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독서에세이
· ISBN : 9788935663293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19-11-29
책 소개
목차
꽃의 작가 박완서를 말하다
프롤로그
제1부 중산층의 허위의식을 드러내다
조잘대는 시냇물에 떠내려 오는 복사꽃잎
「그리움을 위하여」|복사꽃
누워서 보는 꽃
「거저나 마찬가지」|때죽나무
화려한 팜므파탈
『아주 오래된 농담』|능소화
달맞이꽃 터지는 소리
「티타임의 모녀」|달맞이꽃
살아갈 힘을 주는 작은 희망
「옥상의 민들레꽃」|민들레
바람은 우아한 물결을 일으키고
「자전거 도둑」|보리밭
제2부 한국전쟁을 증언하다
여덟 살 소녀의 고향 그리움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싱아
피난길에 피어난 꽃망울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목련
그 남자네 집을 찾는 열쇠
『그 남자네 집』|보리수나무
핏빛 칸나
『목마른 계절』|칸나
남편이 묶인 미루나무 어루만지며
「돌아온 땅」|미루나무
나무와 두 여인
『나목』|플라타너스
비로드처럼 부드럽고 푸른 옥수수 밭
「카메라와 워커」|옥수수
연인을 지키는 꼬마 파수꾼의 초롱불
「그 여자네 집」|꽈리
제3부 용기 있는 여성의 삶을 담다
눈독 들면 피지 않는 꽃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분꽃
40년 전에 쓴 『82년생 김지영』
『서 있는 여자』|노란 장미
모성애로 구원한 세상
「그 살벌했던 날의 할미꽃」|할미꽃
꽃이 된 아기
「그 가을의 사흘 동안」|채송화
행운목꽃 향기에 밴 어머니의 슬픔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행운목
토종 라일락의 향기
『미망』|수수꽃다리
제4부 노년의 삶을 위로하다
노년에 찾아온 감미롭고 싱그러운 울림
「오동梧桐의 숨은 소리여」|오동나무
순박한 시골 처녀의 떨림
「친절한 복희씨」|박태기나무
피할 수 없는 운명
「저문 날의 삽화 5」|은방울꽃
지붕 위에 앉은 보름달
「해산바가지」|박
제5부 마음에 핀 꽃을 그리다
고향 박적골에 핀 꽃들
구리 노란집에 핀 꽃들
이름 모를 꽃은 없다
꽃의 작가, 박완서
꽃 이름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나’는 동생을 보고 “조잘대는 시냇물 위로 점점이 떠내려 오는 복사꽃잎”을 떠올린다. 복사꽃잎을 알고 있는 사람이나 화사한 복사꽃의 이미지가 떠오르는 사람이라면 이 문장이 얼마나 보석 같은지 알 것이다. 어떻게 목소리를 복사꽃잎에 비유할 생각을 했을까. 전형적으로 청각을 시각화한 문장이다.
꽃은 대부분 위를 보고 피는데 때죽나무꽃은 일제히 아래를 내려다보고 핀다.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하얀 꽃이 일제히 아래를 향해 핀 모습이 장관이다. 그래서 때죽나무꽃을 제대로 감상하려면 아래에서 보는 것이 최고다. 드러누워도 좋다. 영숙이가 눈을 떴을 때 무엇이 보였을까. 굳이 “때죽나무 아래”인 것은 박완서가 소설에 배치한 일종의 재미나 유머 아닐까 싶다. 작가가 때죽나무꽃이 만개했을 때 아래에서 본 적이 있기에 이런 표현을 했을 것이다.
박완서 소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한국전쟁과 분단의 아픔을 다뤘고 다른 하나는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일상을 세심하게 관찰해 그 이면에 있는 진실을 드러낸다. 『아주 오래된 농담』은 후자에 속하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편안하게 술술 읽히 지만 그 편안함 속에 사람들의 허위의식을 찌르는 날카로움이 있는 것이 박완서 문학의 특징인데, 이 소설은 그 점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능소화가 어떤 꽃인지 모르고 이 소설을 읽으면 답답할 수 있다. 소설의 초반부부터 능소화가 아주 강렬한 이미지로 등장하기 때문이다.