무왕이 병든 부친 문왕을 모신 태도ㆍ97
무왕과 주공의 지극한 효도ㆍ98
증자의 효도ㆍ99
부모가 사랑한 것을 사랑하라ㆍ100
어버이를 사랑하지 않고 남을 사랑함은 패덕ㆍ101
효자의 자격ㆍ103
시부모를 모시는 며느리의 태도ㆍ104
부모와 시부모를 모시는 소소한 예절ㆍ107
부모가 시키면 하기 싫어도 하라ㆍ108
부모가 병이 났을 때ㆍ109
부모와 시부모가 병이 났을 때ㆍ110
부모가 노하였을 때ㆍ111
부모가 아끼던 사람은 부모 사후에도 공경하라ㆍ114
부모가 사랑하는 아내가 우선ㆍ115
큰며느리와 작은며느리의 도리ㆍ116
부모 사후에도 부모를 생각하고 행동하라ㆍ118
부모 사후에 생일은 슬픈 날ㆍ119
부모와 임금과 스승을 섬기는 차이ㆍ120
부모 상중에 조심하는 태도ㆍ122
부모 상중에 고기를 먹고 음악을 듣는 폐단ㆍ124
거상을 바르게 한 안정ㆍ131
모친상을 입고 죄인을 자처한 하자평ㆍ132
3혼례장昏禮章
혼례의 절차와 태도ㆍ135
혼례는 예의 근본ㆍ137
혼례의 의미ㆍ139
조혼으로 인한 요절ㆍ142
혼인할 때 재물을 논하지 말라ㆍ143
조혼과 다첩의 폐해ㆍ145
부귀를 기준으로 며느리를 구하지 말라ㆍ146
딸은 친정보다 나은 집으로 시집보내라ㆍ148
초례 때 부모가 하는 당부의 말ㆍ149
삼종지도와 칠거지악ㆍ151
4부부장夫婦章
남편은 아내의 하늘ㆍ155
부부는 인륜의 근본이니 여자도 가르쳐라ㆍ158
양강음유의 원리와 경순의 도ㆍ160
남편의 마음을 얻어라ㆍ162
시부모의 마음을 얻어라ㆍ164
부인 노릇 하기가 가장 어렵다ㆍ165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ㆍ168
후부인의 남편 섬기기ㆍ170
잠자리에서도 단정하게ㆍ171
초나라 장왕의 부인 번희ㆍ172
초나라 소왕의 첩 월희ㆍ176
후한 명제의 명덕마황후ㆍ181
후한 화제의 화희등황후ㆍ197
명나라 태조의 효자고황후ㆍ209
제나라 숙류녀ㆍ233
후한 포선의 처 환소군ㆍ239
5모의장母儀章
딸에게 가르쳐야 할 것들ㆍ243
딸에게 가르쳐야 할 것과 가르치지 말아야 할 것ㆍ246
아들과 며느리의 잘못을 가르칠 때ㆍ247
어린 자식의 허물은 어머니의 탓ㆍ248
문왕의 어머니 태임ㆍ250
무왕의 어머니 태사ㆍ253
맹자의 어머니ㆍ255
어진 부형과 엄한 스승ㆍ257
제나라의 의로운 계모ㆍ260
위나라 망씨의 인자한 어머니ㆍ262
제나라 재상 전직자의 어머니ㆍ265
당나라 최현위의 어머니ㆍ266
이천선생의 어머니 후부인ㆍ268
주애 고을의 의로운 두 여인ㆍ271
6돈목장敦睦章
동서지간의 화목ㆍ275
효제에도 때가 있다ㆍ277
형제간의 불화는 아내들의 탓ㆍ279
형을 부모처럼 모셨던 사마온공ㆍ280
죽을 쑤다 수염을 태운 이적ㆍ281
전염병도 피해 간 유곤의 우애ㆍ283
동생의 큰 실수에도 담담했던 우홍ㆍ284
범중엄의 자식 경계ㆍ286
노나라의 의로운 고모ㆍ288
7염검장廉儉章
안회의 안빈낙도ㆍ291
호안국이 존경했던 제갈공명ㆍ292
양진의 사지(四知)ㆍ295
화려함을 싫어한 사마온공ㆍ296
사치 풍조를 탄식한 사마온공ㆍ298
검소함이 위선이란 비웃음에 대하여ㆍ299
모든 사람은 요순이 될 수 있다ㆍ301
재상 이문정공의 좁은 청사ㆍ303
문중자의 검소한 옷차림ㆍ304
초나라 광인 접여의 처ㆍ305
발문ㆍ309
『내훈』 언해문ㆍ313
『내훈』에 인용된 고전ㆍ393
참고문헌ㆍ409
옮긴이의 말|조선 여성을 위한 유교 고전의 허브ㆍ415
찾아보기ㆍ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